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실천적 교육학자 10인,우리 교육의 새길을 찾다)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길현주, 박철희, 백병부, 서용선, 성기선, 성열관, 심성보, 이윤미, 이형빈, 정진화 (지은이)
살림터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혁신학교에 대한 교육학적 성찰 (실천적 교육학자 10인,우리 교육의 새길을 찾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88994445793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14-12-26

책 소개

혁신학교 운동의 성과를 교육학적으로 성찰하고 혁신학교 운동의 새로운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혁신학교의 성과와 발전을 위해 현장에서 고군분투해온 여러 실천가들의 집단적 성과를 담아낸 것이다.

목차

머리말 | 혁신학교에 대한 성찰과 전망

1부 혁신학교의 역사적 맥락
미국 공교육의 개혁 모델과 진보적 학교 운동 / 심성보
교사 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교육과정과 수업 혁신 / 정진화
혁신학교의 성과와 과제 / 이윤미

2부 혁신학교의 현주소
협력 수업과 생활협약으로 나타난 혁신학교의 정체성 / 성열관
혁신학교 수업과 학생의 수업 참여 양상 / 이형빈
수업 혁신을 통해 본 ‘문화’로서의 교사들의 전문적 학습공동체 / 길현주
혁신학교 교사 문화의 특징과 과제 / 박철희

3부 혁신학교의 과제와 전망
일반고 위기와 혁신학교 / 백병부
혁신학교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과제 / 성기선
혁신학교 운동의 방향과 과제 / 서용선

