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인류학
· ISBN : 9791128853456
· 쪽수 : 648쪽
· 출판일 : 2020-04-28
책 소개
목차
제2부
제6장 말벌 같은 인생을 사는, 종교를 통역하는 남자 무초나
제7장 무칸다(Mukanda): 할례 의례
무칸다와 관련된 근접 주거군
무칸다 의례
의례
몇 가지 덧붙이는 분석적 견해
제8장 은뎀부 사냥의례의 상징관련 주제들
불행을 극복하는 의례
우빈다
우양가
사냥 의례들
치싱가의 해석학적 의미에 대해
치싱가의 형태
치싱가의 작용적 의미
치싱가에서 위치가 나타내는 의미
치싱가의 의미론적 어형론
제9장 룬다 약과 질병의 치료
질병, 불운, 그리고 고통
색깔의 상징주의, 약 그리고 치료법
질병 목록
구체적인 치료법
병의 치료법에 대한 맺음말
분석과 결론
제10장 실제 은뎀부 치료사의 사례
점술
치료로서 의례
이함바 컬트
치료하는 과정
‘이함바 치료사’ 이헴비
이헴비와 카마하사니의 사례
카마하사니 사례의 구조적 맥락
카마하사니의 개인사
이함바 의례의 실행 사례
두 번째 이함바 의례의 실행 사례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책속에서
만난 첫날부터 무초나는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확실히 보여 주었다. 그는 무쿨라 나무(붉은 활엽수)에 기생해 자라나는 풀을 가리키며 이렇게 말했다. “저 풀은 무툰타무(mutuntamu)라고 해요. 왜 그런 이름을 가졌는지 아세요?” 내가 무지함을 고백하기도 전에, 그는 이렇게 쉴 새 없이 말을 이었다.
“그러니까, 저 이름은 쿠툰타마(ku-tuntama), ‘어디에 걸터앉다’라는 말에서 나온 거죠.”
마참바는 그의 마을이 니얄루하나 마을보다 더 규모가 크다는 점을 지적하면서, 지금 우켕기는 니얄루하나의 주술에 걸려들 것을 두려워한 나머지 마을에서 나온 것이라고 주장했다. 니얄루하나는 이에 대해서, 우켕기의 ‘농장’이 정부가 판단하기에 니얄루하나 마을의 일부라는 점과 우켕기 농장을 포함하면 자신의 마을이 마참바 마을 인구보다 훨씬 많다는 점을 들어 반박했다. 사실 은뎀부인들의 사회생활은 무엇이 중요한가에 대한 서로 모순되는 기준들이 뒤섞여 있고 그것들에 정치적 경향이 있어 끝날 줄 모르는 갈등이 지속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