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제주도 濟州島

제주도 濟州島

(1935~1965 일본 문화인류학자의 30년에 걸친 제주도 보고서)

이즈미 세이치 (지은이), 김종철 (옮긴이)
여름언덕
2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제주도 濟州島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제주도 濟州島 (1935~1965 일본 문화인류학자의 30년에 걸친 제주도 보고서)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인류학/고고학 > 민속학
· ISBN : 9791155100226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4-05-25

책 소개

일본 문화인류학자의 30년에 걸친 제주도 보고서. 제주 섬의 지질과 동식물 분포 같은 자연환경에서부터 신화와 역사, 사람들의 의식주를 비롯해 종교, 언어, 풍습, 상례·혼례·제례 등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진 섬의 모든 것이 담겨 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제주도민족지(1935~37년 현재)

제1장 자연환경

제1절 지질
제2절 지형.수계.해류
제3절 기상
제4절 식물 및 동물
(가) 제주도의 식물
(나) 제주도의 동물
제5절 종합

제2장 촌락 연구

제1절 주민과 역사
(가) 개벽 신화와 ‘솟아나는 신(神)’
(나) 일본과의 관계
(다) 제주도인의 신체 형질
(라) 몽골 및 운남과의 관계
제2절 부락의 분포 상태와 그 성격
제3절 제주도 내의 성씨
제4절 촌락과 일터
제5절 교통
제6절 종합

제3장 가족 연구

제1절 세대인구와 가족성원
제2절 가족의 음식물
제3절 농업과 가족
(가) 농업과 그 기술
(나) 농업 노동의 형태
(다) 숯 굽기[製炭]와 사냥
제4절 목축과 가족
(가) 목축과 그 기술
(나) 목축 노동의 형태
제5절 어로와 가족
(가) 어업과 그 기술
(나) 어업 노동의 형태
(다) 나잠과 그 기술
(라) 나잠 노동의 형태
제6절 섬의 여성
(가) 가족 내의 분업과 여성의 지위
(나) 결혼과 출산
제7절 종합

제4장 초가족집단 연구

제1절 친족관계
(가) 식게[祖上祭]
(나) 장례식
(다) 마을과 친족집단
제2절 품앗이와 계
(가) 수눌음(품앗이)
(나) 계 및 기타 집단
(다) 기타 기능적 집단
제3절 말방애 집단
제4절 물을 중심으로 하는 생활
(가) 이용되는 물의 종류
(나) 용수를 중심으로 하는 집단
(다) 용수권과 말방애 집단
제5절 종합

제5장 제주도의 종교

제1절 섬의 성소(聖所)
(가) 보편적 성소
(나) 개별적 성소
제2절 우도(牛島) 도네마을의 행사
(가) 정기 행사
(나) 임시 행사
제3절 종합

제6장 제주도 민구(民具)

제1절 의류
(가) 갈옷(감물옷)
(나) 가죽옷
(다) 관모
(라) 우의
(마) 신발
제2절 식기 및 기타 생활용구
(가) 식기
(나) 구덕(대바구니)
(다) 차롱(뚜껑 있는 대바구니)
(라) 질그릇
제3절 농구
(가) 경작 농구
(나) 제초, 수확 용구
(다) 도정 용구
(라) 잡구
제4절 어구
(가) 어선
(나) 어망
(다) 낚시 도구
(라) 둠북 채집구
(마) 나잠 용구
제5절 가옥

제2부 도쿄에 있어서의 제주도인(1950년 현재)

1. 머리말
2. 도쿄 X지구 제주도인의 이주 경과
3. X지구 제주도인의 분포, 사회 결합
4. 가족 구조
5. 성씨와 이름
6. 남녀의 생활
7. 소비 생활
8. 교육.종교 생활
9. 성격.로르샤흐 테스트에 의한 분석

제3부 제주도에 있어서의 30년(1965년 현재)

