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연경재 성해응의 초사담헌

연경재 성해응의 초사담헌

성해응 (지은이), 이성민, 손혜리 (옮긴이), 재단법인 실시학사
사람의무늬
28,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600원 -5% 0원
840원
25,76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연경재 성해응의 초사담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연경재 성해응의 초사담헌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실학
· ISBN : 9791155501337
· 쪽수 : 472쪽
· 출판일 : 2015-10-20

책 소개

실시학사 실학번역총서 9권. 조선 후기 실학자이자 문인인 연경재 성해응이 통일신라 말엽으로부터 18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순절.순난.충의.병의 등의 사적을 남긴 139인의 자취를 취재하여 기록하고 논평한 인물 열전인 <초사담헌>을 현대어로 옮기고. 주해를 달았다.

목차

· 간행사
· 실학번역총서를 펴내며
· 해제

Ⅰ. 「초사담헌(草?談獻)」 1
1. 최치원(崔致遠) / 신라 왕자(新羅王子)
2. 목숙 정승(??政丞) / 왕(王)과 백(白) 두 상서(尙書)
3. 대낭혜(大朗慧) / 지증(智證) / 혜소(慧昭)
4. 남을진(南乙珍) / 조유(趙瑜) / 이양소(李陽昭)
5. 이경류(李慶流) / 윤안국(尹安國) / 윤순(尹淳)
6. 정희량(鄭希良) / 박지화(朴枝華)
7. 남사고(南師古) / 정두(鄭斗)
8. 권길(權吉) / 신길원(申吉元)
9. 임환(林?) / 송제민(宋齊民)
10. 정기룡(鄭起龍) / 홍계남(洪季男) / 고언백(高彦伯)
11. 이복남(李福男) / 임현(任鉉) / 김경로(金敬老)
12. 백광언(白光彦) / 이지시(李之詩) / 김덕린(金德麟)
13. 노인(魯認) / 김영철(金永哲) / 최척(崔陟)
14. 곽재우(郭再祐) / 제말(諸沫)
15. 승려 휴정(休靜) / 승려 유정(惟政)
16. 진주(晉州) 기생 / 계월향(桂月香)
17. 유성룡(柳成龍)의 형 / 유림(柳琳)의 숙부

Ⅱ. 「초사담헌(草?談獻)」 2
1. 김섬(金蟾) / 애향(愛香) / 논개(論介) / 금옥(今玉) / 용강(龍岡) 기생
2. 강서(姜緖) / 조충남(趙忠男)
3. 바닷가의 어부[海上漁父] / 예천(醴泉)의 은자(隱者) / 성처사(成處士)
4. 정지승(鄭之升) / 이지번(李之蕃)
5. 김만수(金萬壽) / 김광협(金光鋏)
6. 유희경(劉希慶) / 백대붕(白大鵬)
7. 조덕건(曺德健) / 백윤구(白胤耉)
8. 왕일녕(王一寧) / 김명붕(金溟鵬)
9. 이성량(李成梁)의 딸 / 이성룡(李成龍)
10. 선우협(鮮于浹) / 이재형(李載亨)
11. 정대임(鄭大任) / 박의장(朴毅長)
12. 권정길(權井吉) / 박의(朴義)
13. 박진귀(朴震龜) / 마신선(馬神仙)
14. 경운궁(慶運宮)의 궁녀 / 한보향(韓保香) / 수칙(守則) 이씨(李氏)

Ⅲ. 「초사담헌(草?談獻)」 3
1. 박승임(朴承任) / 윤영(尹鍈)
2. 정시응(鄭時凝) / 송장군(宋將軍)
3. 박연(朴淵) / 어계복(魚繼卜)
4. 황공(黃功) / 강세작(康世爵)
5. 김충선(金忠善) / 귀영가(貴盈哥)
6. 김종립(金宗立) / 조모(趙某)
7. 굴씨(屈氏) / 매환(梅環)
8. 신류(申瀏) / 경하창(慶河昌)
9. 박성석(朴星錫) / 박신원(朴新源)
10. 성규헌(成揆憲) / 김백련(金百鍊)
11. 이부인(李夫人) / 곽부인(郭夫人) / 임부인(任夫人)
12. 강상열효녀(江上烈孝女) / 김은애(金銀愛)
13. 분 파는 할멈[賣粉?] / 옥랑(玉娘) / 유씨(柳氏)의 첩(妾) / 유분(有分)
14. 산남열부(山南烈婦) / 김시우(金時雨)
15. 김게(金?) / 김려명(金呂鳴)
16. 이술원(李述原) / 신명익(愼溟翊) / 전흥도(田興道)

