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인류학
· ISBN : 9791128853418
· 쪽수 : 290쪽
· 출판일 : 2020-04-28
책 소개
목차
서문
마을 구조
모계제와 부거제가 함의하고 있는 것들
의례의 종류들
제1부
제1장 은뎀부의 의례 상징
의례에 나타나는 상징들의 구조와 속성
일부 해석상의 문제들
현장 상황과 구조적 관점
의례 상징의 세 가지 속성
관련짓기와 압축하기
주요 상징들과 도구적 상징들
인류학적 해석의 한계
심층 심리학, 그리고 의례에 나타나는 상징
설명의 영역들
관찰된 감정들에 대한 해석
해석에서 읽히는 갈등에 대한 억제
해석에 필요한 추론의 방법들
‘깊이’의 상대성
결론: 사회 과정들에서 상징 분석
현재 인류학이 지닌 역량의 한계들
제2장 은뎀부의 의례 상징, 도덕률, 그리고 사회 구조
제3장 은뎀부 의례의 색깔 분류: 원시적 분류법에 대해
아프리카 의례에서 색깔 분류
은뎀부 생애 전환기 의례에서 색깔 분류
응곤데인의 생애 전환기 의례에서의 색깔 분류
중부 아프리카에서 최고의 신과 색깔 분류
삼원색에 대한 은뎀부인들의 해석
흰색과 검은색의 대조
비교를 위한 자료들
고고학적 조사 자료에 나타난 삼색
기본 삼원색의 의미
제4장 이도 저도 아닌: 통과 의례의 문지방성
제5장 마술과 주술: 분류와 역동성 사이의 고민
책속에서
민속학 자료를 보면, 삼색 모두를 의례에 사용하는 사회들 가운데 입문 의례는 이 세 가지 색깔이 모두 등장한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각 색깔은 의례의 일반적 특성을 보여 주는 기호처럼 따로 등장할 수도 있다. 그러니까 은뎀부 사회에서 붉은색이 사냥 의례의 지속적 모티브로 나타난다든가, 의례에서 흰색이 수유 또는 마을 조상 혼령과 관련된 모티브로 나타난다든가 하는 것들이 그런 경우다. 어린아이들에게 성인으로서의 권리와 의무, 그리고 성인들이 중시하는 가치를 알게 하기 위한 입문식에서 세 색깔 모두가 동등하게 강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내 견해로는 이것은 삼색이 보편적 인간이 유기체로서 하는 경험의 주된 종류를 축약하기 때문이다.
과도기적 존재들은 이것이라고 할 수도 저것이라고 할 수도 없기 때문에, 혹은 이것이라고도 할 수 있고 저것이라고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아니면 (알려져 있는 문화적 지형상) 이쪽에 있다고 할 수도 없고 저쪽에 있다고 할 수도 없기 때문에, 혹은 양쪽에 모두 있거나 양쪽에 모두 없기 때문에, 혹은 그 어느 곳에도 없는 것이기 때문에, 특히 오염적 존재들로 생각하게 될 수 있다. 그런 존재들은 적어도 모든 구조적 분류의 시공간 속에서 사람들에게 알려진 고정점들의 ‘이도 저도 아닌(betwixt and between)’ 곳에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