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바로찾는 한국근대국가학 8

바로찾는 한국근대국가학 8

(제 8권 제미나이가 검증한 역동적 문화대국 조선)

김석준 (지은이)
부크크(bookk)
4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49,000원 -0% 0원
0원
49,000원 >
49,000원 -0% 0원
0원
49,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바로찾는 한국근대국가학 8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바로찾는 한국근대국가학 8 (제 8권 제미나이가 검증한 역동적 문화대국 조선)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91141929541
· 쪽수 : 686쪽
· 출판일 : 2025-03-31

목차

차 례

머 리 말 / v

차 례 / ix

여 는 장 / 1

1. 연구 목적과 의의 / 1
2. 연구의 기본 방향 / 8
3. 연구의 과제 / 11
4. 연구방법 / 20
5. 이 책의 명제와 가설들 / 33

제 1 권 조선의 건국과 국가이론

제 1 장 한국 근대국가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 / 53

[명제 1]한국 근대국가 연구의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 53
[가설 1-1]국가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학문적 분과의 종합적 접근 / 60
[가설 1-2]조선 연구 분과학문의 단편적 접근과 총체성 결여 / 62
[가설 1-3] 한국 근대학문의 세분화와 전문화에 따른 한계 분석 / 63
[가설 1-4] 분과학문 발전의 한계와 국가이론의 통합적 접근 / 65

제 2 장 한국 근대사학과 사관의 전개 / 66

[명제 2] 한국 근대사학과 사관의 분화와 한계 66
[가설 2-1] 역사의 왜곡과 연구자의 시각 / 68
[가설 2-2] 역사 연구의 시각과 이해관계 추구 / 69
[가설 2-3] 승자의 변화에 따른 사관과 사학의 변화 / 71
[가설 2-4] 역사 해석의 중립적, 과학적, 종합적 접근 / 72
[가설 2-5] 전통사관과 전통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73
[가설 2-6] 노론사관과 중화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74
[가설 2-7] 황국사관·식민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76
[가설 2-8] 민족·신민족주의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77
[가설 2-9] 유물·계급사관과 사회경제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79
[가설 2-10] 실증사관과 실증주의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81
[가설 2-11] 민중주의사관과 민중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83
[가설 2-12] 북한의 주체사관과 주체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84

제 3 장 식민사학·중화사학의 전개와 그 극복 / 86

[명제 3] 식민·신식민사학과 중화·노론사학의 구조적 왜곡과 극복 / 86
[가설 3-1] 중화사학과 노론사학의 왜곡과 역사공정의 연속성 / 87
[가설 3-2] 식민사학과 신식민사학의 확대 재생산과 조선사의 왜곡 / 89
[가설 3-3] 집단지성과 인공지능을 통한 식민·중화·노론사학의 극복 / 90

제 4 장 한국 근대국가에 대한 국가이론적 접근 / 92

[명제 4] 조선의 국가 개념 및 변동 분석에 대한 통합적 국가학의 적실성 / 92
[가설 4-1] 7가지 국가 개념을 통한 비교·분석·통합적 연구의 적실성 / 94
[가설 4-2] 국가 내부 개념 변수들의 상호작용 및 시기별 변화 / 95
[가설 4-3] 국가 내부 변수와 외부 환경 간의 상호작용 및 변동 과정 / 97
[가설 4-4] 국가의 변동 및 활동 전개 순서 / 98
[가설 4-5] 국가 성격의 다양성과 복합성 분석 / 101

제 5 장 사회계급세력의 변동과 조선의 건국 / 103

[명제 5] 조선 건국에서 사회계급세력의 변동과 정책의 영향 / 103
[가설 5-1] 조선 건국 주도세력의 성격과 한계인 집단 / 104
[가설 5-2] 조선 건국 세력의 유교 성리학 기반 관료국가 운영 / 106
[가설 5-3] 조선의 국가 이념과 지배 원칙 / 109
[가설 5-4] 사회계급의 응집력과 국가의 지위 및 능력의 관계 / 110

