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창의적사고/두뇌계발
· ISBN : 9791140707331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3-12-20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당신의 뇌는 아직 바뀔 수 있다
1장. 우리는 뇌가 가진 가능성을 아직 모른다
당신에게는 뇌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1만 명의 뇌를 보고 발견한 사실 | 뇌 사진 속 검은 부분의 정체 | 뇌 사용법을 익혀야 하는 이유 | 마음을 관장하는 뇌부터 바꿀 것 | 뇌의 주요한 여덟 가지 영역 | 뇌를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 뇌는 의식하는 것만으로도 활성화된다
명상을 시작하는 기본 자세
뇌에 산소를 효율적으로 보내는 호흡 | 오롯이 나에게만 집중하는 시간유 | 기분은 새롭게, 감각은 예민하게 | 뇌과학적으로 권하는 호흡의 길이
2장. 세상을 보는 눈이 바뀌면 인생은 더 풍요로워진다_‘보는 힘’을 기르는 명상
보는 힘을 길러야 살아갈 힘이 생긴다
우리는 보는 것 같으면서도 보지 않는다 | 보는 힘은 곧 필요한 것을 알아채는 힘 | 뇌의 토대가 되는 시각계
보는 힘을 기르는 명상 ① 눈앞에 펼쳐진 자연을 있는 그대로 보기
보는 힘을 기르는 명상 ② 머릿속으로 시각회로 그려보기
보는 힘을 기르는 명상 ③ 한 가지 색을 의식하면서 행동하기
보는 힘을 기르는 명상 ④ 사진 속에 내가 있다고 상상하기
보는 힘을 기르는 명상 ⑤ 식물을 세세하게 상상하기
3장. 기억을 올바르게 다루면 멘탈이 강해진다_‘기억력’을 높이는 명상
기억력은 곧 삶의 질이다
나의 뇌는 기억 정돈을 잘하고 있는가? | 삶의 중심을 잡아줄 기억 명상
기억력을 높이는 명상 ① ‘그날 일어난 일’을 시간순으로 자세하게 떠올려보기
기억력을 높이는 명상 ② 감정기억과 함께 하루를 되돌아보기
기억력을 높이는 명상 ③ 불쾌한 기억을 담아놓는 상자 만들기
기억력을 높이는 명상 ④ 즐거운 기억을 종이에 적기
기억력을 높이는 명상 ⑤ 사진 앨범을 보고 ‘당시의 기분’을 떠올리기
4장. 어떠한 고민에도 끄덕없는 뇌를 만들어라_‘유연한 뇌’를 만드는 명상
고민을 딛고 뇌가 앞으로 나아갈 수 있게
고민이 생기는 뇌의 메커니즘 | 고민에 빠졌을 때 필요한 것 | 뇌가 바뀌면 고민도 달라진다
유연한 뇌를 만드는 명상 ① 머릿속에서 ‘빨간 동그라미’와 ‘파란 동그라미’ 바꾸기
유연한 뇌를 만드는 명상 ② 고민을 넣는 머릿속 주머니 만들기
유연한 뇌를 만드는 명상 ③ 콩주머니 놀이로 좌뇌와 우뇌를 번갈아 자극하기
유연한 뇌를 만드는 명상 ④ 팔을 최대한 천천히 위아래로 움직이기
5장. 과부화된 뇌에게 휴식과 집중력을 되돌려주기_‘전환 스위치’를 만드는 명상
때에 맞춰 뇌를 바꿀 줄 알아야 일의 능률이 올라간다
집중할 때는 집중하는 뇌, 쉴 때는 쉬는 뇌 | 뇌에 전환 스위치를 만드는 기본 원칙 | 전환 스위치를 만드는 데 필요한 시간
전환 스위치를 만드는 명상 ① 1분 동안 천천히 반복해서 옆뛰기
전환 스위치를 만드는 명상 ② 앉아서 손으로 천천히 무한대 그리기
전환 스위치를 만드는 명상 ③ 1분 동안 한곳만 바라보기
전환 스위치를 만드는 명상 ④ 온몸을 구석구석 천천히 어루만지기
전환 스위치를 만드는 명상 ⑤ 운동계를 작동시키는 몸동작
6장. 더 나은 삶을 살고 싶다면 뇌의 균형을 되찾아라
내가 아니라 ‘뇌’가 문제였다
통제감을 잃어버렸다면 뇌의 불균형을 의심할 것 | 일상생활의 작은 변화에도 뇌의 균형이 깨진다 | 보는 힘을 잃어버려도 마음에 문제가 생긴다
인생에 뇌과학 명상이 필요한 순간
효과 ① 뇌 가지가 발달한다 | 효과 ② 발달이 더딘 신경세포가 활성화된다 | 효과 ③ 뇌 가지의 균형이 잡힌다 | 당신의 뇌는 당신을 돕고 싶어한다
나가며 행복을 끌어당기는 뇌과학
리뷰
책속에서
우울, 슬픔, 좌절과 같은 기분은 마음 상태에 따라 달라진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렇지 않습니다. 마음의 파도를 지배하는 것은 뇌입니다. ‘행복하다’고 느끼는 것이 뇌라면, ‘행복하지 않다’라고 결정하는 것도 뇌입니다. 긍정적으로 사물을 바라보는 것이 뇌라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도 뇌입니다. _당신에게는 뇌의 최적화가 필요하다
길에서 사람들을 관찰해보면 대부분 손에는 스마트폰을 들고, 귀에는 이어폰을 꽂은 채 음악을 듣고 있습니다. 눈동자는 공허하고, 눈에 비치는 것에 집중하지 않으며, 다른 생각을 하는 듯한 표정으로 걸어갑니다. 눈에 비치는 정보를 모두 받아들이라는 말이 아닙니다. 자신이 원하는 정보나 사실만을 ‘골라서’ 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리는 보는 것을 직접 고를 수 있습니다. 뇌 사용법을 활용하며 눈에 비치는 것이 바뀌며, 사물을 보는 시각이나 인상도 달라집니다. 곧 ‘여러분이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보는 것의 가치가 달라진다’라는 말입니다. _보는 힘을 길러야 살아갈 힘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