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

이상우, 심용운, 김성철, 신동희, 장병희, 박주연, 권영선, 최세정, 김영규, 이문행, 정윤혁 (지은이)
커뮤니케이션북스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8,000원 -0% 0원
840원
27,1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2,400원 -10% 1120원 19,040원 >

책 이미지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언론/미디어 > 언론학/미디어론
· ISBN : 9791130434957
· 쪽수 : 368쪽
· 출판일 : 2014-11-21

책 소개

미디어경영학회가 매년 출판할 미디어경영총서 시리즈의 시작으로서 ‘완전히 새로운 세상(A Whole New World)’을 경험하고 있는 미디어 기업들에게 체계적 도움을 주기 위한 목적으로 집필되었다.

목차

머리말

1부 미디어 생태계의 변화
01 ICT 생태계 진화와 미디어 산업의 미래 . 심용운
02 전통 미디어와 뉴미디어: 대체인가 보완인가? . 이상우
03 인터넷 포털의 생과 사: 진화와 미래 . 권영선

2부 미디어 기업의 전략
04 스마트 미디어 환경에서 미디어 기업의 콘텐츠 전략경영 . 박주연
05 지상파방송사의 OTT 활용 전략 . 김성철
06 스마트 미디어 시대의 스마트 광고 . 최세정
07 소셜 미디어와 아이덴티티 . 김영규
08 미디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 전략 . 이문행

3부 미디어 사용자의 경험
09 스마트 생태계에서 사용자 중심 혁신 접근: 미디어 거버넌스 암시점 . 신동희
10 미디어 콘텐츠와 사용자 경험 . 장병희
11 디지털 미디어와 삶의 질 . 정윤혁