1. 머리말
2. 경제 변동
3. 가족과 친족의 변동
4. 맺음말

역자의 말을 대신하여
주석
제주도 관계 문헌 목록

저자소개

이즈미 세이이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15년 일본 도쿄 출생. 1927년 부친 이즈미 아키라가 경성제대 교수로 부임하면서 조선으로 이주하였다. 경성공립동대문소학교(이후 동대문초등학교, 1972년 폐교), 경성부립중학교(현 서울고등학교)와 경성제대 법문학부를 졸업했다. 1949년 메이지대학 조교수, 1951년 도쿄대학 조교수와 교수를 거쳐 1970년에는 도쿄대학 동양문화연구소 소장직을 역임하였다. 1970년 11월 뇌출혈로 급서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잉카제국-사막과 고산의 문명(インカ帝国-砂漠と高山の文明)』(1959), 『안데스의 예술(アンデスの芸術)』(1964), 『제주도(済州島)』(1966), 『필드노트-문화인류학·사색의 길(フィールド·ノート-文化人類学·思索の旅)』(1967), 『머나먼 산들(遥かな山やま)』(1971), 『이즈미 세이이치 저작집(泉靖一著作集)』(전7권, 1971~197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즈미 세이이치의 다른 책 >
김종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27년 제주에서 태어났다. 『제주신보』를 시작으로 『제주신문』, 『제남신문』, 제주KBS와 제주MBC에서 편성부장, 편집국장 등을 두루 거쳤다. 한라산을 1천 회 이상 등반하는 등 산을 미치도록 사랑하여 평생 산과 더불어 살았다. 제주산악회를 창립했고 우리나라 최초의 민간 산악구조대인 제주적십자산악안전대 대장으로서 많은 인명을 구했다. 1990년부터 뭍에는 낯설고 제주에서조차 잊혀 가던 오름에 대한 답사기를 연재하여 오름의 속내와 거기 깃든 인간의 삶, 제주의 모든 것을 길어 냈다. 당시 일본 문화인류학자 이즈미 세이치의 『제주도』를 번역하기도 했다. 연재를 마친 그는 암과 투병하면서도 원고 정리에 몰두했고 『오름나그네』(전3권)를 펴내고 얼마 지나지 않아 눈을 감았다. 그의 유해는 생전에 그토록 사랑하던 선작지왓의 탑궤 주변에 뿌려졌다. 이제 오름나그네는 그곳 한라산에 잠들어 영원히 오름 왕국을 거닐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제주도는 한반도와 일본 나가사키[長崎] 현과의 중간, 목포 남방 142킬로미터 해상에 가로놓인, 감자 모양의 본도(本島)와 34개의 부속도서[屬島] 및 암초로 이루어진 대화산도로 동경 126도 10분~126도 58분, 북위 33도 12분~33도 34분 사이에 있어 일본의 후쿠오카[福岡] 현, 오이타[大分] 현 및 고치[高知] 현 남단과 거의 같은 위도다. 본도는 동서 약 80킬로미터, 남북 약 40킬로미터, 해안선 2백여 킬로미터로 한반도에서 가장 큰 섬이다.


양·산촌 사람들에게 숯 굽기는 겨울 부업으로, 특히 남자 일로서는 놓칠 수가 없었다. 삼림에서 베어낸 활엽수를 길이 한 자 정도로 잘라서 모양이 반듯한 너무 굵지 않은 것(지름 3~10센티미터)을 종(鐘) 모양으로 쌓는 것을 ‘남재임’이라 한다. 직경 1.8미터, 높이 1.5미터 정도의 남재임 속에 될 수 있으면 세로로 통나무를 쌓아 올린다. 그 다음 적토(赤土)를 물에 반죽하여 밑에서부터 발라 올라간 후 꼭대기에 지름 30센티미터 크기의 연기구멍 ‘굴토’를 낸다. 하부에 60×30센티미터 정도의 땔구멍 ‘불붙임’을 뚫어 점화한다. 연기가 나오는 정도를 엿보아 먼저 굴토, 이후 불붙임을 막고 7일 정도 두었다가 흙벽을 허물어 구워진 숯을 꺼낸다. 그들은 고정된 숯가마를 만들지 않고 수시로 이러한 일회용 숯굴을 만들어 굽는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