Ⅳ. 「초사담헌(草?談獻)」 4
1. 김진희(金晉?)
2. 이수절(李秀節) / 장숙(張?)
3. 김성기(金聖基) / 김명국(金鳴國)
4. 이태명(李台明) / 승려 치웅(致雄)
5. 홍세태(洪世泰) / 이태(李泰)
6. 가산 동자[嘉山童] / 곽씨(郭氏) 아들
7. 전백록(全百祿) / 전일상(田日祥) / 홍우조(洪禹祚)
8. 형선(刑仙) / 기리쇠(祁利衰)
9. 어석광(魚錫光) / 홍건(洪楗)
10. 취매(翠梅) / 막덕(莫德)
11. 조절부(趙節婦) / 광대의 아내[優人妻]
12. 금희(金姬)
13. 조완(趙山完)
14. 우심(牛尋) / 준수좌(?首坐)
15. 권극중(權克中) / 이덕우(李德宇)

· 부록
「초사담헌(草?談獻)」 1 원문
「초사담헌(草?談獻)」 2 원문
「초사담헌(草?談獻)」 3 원문
「초사담헌(草?談獻)」 4 원문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성해응 (지은이)    정보 더보기
자는 용여(龍汝), 호는 연경재(硏經齋)·난실(蘭室),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집안 대대로 경기도 포천 지역에 거주한 그의 가문은 5대조 성후룡(成後龍)이 인조 때 우의정을 지낸 김상용(金尙容)의 서녀(庶女)와 혼인하면서 서족이 되었다. 안동김씨 집안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했으며 성해응의 종고조인 성완(成琬), 종증조 성몽량(成夢良), 부친 성대중(成大中)이 3대를 연이어 통신사행에 참여했을 정도로 문학적 역량을 공인받은 집안이었다. 이처럼 성해응 집안은 제술관과 서기 등 세직으로서 통신사행에 참여하고, 7대에 걸친 연이은 사마시 합격자를 배출하며 조선 후기 서족명문가로서의 위상을 공고히 했다. 성해응은 24세 되던 1783년(정조 7)에 진사시에 합격한 뒤 29세에 규장각 검서관으로 중앙에 진출했으며, 1800년까지 줄곧 검서관으로 재직하면서 각종 국가 편찬 사업에 참여했다. 이후 상의원별제, 통례원인의, 금정찰방, 음성현감 등을 거쳐 1815년에 고향 포천으로 돌아가 은거했다. 150여 권에 달하는 《연경재전집(硏經齋全集)》을 저술했는데, 18~19세기의 학문과 사상, 문학, 역사, 지리, 서화, 고동(古董)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백과전서식의 저술로 자료적 가치가 크다. 1839년 8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펼치기
이성민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0년 부산에서 태어났다. 동아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한문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고전번역원의 전신인 민족문화추진회 부설 국역연수원에서 연수부 과정을 이수하였다. 한국고전번역원 전문역자를 거쳐 현재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에 재직하고 있다. 번역서로 《월사집 9》, 《환재집 3․4》, 《풍고집 1․5》, 《채근담》이 있고, 공역서로 《동유첩》, 《향산집 4》, 《논어주소 1》, 《연경재 성해응의 초사담헌》, 《석견루시초》, 《풍고집 2》, 《영재집 1》 등이 있다.
펼치기
손혜리 (지은이)    정보 더보기
경북대학교 한문학과와 성균관대학교 대학원에서 한국한문학을 전공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책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연경재 성해응 문학 연구》와 《실학파 문학 연구》(공저)가 있고, 옮긴 책으로 《낮은 자리 높은 마음》, 《연경재 성해응의 초사담헌》(공역), 《유배지에서 역사를 노래하다?영남악부》(공역), 《역주 이십일도 회고시》(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재단법인 실시학사 (기획)    정보 더보기
실학사상의 계승·발전을 위한 학술연구와 지원사업을 수행하기 위해 2010년 설립된 공익재단법인이다. 재단은 벽사 이우성 선생이 1990년 서울 대치동에서 문을 연 ‘실시학사’가 그 모태로, 2010년 모하 이헌조 선생의 사재 출연으로 공익재단법인으로 전환되었다. 실학사상의 학술연구팀을 구성하여 학술대회를 개최하고, 그 연구 성과를 모아 ‘실시학사 실학연구총서’로 출간하고 있다. 또한 재단은 실학 관련 고전을 번역한 ‘실시학사 실학번역총서’를 속속 출간하고 있고, 실학 관련 연구자들의 업적을 현창하고 신진학자를 격려하기 위한 사업으로 ‘벽사학술상’과 ‘모하실학논문상’을 제정하여 시상하는 등 실학 사상의 전파와 교류를 위한 출판, 행사, 교육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재단은 1990년대부터 경학 관계 저술을 강독 번역해온 ‘경학연구회’와 한국한문학 고전을 강독 번역해온 ‘고전문학연구회’, 두 연구회의 공동학술연구모임 등 재단 산하 연구회의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우수한 실학연구자 육성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 재단은 앞으로도 체계적인 접근을 통해서 실학사상이 개화기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근현대에 걸쳐서 우리나라 발전에 어떤 역할을 하였으며, 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지를 연구하게 될 것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우리나라 풍속에서 관기를 둔 것은 고려 때부터 이미 그러하였다. 그러나 금수와 같은 행동으로 사람을 인도한 것이니 이것은 무슨 이치인가. 세종 때 관기를 없애려고 했지만 허조(許稠)에 의해 저지당했으니, 그가 대도(大道)를 알지 못했음이 안타깝다. 그렇기는 하지만 기생으로서 열행(烈行)을 행한 경우가 많으니, 하늘이 부여한 품성은 귀천에 상관없이 똑같다.
|‘김섬(金蟾) / 애향(愛香) / 논개(論介) / 금옥(今玉) / 용강(龍岡) 기생’ 중에서 ■