저자소개

성기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가톨릭대학교 교육학 교수. 학교효과와 고교평준화 관련 연구 수행, 2011년부터 경기도교육청 혁신교육아카데미 전문가 과정을 기획 운영했고, 경기도율곡교육연수원장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장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학교효과의 이론과 방법론』, 『교육사회학』, 『대한민국 교육 트렌드 2022』(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심성보 (지은이)    정보 더보기
거시적·장기적 교육 전망과 현장에서의 미시적·단기적 실천이 분리되지 않는 ‘실천적 이론가’와 ‘이론적 실천가’를 꿈꾸고 있다. 이상주의(idealism)와 현실주의(realism)가 분리되지 않는 변증법을 굳게 믿고 실천하면서 교육이론 운동과 교육실천 운동의 두 갈래 길을 놓치지 않으려 애쓰고 있다. 최근 『진보주의 교육의 세계적 동향』,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세계적 동향과 전망』, 『마을교육공동체운동의 세계적 동향과 과제』, 『민주학교의 탄생』, 『시민이 만드는 교육 대전환』, 『교육사상가의 삶과 교육사상』을 공동으로 펴냈다. 또한 『비판적 페다고지는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 『21세기 교육과 민주주의』, 『프레이리와 교육』, 『존 듀이와 교육』, 『진보주의 교육운동사』, 『세계시민교육』, 『사랑의 교육학』, 『다시 읽는 민주주의와 교육』, 『세계의 대안교육』의 번역에 참여했다. 2018년 정년 퇴임 후에는 『한국 교육의 현실과 전망』, 『교육과정에서 왜 지식이 중요한가』, 『코로나 시대, 마을 교육공동체운동과 생태적 교육학』, 『프레이리에게 변혁의 길을 묻다』를 펴냈다. 현재 부산교대 명예교수로서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이사장, 한 국교육개혁전략포럼 대표, 마을교육공동체포럼 이사 등 다양한 역할을 하면서 교육과 사회의 동시적 변혁을 위한 활동을 하고 있다. 촛불혁명의 미완성 과제와 코로나 사태의 발생으로 새로운 과제가 대두하면서 대한민국의 다중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적 사상을 모색하고 이를 실천하려고 한다. 저자는 1995년 5·31교육개혁이 신자유주의적 문명화 시도였다면 지금은 지속가능한 포용적·공동체적·생태적 문명으로의 이동을 위한 사회 및 교육 체제의 거대한 전환이 필요하다고 보며, 한국교육의 전면적 전환을 위한 총체적 교육사상의 정립과 다면적 실천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함을 강조한다. 또 100여 년 전 기술적 근대화(개화파)와 토착적 근대화(개벽파)가 분열되어 일제 식민지화를 초래했듯 제2의 식민지화를 막으려면 한국의 미래교육 100년을 준비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리고 이 책을 통해 지금 우리에게 요구되는 것은 내란 이후의 대안적 세상을 여는 혁신적·변혁적 교육 및 운동임을 역설한다.
펼치기
성열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희대학교 교수이며, 교육대학원장을 역임했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교육과정 및 수업(Curriculum & Instruction)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대표 저서로는 『호모 에코노미쿠스 시대의 교육』, 『수업시간에 자는 아이들: 교실사회학 관점』, 『The State and the Politics of Knowledge』(공저)가 있으며, 역서로는 『미국 교육개혁, 옳은 길로 가고 있나』가 있다. 최근에는 여러 국제 학자들과 함께 『The Strong State and Curriculum Reform』과 『Understanding PISA’s Attractiveness』 집필에 참여했다. 2008년 세계인명사전 『마르키스 후즈후(Marquis Who’s Who)』에 등재되었고, 2011년과 2017년에 한국교육학회에서 수여하는 운주논문상을 수상했다. 현재 한국교육과정학회 부회장이며, <교육과정연구> 편집장을 지냈다. 호주 의 편집위원이다. 국내에서는 혁신학교, 2022 개정 교육과정, 평가 혁신 등 한국교육의 새로운 경로를 제시하는 많은 연구를 수행해 왔다. 국제적으로는 ≪Curriculum Inquiry≫, ≪Comparative Education≫, ≪Oxford Review of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Change≫등 세계적인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실었다.
펼치기
성열관의 다른 책 >
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옮긴이)    정보 더보기
실천적인 교육 이념과 방향을 모색하고, 현장 지향적인 교육정책을 개발하기 위해 2004년에 출범한 교육 연구자와 현장 교사들의 연구 공동체입니다. 연구자와 교사들이 자신의 전문성을 널리 공유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개방적인 네트워크 형성을 지향합니다. 회원으로 가입하시면 각종 자료를 제공받고 다양한 연구 모임에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공간 http://cafe.daum.net/kednetwork 이메일 kednetwork@hanmail.net
펼치기
이형빈 (옮긴이)    정보 더보기
현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수. (사)한국교육연구네트워크 소장. 저서로 『더 좋은 교육과정 더 나은 수업』, 『백워드로 설계하고 피드백으로 완성하는 성장중심평가』, 『교사를 위한 교육학 강의』, 『평화의 교육과정 섬김의 리더십』, 『교육과정-수업-평가 어떻게 혁신할 것인가』, 역서로 『교육과정과 수업 설계의 기본 원리』, 『교육은 사회를 바꿀 수 있을까?』 등이 있다.
펼치기
이윤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미국 위스컨신-매디슨 대학에서 철학 박사(Ph.D.)를 취득했다. 근현대 교육사 전공으로 공교육 형성과 발달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한국교육학회 이사 및 한국교육사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이외에 국제교육사학회(ISCHE) 학술지 특별호 편집장, 유럽교육학회(EERA) 교육사분과(NW17) 심의위원, 홍콩교육대학 교육사 프로그램 평가위원 등 유관 국제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주요 논저로 『한국의 근대와 교육: 서구적 근대성을 넘어』(문음사, 2006), Modern education, textbooks and the image of the nation: politics of modernization and nationalism in Korean education, 1880-1910(Garland, 2000), Education, language and the intellectual underpinnings of Modern Korea, 1875-1945(공저, Brill,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길현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
펼치기
박철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인교육대학교 교수
펼치기
백병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교육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이다. 중·고등학교 국어 교사로 10여 년을 살았고, 교육학과 교육정책 연구자로 그보다 조금 더 긴 시간을 살고 있다. 원래 관심 분야는 교육 불평등이지만, 혁신학교 연구로 혁신교육과 인연을 맺은 다음부터는 혁신교육의 가치와 철학을 담은 교육정책을 마련하는 데 관심을 두고 있다. 2020년부터는 코로나19 이후의 교육체제 전환을 고민하고 있다. 주요 연구로는 “초등학교 6학년의 학교생활과 사고체계 탐색: 거주배경의 차이를 중심으로”(공저, 2020), “코로나19와 교육: 교육체제 전환에 주는 시사점”(공저, 2020), “혁신학교 지속가능성 위협 요인: 혁신학교 확산기 경기도의 경험을 중심으로”(공저, 2019), “학교문법 재구성을 통한 학교혁신의 목표와 전략”(공저,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서용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기도교육연구원 연구위원
펼치기
정진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목동중학교 교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