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누구를 위한 화해인가

누구를 위한 화해인가

(<제국의 위안부>의 반역사성)

정영환 (지은이), 임경화 (옮긴이), 박노자 (해제)
푸른역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로딩중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누구를 위한 화해인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누구를 위한 화해인가 (<제국의 위안부>의 반역사성)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역사학 > 역사비평
· ISBN : 9791156120773
· 쪽수 : 280쪽
· 출판일 : 2016-07-09

책 소개

박유하의 <제국의 위안부>과 그를 둘러싼 사태에 대한 전면적이고 종합적인 비판서다. 단순히 박유하의 입장에 대한 표면적인 반박에 머무르지 않고 한일 양국에서 벌어진 '<제국의 위안부> 사태'의 본질과 이 사태의 역사적.사상적.정치적 기원에 대한 총체적 분석의 형태를 띤다.

목차

한국어판에 부쳐

제1장 《제국의 위안부》, 무엇이 문제인가
1. ‘평화의 소녀상’은 무엇을 기다리는가
2. 《제국의 위안부》란 무엇인가
3. 《제국의 위안부》 사태와 일본의 지식인
4. 《제국의 위안부》 비판의 방법과 과제

제2장 일본군 ‘위안부’ 제도와 일본의 책임
1. 《제국의 위안부》는 일본의 책임을 물었는가?
2. 《제국의 위안부》의 역사수정주의 ‘비판’의 특징
3. 《제국의 위안부》의 일본군 책임 부정의 ‘논리’
(1) ‘수요·묵인’ 책임론, 업자주범설
(2) ‘수요·묵인’ 책임론의 오류
(3) 군의 ‘좋은 관여’론
(4) ‘국민동원’론과 ‘자발적 매춘부’론의 공존
(5) ‘성노예’설 비판의 문제점
(6) 미성년자 징집의 경시와 페미니즘 담론의 차용
(7) 일본의 법적 책임과 군의 범죄
4. 정신대 이해의 혼란
(1) 하타 이쿠히코 ‘여자정신근로령 미적용’설의 수용과 몰이해
(2) ‘정신대=자발적 지원’설과 ‘민족의 “거짓말”’론

제3장 왜곡된 피해자들의 ‘목소리’
1. 《제국의 위안부》는 ‘여성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는가?
2. 센다 가코 《종군위안부》의 오독에 의한 ‘애국’의 조탁彫琢
(1) ‘애국’적 존재론
(2) 일본인 ‘위안부’=조선인 ‘위안부’?
3. ‘병사들의 목소리’의 복권과 ‘동지적 관계’론
(1) 후루야마 고마오와 ‘병사들의 목소리’
(2) 부정론자의 담론과 ‘동지적 관계’론
4. ‘여성들의 목소리’의 왜곡과 찬탈
(1) 증언의 왜곡
(2) 증언의 찬탈

제4장 한일회담과 근거 없는 ‘보상·배상’론
1. 피해자들이 보상을 받아들일 기회를 빼앗은 것은 한국 정부였다?
2. ‘1965년 체제’와 《제국의 위안부》
(1) ‘1965년 체제’의 동요
(2) 헌재 결정 이해의 오류와 아이타니 논문의 오독
3. 한일회담과 청구권 문제
(1) ‘위안부’ 피해자의 청구권을 ‘말소’한 것은 한국 정부?
(2) ‘경제협력’은 ‘전후보상’이었다?
(3) 재조선 일본 재산과 개인 청구권

제5장 고노 담화와 국민기금 그리고 식민지 지배 책임
1. 《제국의 위안부》는 식민지주의를 비판했는가?
2. 고노 담화와 국민기금은 ‘식민지 지배 문제’에 응답했는가?
(1) 고노 담화와 식민지 문제
(2) 국민기금의 ‘위로금’은 실질적 보상이었다?
(3) 쿠마라스와미가 일본 정부의 “설명을 받아들였다”?
3. 식민지주의로서의 ‘제국의 위안부’론
(1) 식민지 지배 문제를 전쟁 문제로 왜소화?
(2) 식민지주의로서의 ‘제국의 위안부’론
(3) ‘책임자 처벌’의 부정과 천황의 전쟁 책임
4. 《제국의 위안부》와 ‘두 개의 역사수정주의’

제6장 맺음말: 망각을 위한 ‘화해’에 저항하며

자료
1 _ 한일 외무장관 공동 기자회견(2015년 12월 28일)
2 _ 《제국의 위안부》 한국어판과 일본어판 목차 대조표
3 _ 《제국의 위안부》 출판금지 대상 목록(34곳)과 일본어판의 표현
4 _ 박유하 씨의 기소에 대한 항의성명
5 _ 《제국의 위안부》 사태에 대한 입장
6 _ 위안부 관계 조사 결과 발표에 관한 고노 내각관방장관 담화
7 _ 아시아여성기금 사업 실시 당시 작성된 총리의 편지

후기
해제: 역사수정주의, 혹은 현재의 합리화로서의 ‘역사’ _ 박노자
역자 후기

주석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정영환 (인터뷰이)    정보 더보기
1980년 지바(千葉)에서 재일조선인 3세로 태어났다. 메이지가쿠인대학(明治学院大学) 법학부를 졸업하고 히토츠바시대학원(一橋大学院) 사회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리츠메이칸대학(立命館大学) 코리아 연구센터 전임 연구원, 메이지가쿠인대학 교양교육센터 전임강사, 준교수를 거쳐 현재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전문 연구 분야는 조선근대사 및 재일조선인사이다. 주요 저서로는 『朝鮮独立への隘路-在日朝鮮人の解放五年史』(法政大学出版局, 2013, 국내 번역본으로 임경화 역,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 푸른역사, 2019), 『忘却のための‘和解’『帝国の慰安婦』と日本の責任』(世織書房, 2016, 국내 번역본으로 임경화 역, 『누구를 위한 화해인가-『제국의 위안부』의 반역사성』, 푸른역사, 2016), 『歴史のなかの朝鮮籍』(以文社,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임경화 (옮긴이)    정보 더보기
2002년 도쿄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계연구과 일본문화연구 전공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일본 마이너리티 연구, 코리안 디아스포라 비교연구, 접경 연구 등을 주제로 『두 번째 전후-1960~1970년대 아시아와 마주친 일본』(공저, 2017), 『냉전 아시아와 오키나와라는 물음』(공저, 2022), 「쓰시마(対馬) 현대사 속의 재일조선인」(2020) 등을 집필했다. 역서에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2019), 『오키나와 반환과 동아시아 냉전체제』(2022), 『북으로 간 언어학자 김수경』(2024) 등이 있다. 현재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부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박노자 (지은이)    정보 더보기
소련의 레닌그라드(현재의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태어나 자랐고, 본명은 ‘블라디미르 티코노프’다. 2001년 귀화하여 한국인이 되었다. 레닌그라드대 극동사학과에서 조선사를 전공했고, 모스크바대에서 고대 가야사 연구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노르웨이 오슬로대에서 한국학과 동아시아학을 가르치고 있다. 한국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칼럼들을 묶은 《당신들의 대한민국》으로 주목받았으며, 《당신이 몰랐던 K》 《미아로 산다는 것》 《주식회사 대한민국》 《비굴의 시대》 《전환의 시대》 등은 이 연장선상의 저작이다. 《조선 사회주의자 열전》 《거꾸로 보는 고대사》 《우리가 몰랐던 동아시아》 《우승열패의 신화》 등을 통해 역사 연구자로서의 작업도 꾸준히 이어가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