제 6 장 세계체제의 변동과 조선의 건국 / 113

[명제 6] 세계체제 위기와 주변 국가의 변동 및 위상의 관계 / 113
[가설 6-1] 세계 문화체제의 지배와 국가 간 문화·외교 관계의 중요성 / 114
[가설 6-2] 17세기 이전의 정치·군사적 세계체제와 동양의 패권 국가 / 115
[가설 6-3] 명나라의 숭문정책과 문치주의가 조선 건국에 미친 영향 / 117
[가설 6-4] 위화도 회군이 조선 건국의 결정적 요인이었는가? / 118
[가설 6-5] 조선 건국에서 유교 성리학의 채택이 미친 영향 / 120
[가설 6-6] 조선의 독자적 국가 정체성 구축 / 121
[가설 6-7] 조선의 독자적인 국가 이념이 실제 정책에 어떻게 반영? / 122
[가설 6-8] 조선의 유교적 정책과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차별성 비교 / 123
[가설 6-9] 조선 후기 성리학 체제의 변화를 통한 근대적 개혁 노력 / 125


제 2 권 다섯 얼굴의 조선 국가

제 7 장 ‘백성의 나라’ 조선: ‘나라’로서의 조선 국가 / 127

[명제 7-1] 조선은 백성들이 이룬 역동적인 문화대국 / 127
[가설 7-11] 조선은 하늘이 낳은 백성의 나라 / 128
[가설 7-12] 조선은 문화축적을 통한 세계적인 문화대국 / 129
[가설 7-13] 조선의 주권·외교정책·전쟁·세계적인 500년 장수국가 존속 / 131
[가설 7-14] 조선의 건국이념과 다원적 유교국가의 국민 형성 / 132
[가설 7-15] 조선의 현재적 영토와 미수복의 역사적 영토 / 134
[가설 7-16] 조선은 외왕내제 국가, 대한제국은 자주독립 황제국가 / 135
[가설 7-17] 조선은 역동적이고 독자성, 정체성이 높은 나라 / 136
[명제 7-2] 조선의 7가지 국가변수들의 관계 / 137
[가설 7-21] 조선의 나라와 국왕·황제의 관계 / 138
[가설 7-22] 조선의 나라와 통치집단의 시기별 관계 변화 / 139
[가설 7-23] 조선의 나라와 관료기구·법질서의 시기별 관계 / 140
[가설 7-24] 조선의 나라와 사회관계 응집의 시기별 관계 / 142
[가설 7-25] 조선의 나라와 지배계급의 시기별 관계 / 143
[가설 7-26] 조선의 나라와 지배이데올로기의 시기별 관계 / 145

제 8 장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로서의 조선 국가 / 146

[명제 8] 조선 유교지배이데올로기의 적실성과 타당성 평가 / 146
[가설 8-1] 조선 유교 지배이데올로기와 경연·서연 / 148
[가설 8-2] 조선의 유교 지배이데올로기와 통치집단 / 150
[가설 8-3] 조선 유교 지배이데올로기와 관료기구 및 법질서 / 184
[가설 8-4] 조선의 유교 지배이데올로기와 사회관계 응집 / 151
[가설 8-5] 조선의 유교 지배이데올로기와 지배계급 / 152
[가설 8-6] 조선 유교지배이데올로기

