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큰글자책] 연극에서 자연주의

[큰글자책] 연극에서 자연주의

에밀 졸라 (지은이), 질 카스타네스, 권현정 (옮긴이)
지만지드라마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840원
27,160원 >
25,2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2,520원
22,68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큰글자책] 연극에서 자연주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큰글자책] 연극에서 자연주의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예술/대중문화의 이해 > 미학/예술이론
· ISBN : 9791128898716
· 쪽수 : 193쪽
· 출판일 : 2024-02-19

책 소개

에밀 졸라는 자연주의의 기원과 원칙을 탐구하며 자연주의가 연극 진화의 필연임을 밝힌다. 현실적인 무대와 인물 묘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과학적, 사실적 접근을 주장했다. 졸라의 주장은 상징주의, 부조리극이 주도한 20세기 프랑스 연극에선 기각된 듯 보인다. 그러나 앙투안, 스타니슬랍스키 연출의 기반을 이루며 현대 연극 미학과 캐릭터 개념을 확장했다.

목차

1부 연극에서 자연주의
1장
2장
3장
4장
5장
2부 연극에서 자연주의 이론과 사례
서문
1. 두 개의 도덕
2. 비평과 관객
3. 무대 미술과 소품
4. 의상
5. 논쟁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저자소개

에밀 졸라 (지은이)    정보 더보기
프랑스 파리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을 엑상프로방스에서 보내다가 일곱 살 때 아버지를 여읜 후 극심한 생활고를 겪었다. 1858년 파리로 돌아와 생루이 고등중학교를 다녔다. 졸업 후 대학입학자격시험에 두 차례 낙방하자 학업을 포기하고 아셰트 출판사에 취직했다. 1863년부터는 신문에 콩트와 기사를 기고하며 저널리스트로서 활동했다. 1865년 자전적 중편소설 『클로드의 고백』을 발표했고, 이듬해 출판사를 그만둔 후 본격적으로 평론가이자 작가의 길로 들어섰다. 최초의 자연주의 소설 『테레즈 라캥』(1867), 『마들렌 페라』(1868) 등을 출간했으며, 발자크의 ‘인간극’에 영향을 받아 ‘루공마카르 총서’를 구상했다. ‘제2제정기 한 가문의 자연사와 사회사’라는 부제가 붙은 루공마카르 총서는 5대에 걸친 루공가와 마카르가 사람들의 이야기를 23년간 총 20권의 연작소설로 그려낸 대작이다. 『루공가의 행운』(1871)을 시작으로 거의 매년 한 편씩 발표되어 1893년 『의사 파스칼』을 끝으로 완결되었다. 총서에는 『목로주점』(1877), 『나나』(1880), 『제르미날』(1885), 『대지』(1887), 『인간 짐승』(1890) 등 졸라의 대표작들이 포함되어 있다. 이 총서를 통해 졸라는 자연주의 문학의 대표 작가로 자리매김한다. 1894년부터는 3부작 소설 ‘세 도시 이야기’를 집필해나가는 한편, 반유대주의에 기인한 드레퓌스 사건이 일어나자 대통령에게 보내는 공개서한 「나는 고발한다」(1898)를 발표하며 행동하는 지성의 상징이 되었다. 말년에는 4부작으로 계획한 소설 ‘네 복음서’ 중 『풍요』(1899), 『노동』(1901) 등을 출간했다.(세 번째 권 『진실』(1903)은 사후 출간) 1902년 파리에서 가스 중독 사고로 사망했고, 1908년 유해가 국립묘지 팡테옹으로 이장되었다.
펼치기
권현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파리 10대학에서 연극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강대학교 유럽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문으로는 〈프랑스 무대 미술의 형태 미학〉, 〈연출의 탄생〉, 〈메테를랭크의 일상의 비극 : 내부〉, 〈라가르스의 세상의 끝일 뿐 또는 소통의 실패〉, 〈무대 미술의 관례성?맨션에서 임의의 궁전에 이르기까지〉, 〈Maeterlinck et le th??tre pour marionnettes〉, 〈젤레르의 〈타인〉에 나타난 경계의 모호성〉 등이 있다. 역서로는 1975년부터 2015년까지 무대 미술의 변천과 의미를 다룬 《프랑스 시노그라퍼(Sc?nographes en France)》(뤼크 부크리스, 마르셀 프레드퐁 외 공저), 《마테를링크의 인형극(Trois petits drames pour marionnettes)》, 《나는 사라진다 / 나의 그 무엇도(Je disparais / Rien de moi)》(아르느 리그르 저), 《시노그라피 소론(Petit trait? de sc?nographie)》(마르셀 프레드퐁 저) 등이 있다.
펼치기
질 카스타네스 (옮긴이)    정보 더보기
파리 10대학에서 알프레드 뮈세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박사 논문은 2004년에 출간되었다(Les Femmes et l’esthetique de la feminite dans l’œuvre d’Alfred de Musset, Peter Lang 2004). 1996년 현대문학 교수자격시험에 합격했고 프랑스와 멕시코, 자카르타에서 교편을 잡았으며 2006년부터 서강대학교 프랑스문화학과(현 유럽문화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세기 문학, 특히 뮈세 전문가로서 파리 4대학 레스트랭강(Lestringant) 교수와 뮈세 산문 교정본을 여러 권?Contes(2009), Voyage ou il vous plaira(2010), Nouvelles(2017), L’Anglais mangeur d’opium(2023) 등?출간했고, 첼부르(Chelebourg) 교수와 《현대문학지(Lettres Modernes)》에서 뮈세 특별호를 공동 주관·편집했으며(《Musset, auteur tout nu》, Lettres Modernes Minard, 《Ecritures XIX》, 2019-1) 국제학술지(프랑스, 호주, 영미 등)에 3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19세기부터 20세기까지 소설의 다양한 형태에 관심을 두고, 마담 드 스타엘(Mme de Stael), 발자크, 졸라, 프루스트, 델핀 드 비간(Delphine de Vigan) 등 괄목할 만한 작가들의 작품 세계를 연구했다. 또한 사실주의·자연주의 작가, 특히 사실주의를 주창한 초창기 작가를 고찰한 논문을 저명 학술지(Nineteenth-Century French Studies, Revue d’histoire litteraire de la France)에 발표했고 1856년부터 1857년까지 에드몽 뒤란티(Edmond Duranty)가 이끈 저널 《사실주의(Realisme)》의 첫 교정판을 2017년에 출간했다. 최근에는 아직 미약한 연구 분야인 ‘어로 문학’에 심취해 낚시를 테마로 19∼20세기 프랑스·미국 작가들을 탐구하고 있다(Au fil de l’eau, au fil des textes : litterature et peche a la ligne, UGA, Grenoble, 2021).
펼치기

