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정치학 일반
· ISBN : 9791141929541
· 쪽수 : 686쪽
· 출판일 : 2025-03-31
목차
차 례
머 리 말 / v
차 례 / ix
여 는 장 / 1
1. 연구 목적과 의의 / 1
2. 연구의 기본 방향 / 8
3. 연구의 과제 / 11
4. 연구방법 / 20
5. 이 책의 명제와 가설들 / 33
제 1 권 조선의 건국과 국가이론
제 1 장 한국 근대국가에 관한 선행 연구 검토 / 53
[명제 1]한국 근대국가 연구의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 53
[가설 1-1]국가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학문적 분과의 종합적 접근 / 60
[가설 1-2]조선 연구 분과학문의 단편적 접근과 총체성 결여 / 62
[가설 1-3] 한국 근대학문의 세분화와 전문화에 따른 한계 분석 / 63
[가설 1-4] 분과학문 발전의 한계와 국가이론의 통합적 접근 / 65
제 2 장 한국 근대사학과 사관의 전개 / 66
[명제 2] 한국 근대사학과 사관의 분화와 한계 66
[가설 2-1] 역사의 왜곡과 연구자의 시각 / 68
[가설 2-2] 역사 연구의 시각과 이해관계 추구 / 69
[가설 2-3] 승자의 변화에 따른 사관과 사학의 변화 / 71
[가설 2-4] 역사 해석의 중립적, 과학적, 종합적 접근 / 72
[가설 2-5] 전통사관과 전통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73
[가설 2-6] 노론사관과 중화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74
[가설 2-7] 황국사관·식민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76
[가설 2-8] 민족·신민족주의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77
[가설 2-9] 유물·계급사관과 사회경제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79
[가설 2-10] 실증사관과 실증주의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81
[가설 2-11] 민중주의사관과 민중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83
[가설 2-12] 북한의 주체사관과 주체사학의 적실성과 타당성 / 84
제 3 장 식민사학·중화사학의 전개와 그 극복 / 86
[명제 3] 식민·신식민사학과 중화·노론사학의 구조적 왜곡과 극복 / 86
[가설 3-1] 중화사학과 노론사학의 왜곡과 역사공정의 연속성 / 87
[가설 3-2] 식민사학과 신식민사학의 확대 재생산과 조선사의 왜곡 / 89
[가설 3-3] 집단지성과 인공지능을 통한 식민·중화·노론사학의 극복 / 90
제 4 장 한국 근대국가에 대한 국가이론적 접근 / 92
[명제 4] 조선의 국가 개념 및 변동 분석에 대한 통합적 국가학의 적실성 / 92
[가설 4-1] 7가지 국가 개념을 통한 비교·분석·통합적 연구의 적실성 / 94
[가설 4-2] 국가 내부 개념 변수들의 상호작용 및 시기별 변화 / 95
[가설 4-3] 국가 내부 변수와 외부 환경 간의 상호작용 및 변동 과정 / 97
[가설 4-4] 국가의 변동 및 활동 전개 순서 / 98
[가설 4-5] 국가 성격의 다양성과 복합성 분석 / 101
제 5 장 사회계급세력의 변동과 조선의 건국 / 103
[명제 5] 조선 건국에서 사회계급세력의 변동과 정책의 영향 / 103
[가설 5-1] 조선 건국 주도세력의 성격과 한계인 집단 / 104
[가설 5-2] 조선 건국 세력의 유교 성리학 기반 관료국가 운영 / 106
[가설 5-3] 조선의 국가 이념과 지배 원칙 / 109
[가설 5-4] 사회계급의 응집력과 국가의 지위 및 능력의 관계 / 110
제 6 장 세계체제의 변동과 조선의 건국 / 113
[명제 6] 세계체제 위기와 주변 국가의 변동 및 위상의 관계 / 113
[가설 6-1] 세계 문화체제의 지배와 국가 간 문화·외교 관계의 중요성 / 114
[가설 6-2] 17세기 이전의 정치·군사적 세계체제와 동양의 패권 국가 / 115
[가설 6-3] 명나라의 숭문정책과 문치주의가 조선 건국에 미친 영향 / 117
[가설 6-4] 위화도 회군이 조선 건국의 결정적 요인이었는가? / 118
[가설 6-5] 조선 건국에서 유교 성리학의 채택이 미친 영향 / 120
[가설 6-6] 조선의 독자적 국가 정체성 구축 / 121
[가설 6-7] 조선의 독자적인 국가 이념이 실제 정책에 어떻게 반영? / 122
[가설 6-8] 조선의 유교적 정책과 동아시아 국가들과의 차별성 비교 / 123
[가설 6-9] 조선 후기 성리학 체제의 변화를 통한 근대적 개혁 노력 / 125
제 2 권 다섯 얼굴의 조선 국가
제 7 장 ‘백성의 나라’ 조선: ‘나라’로서의 조선 국가 / 127
[명제 7-1] 조선은 백성들이 이룬 역동적인 문화대국 / 127
[가설 7-11] 조선은 하늘이 낳은 백성의 나라 / 128
[가설 7-12] 조선은 문화축적을 통한 세계적인 문화대국 / 129
[가설 7-13] 조선의 주권·외교정책·전쟁·세계적인 500년 장수국가 존속 / 131
[가설 7-14] 조선의 건국이념과 다원적 유교국가의 국민 형성 / 132
[가설 7-15] 조선의 현재적 영토와 미수복의 역사적 영토 / 134
[가설 7-16] 조선은 외왕내제 국가, 대한제국은 자주독립 황제국가 / 135
[가설 7-17] 조선은 역동적이고 독자성, 정체성이 높은 나라 / 136
[명제 7-2] 조선의 7가지 국가변수들의 관계 / 137
[가설 7-21] 조선의 나라와 국왕·황제의 관계 / 138
[가설 7-22] 조선의 나라와 통치집단의 시기별 관계 변화 / 139
[가설 7-23] 조선의 나라와 관료기구·법질서의 시기별 관계 / 140
[가설 7-24] 조선의 나라와 사회관계 응집의 시기별 관계 / 142
[가설 7-25] 조선의 나라와 지배계급의 시기별 관계 / 143
[가설 7-26] 조선의 나라와 지배이데올로기의 시기별 관계 / 145
제 8 장 ‘지배이데올로기·상부구조’로서의 조선 국가 / 146
[명제 8] 조선 유교지배이데올로기의 적실성과 타당성 평가 / 146
[가설 8-1] 조선 유교 지배이데올로기와 경연·서연 / 148
[가설 8-2] 조선의 유교 지배이데올로기와 통치집단 / 150
[가설 8-3] 조선 유교 지배이데올로기와 관료기구 및 법질서 / 184
[가설 8-4] 조선의 유교 지배이데올로기와 사회관계 응집 / 151
[가설 8-5] 조선의 유교 지배이데올로기와 지배계급 / 152
[가설 8-6] 조선 유교지배이데올로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