저자소개

김석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김 석 준(金錫俊 Kim, Suk Joon) Ph. D. [주요경력] 서울대학교 학사?행정학석사 미국 UCLA 정치학석사?정치학 박사 미국 Phi Beta Kappa Award 이화여자대학교교수?기획처장?정보과학 대학원장 BK21 한국사회뉴거버넌스교육-연구단장 하버드대학교 옌칭연구소 초빙교수 옥스퍼드대학교 벨리올칼리지 초빙교수 UCLA 초빙교수?서울대학교 초빙교수 안양대학교 총장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총장 한국행정학회 회장 한동대학교 석좌교수 한국NGO학회 창립공동대표 11대 과학기술정책연구원장 17대 국회의원 17대 대한민국국회 역사왜곡대책특위위원 대한민국 헌정회 영토특위 위원장 한국대학신문 발행인 UNESCO 한국위원회 위원 행정고등고시?입법고등고시?지방행정고등고시?5급공무원 국가고시위원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회 위원?행정개혁위원·대한민국정부 총리실 및 행정 부처 자문위원 미국 마르퀴즈 후즈후·영국 국제인명사전·미국인명사전 1992년 명예의전당·세계지식인100인 등재 한국행정학회 초대 학술상(저서) 대한민국 헌정대상 2021, 국무총리 표창 2025 자랑스러운 UCLA인상 등 수상 [AI연구총서] 1권: 《AI혁명》, 2권: 《세계의 AI혁명》, 3권: 《대한민국 AI혁명》 [SMIT총서] 《한국고대국가학》(개정판, 2022) 《고조선국가연구》, 《고조선행정사》, 《일곱얼굴고조선》, 《조선국가연구》, 《조선행정사》, 《일곱얼굴조선사》 《한국중세국가학》(상ㆍ하) 《고려국가연구》, 《고려행정사》, 《일곱얼굴고려사》, 《4차산업혁명과 교육혁신》 《한국근대국가학》 전 9권. 1권: 조선의 건국과 국가이론. 2권: 다섯얼굴 조선국가, 3권: 조선의 통치집단과 통치자, 4권: 조선의 국가성격과 국가능력, 5권: 조선의 국가정책. 6권: 대한제국, 7권:챗GPT가검증한 역동적문화대국조선. 8권:제미나이가검증역동적문화대국조선. 9권:딥시크 검증한 문화대국 조선. [총서 외 주요저서] The State, Public Policy and NIC Develop- ment (1988) Empowering Korea With New Innovations (et. al. 2011) Making the High-Speed Train Fly: (et. al. 2011, Jimoon-dang). 《바로 찾는 한국고대국가학: 고조선의 국가와 행정》 (2020, 대영문화사) [2020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국가능력과 경제통치술》 (2002), 《현대 대통령연구 1》 (2000) 《미군정기의 국가와 행정》 (1996,) 《국가변동론》 (1994) 《한국산업화국가론》 (1992, 나남)[1993. 한국행정학회 초대 학술상(저술부문)] 《한국자본주의국가위기론》 (1991, 풀빛) 《거버넌스의 정치학》 (대표공저, 2005) 《거버넌스의 이해》 (대표공저, 2002) 《뉴 거버넌스와 사이버거버넌스 연구》 (대표공저, 2001, 대영문화사) 《뉴거버넌스 연구》 (대표공저, 2000) 《대통령과 국가정책》 (대표, 1994) 《국가와 공공정책》 (대표 1991) 등 다수. 서울미디어대학원대학교 출판문화원 한국인공지능학(AI)연구원?심재한국학연구원 [AI연구총서] 1. 김석준. 《AI혁명》 2. 김석준. 《세계의 AI혁명》 3. 김석준. 《대한민국 AI혁명》 4. 김석준. 《AI시대 교육혁명》 5. 김석준. 《산업혁명과 AI혁명》 6. 김석준. 《AI혁명과 학문》 7. 김석준. 《AI혁명과 사회혁명》 8 김석준. 《AI혁명과 과학기술혁명》 9. 김석준. 《AI혁명과 정치혁명》 10 김석준. 《AI혁명과 경제혁명》 11. 김석준. 《AI혁명과 문화혁명》 [SMIT 총서] 1. 김석준. 《4차산업혁명과 교육혁신》 2. 김석준. 《고조선국가연구》 3. 김석준. 《일곱 얼굴 고조선》 4. 김석준. 《고조선행정사》 5. 김석준. 《한국중세국가학:(상)》 6. 김석준. 《한국중세국가학(하)》 7. 김석준. 《고려국가연구》 8. 김석준. 《일곱 얼굴 고려국가》 9. 김석준. 《고려행정사》 10. 김석준. 《한국고대국가학》 (개정판) 11. 김석준. 《한국근대국가학》 1권 12. 김석준. 《한국근대국가학》 2권 13. 김석준. 《한국근대국가학》 3권 14. 김석준. 《한국근대국가학》 4권 15. 김석준. 《한국근대국가학》 5권 16. 김석준. 《한국근대국가학》 6권 17. 김석준. 《한국근대국가학》 7권 18. 김석준. 《한국근대국가학》 8권 19. 김석준. 《한국근대국가학》 9권 20. 김석준. 《조선국가연구》 I 21. 김석준. 《조선국가연구》 II 22. 김석준. 《일곱얼굴조선국가》 I 23. 김석준. 《일곱얼굴조선국가》 II 24. 김석준. 《조선행정사》 I 25. 김석준. 《조선행정사》 II 26. 김석준. 《한국근대국가조선이론연구》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