책속에서

우선 ‘자연주의’가 무슨 뜻인지 설명이 필요하겠지? 자연주의라는 용어를 사용했다고 내게 비난을 퍼부은 사람들은 아직도 그 의미를 이해하지 못하는 척한다. 사실 조롱하며 트집 잡기 쉬운 주제다. 하지만 답변해 보겠다. 문학 비평에서 아무리 명료하게 설명한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을 테니까 말이다.
나의 중대한 잘못은 이 세상만큼 오래된 문학 사조를 일컫기 위해 새로운 단어를 만들어 유행시킨 점일 것이다. 자연주의라는 단어는 내가 만든 게 아니다. 몇몇 외국 문학에서 사용된 용어였고, 나는 그저 국내 문학 흐름에 적용했을 뿐이다. 그다음 지적은 첫 문헌이 등장하면서 자연주의가 이미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아니! 누가 반대로 말한 적 있는가? 자연주의가 인류의 심연에서 비롯되었음을 사실상 인정하는 발언이다. 게다가 아리스토텔레스부터 부알로까지 작품이 사실에 근거해야 한다는 비평 원칙이 있다고 주장하는데 듣던 중 반가운 말이다. 내 의견을 뒷받침하는 새로운 증거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자연주의에 대한 조롱과 공격을 들어만 봐도 자연주의 사조가 파괴될 수 없는 기반 위에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자연주의는 한 사람의 상상이나 한 그룹의 광기에서 비롯된 게 아니라 사물의 영원한 본질에서, 자연을 기반으로 작가가 글을 써야 하는 필요성에서 탄생했다. 좋다! 모두 동의한 점이니 여기서부터 시작해 보자.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