저자소개

이상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교수다. 미디어·콘텐츠·엔터테인먼트 비즈니스의 이해, ICT·미디어·콘텐츠 산업론, 뉴미디어 세미나 등을 강의하고 있다. 연세대학교 화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 텔레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를, 인디애나주립대학교에서 매스커뮤니케이션 박사학위를 받았다. 정보통신정책연구원에서 방송 산업과 방송통신 융합 산업과 관련된 다양한 정책 수립에 기여했다. 한국방송학회 연구이사, 정보통신정책학회 책임편집위원, 정보통신정책학회 총무이사 등을 역임했고, 현재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편집이사, 한국미디어경영학회 총무이사로 활동하고 있다. 저서로는 『미디어 다양성』(공저, 2011), 『미디어 생태계』(공저, 2011), 『소셜미디어』(공저, 2012),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공저, 2014) 등이 있고, Journal of Media Economic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Information Economics and Policy, Computers in Human Behavior 등의 저널에 다수의 논문을 게재했다.
펼치기
이상우의 다른 책 >
심용운 (지은이)    정보 더보기
SK경영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이다. 영국 웨스트민스터대학교에서 정보통신정책 분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SK텔레콤 정책연구팀장, 컨버전스연구팀장, 방송위원회 연구원을 역임했다. 정보사회학회, 미디어경영학회, 언론학회, 방송학회에서 이사 및 감사, ≪정보사회와 미디어≫와 ≪방송통신연구≫ 등 학술지 편집위원, 방송통신위원회와 방송통신전파진흥원 자문 및 심의조정위원 등 학계와 산업계에서 폭넓게 활동하고 있다. 『마르퀴스후스후(Marquis Who’s Who)』(2018년판)에 등재되었고 2018년도에 앨버트닐슨마르퀴스평생공로상(Albert Neilson Marquis Lifetime Achievement Award) 수상자로 선정되었다.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2014), 『ICT 생태계』(2014), 『콘텐츠』(2013), 『소셜미디어』(2012), 『미디어 생태계』(2011), 『미디어의 미래』(2008), 『컨버전스 2.0시대의 비즈니스』(2007) 등 10여 권의 공저가 있다.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cation, Technological Forecasting and Social Change, Telecommunications Policy를 포함한 SSCI 국제 학술지에 1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펼치기
김성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에서 미디어경영과 뉴미디어를 가르치고 있으며, 한국미디어경영학회 회장이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학위를 받았고,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텔레커뮤니케이션 전공으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SK에서 13년간 정보통신 분야 신규 사업을 담당하였고 개방형 직위인 서울특별시 정보시스템 담당관을 거쳐 카이스트(구 한국정보통신대학교) 경영학부 부학부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초빙연구원 등을 역임했다. 저서로는 『창업기획: 창업 어떻게 실행할 것인가』(2014, 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신동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교수이자 학과장이다. BK21플러스사업단장으로 일하고 있다. 한국연구재단의 우수학자로 선정되었고(2014), 한국언론학회, 한국HCI학회, 미디어경영학회, 정보통신정책학회, 한국정보사회학회에서 이사를 역임하고 있다.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s,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Telecommunications Policy, Computers in Human Behaviors, Information Technology and 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Communications, Info, Human-Computer Interaction 등의 국제저널 편집위원이다.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미디어, 정보통신 정책·경영, 스마트 콘텐츠 분야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펼치기
박주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며 학부와 대학원에서 미디어 산업론, 디지털미디어정책, 미디어엔터테인먼트 콘텐츠론을 강의하고 있다.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으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을 지냈고, 방송통신위원회 방송시장 경쟁상황평가위원회, 공익채널평가위원회 등 다양한 정책영역 위원으로 활동했으며, 미디어 관련 다양한 학회에서 활동 중이다. 연구 관심분야는 미디어산업정책과 콘텐츠 영역이다.
펼치기
박주연의 다른 책 >
권영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64년생. 현재 카이스트 기술경영학부 교수, 교육원장 겸 교수학습혁신센터장. 미국 시라큐스대학교에서 도시경제학 박사학위 받음. 카이스트 기술경영학부장 및 기술경영전문대학원장, 정보와 사회 학술지 편집위원장, 대통령직속 국가미래전략위원회 분과위원장 역임. Telecommunications Policy 저널 편집위원, Scopus 선정자문 한국위원회 위원 재임. 공저로 『호모컨버전스: 제4차 산업혁명과 미래사회』 『인터넷 생태계에 대한 9가지 질문』 『방송통신 정책과 전략: 다학문적 접근』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 등이 있음.
펼치기
최세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시건주립대학교에서 광고학 석사, 매스미디어(광고)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소비자심리, 뉴미디어, 디지털 마케팅, 애드테크 등이며, 주요 저서로는 『스마트 생태계와 미디어 경영 2.0』(공저), 『미디어경영론』(공저), 『인터넷 생태계에 대한 9가지 질문』(공저), 『데이터 시대의 언론학 연구』(공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규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경영대학 조교수이며, 하버드대학교 법학대학 변호프로그램의 겸임교수다. 한국전략경영학회 상임이사를 역임한 후 현재 감사로 재직 중이며, 한국미디어경영학회 이사다.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및 동대학원을 졸업하였으며, 카네기멜론대학교에서 정보시스템매니지먼트 석사학위를, 시카고대학교에서 MBA와 경영학 박사를 졸업하였다. 주로 소셜 네트워크 이론과 조직 정체성 및 조직 지위 이론에 관심이 많으며, 주요 논문은 Organization Science, Research in the Sociology of Organizations 등에 발표되었다.
펼치기
이문행 (지은이)    정보 더보기
수원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성균관대학교에서 불문학으로 학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프랑스 파리2대학에서 방송 산업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 연구 분야는 방송 경영과 콘텐츠 유통이다. 한국방송통신위원회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의 자문교수이며, 서울방송과 제일기획, CJ미디어에서 근무했고, MGM Korea 대표이사로 재직했다. 미디어경영학회, 언론학회, 방송학회에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
펼치기
이문행의 다른 책 >
정윤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미디어학부 교수이다. 서강대학교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한국과학기술원에서 IT경영석사를, 미국 루이지애나주립대학교에서 경영정보학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주요 관심 분야는 새로운 정보기술에 대한 사용자의 인식 및 사회적 수용이며, 주요 논문으로는 “Exploring Associations between Young Adults’ Facebook Use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 Goal Hierarchical Approach”, “The Common Sense of Dependence on Smartphone: A Comparison between Digital Natives and Digital Immigrants”, 저서로는 『미디어 경영론』(공저), 『TV홈쇼핑산업의 이해』(공저)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스마트한 기능을 탑재한 미디어 기기의 진화는 폐쇄적 가치사슬을 더 이상 유지하기 어렵게 만들고 있다.
_ 심용운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가 케이블TV, 게임과 같은 기존 매체를 시간적으로 대체하고 있다.
_ 이상우

앞으로 다가올 기술 혁신은 인간과 기계, 다양한 기기 사이에 존재하는 인터페이스의 혁명에서 비롯될 것이다.
_ 권영선

ICT 생태계에서 M&A는 새로운 시장과 제품군을 창출하려는 기업이 성장을 위해 취하는 강력한 도구다.
_ 박주연

지상파방송사의 지속가능성을 높이려면 외부 OTT, 즉 멀티숍을 적극 활용해 콘텐츠 유통경로를 다변화해야 한다.
_ 김성철

스마트 광고에 필요한 것은 기술과 미디어의 가치를 광고의 가치로 전환하고 확장하는 것이다.
_ 최세정

소셜 미디어에서 형성된 정체성은 정보 확산과 커뮤니티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_ 김영규

글로벌 미디어 기업 전략 세 가지는 해외 시장 진입, 수직적 통합과 보완재 전략, 융합과 브로드밴드 서비스 전략이다.
_ 이문행

이용자 후생을 최우선으로 하는 미디어 거버넌스의 새로운 패러다임이 미디어 경영 2.0의 핵심이다.
_ 신동희

미디어 콘텐츠에서 정보를 제시하는 방식은 사용자 경험의 관점에서 유형화되어야 한다.
_ 장병희

디지털 미디어의 외형적 혜택 외에 인간 삶에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는 잠재적 위험도 함께 논의해야 한다.
_ 정윤혁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304349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