서양인은 기술이 많고 역법과 의술에 가장 뛰어났는데, 솜씨 좋은 장인과 훌륭한 대장장이들은 거의 바다에 빠져 죽었다. 다만 역법을 아는 자 1명과 권법(拳法)을 아는 자 1명, 조총을 잘 쏘는 자 1명과 큰 돌쇠뇌를 잘 쓰는 자 10여 명이 남아 있다가 후에 대부분 일본으로 도망갔다. ……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에 막혀 도적은 적지만, 동해와 남해가에는 늘 홍모이와 아란타들이 표류하여 이르렀으니 왜구는 더 말할 것도 없다. 바다 가운데 여러 나라들은 모두 난장이가 조잘대는 듯하여 그 풍속을 알 수 없다. 그러나 성질이 사납고 표독하여 쉽게 화를 내며 가지고 있는 병기가 모두 정교하니, 만일 변방에서 흉악한 짓을 한다면 어떻게 제어할 수 있을 것인가? 해외의 풍속이 다른 나라라고 하여 선비가 공부하지 않아서야 되겠는가? 신숙주의 「해중제국기」와 같은 것은 참으로 나라를 운영할 방책을 안 것이다.
|‘박연(朴淵) / 어계복(魚繼卜)’ 중에서 ■


백정과 광대는 천한 자들로, 사람을 욕보일 때 반드시 백정과 광대를 일컫는다. 그런데 어떤 이는 위태로울 때 죽음을 결정하였고 어떤 이는 술수로 남편의 죽음을 면하게 하였으니, 이는 실로 남자도 하기 어려운 일이다. 천한 자들이 비록 스스로 천하게 처신하지만 천하게 처신하지 않는 자도 있다. 사람을 논할 때 걸핏하면 지위의 고하를 따지는 것은 어째서인가?
|‘조절부(趙節婦) / 광대의 아내[優人妻]’ 중에서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