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동아시아 속 2.8독립선언, 그 역사적 의의

동아시아 속 2.8독립선언, 그 역사적 의의

(젊은이들의 만남과 꿈)

오노 야스테, 배영미, 마쓰타니 모토카즈, 마쓰타니 모토카즈, 지쉬펑, 오노데라 시로, 정영환 (지은이), 재일한인역사자료관 (엮은이), 배영미, 박준형 (옮긴이), 이성시 (감수)
삼인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15,3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1,530원
13,77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동아시아 속 2.8독립선언, 그 역사적 의의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동아시아 속 2.8독립선언, 그 역사적 의의 (젊은이들의 만남과 꿈)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근현대사 > 일제치하/항일시대
· ISBN : 9788964362341
· 쪽수 : 232쪽
· 출판일 : 2023-02-08

책 소개

1919년 2월 8일 도쿄 간다구 니시오가와초 소재 재일본조선기독교청년회 회관 강당에 수백 명의 조선인 유학생이 모인 가운데 독립선언서가 낭독되었다. 이 책은 3.1독립운동의 도화선이라 평가를 받아온 도쿄 2.8독립선언을 동아시아 차원에서 새롭게 조명한 책이다.

목차

머리말 | 이성시

제1장 2.8독립선언 재고_3.1독립운동의 ‘도화선’을 넘어 | 오노 야스테루

제2장 2.8독립선언 후의 조선인 유학생_‘동화’에서 ‘내선융화’에 대한 저항으로 | 배영미

제3장 2.8독립선언과 3.1독립운동에서의 기독교_‘독립선언서’ 서명자의 ‘교회’와의 거리 | 미쓰타니 모토카즈

제4장 도쿄 체류 타이완인 유학생과 조선인의 ‘연대’_《아세아공론》으로 보는 반식민지통치운동 | 지쉬펑

제5장 5.4운동으로부터 본 ‘2.8’과 ‘3.1’_중국사 연구 시점에서 | 오노데라 시로

제6장 3.1독립운동의 잔향_재일조선인사의 시점에서 | 정영환

종합 토론

권말 자료
2.8독립선언서_조선어판
2.8독립선언서_일본어판
2.8독립선언서_중국어판
2.8독립선언서_영어판

저자소개

오노데라 시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2년, 이와테현岩手縣 출생. 중국 근현대사 전공. 현재 사이타마대학 대학원 인문사회과학연구과 준교수. 저서로 『國旗·國歌·國慶: ナショナリズムとシンポルの中國近代史』(東京大學出版會, 2011), 『中國ナショナリズム: 民族と愛國の近現代史』(中央公論新社, 2017), 공저로 『中國と東部ユーラシアの歷史』(放送大學敎育振興會, 2020), 공‧편 역서로 『陳獨秀文集 1: 初期思想·文化言語論集』(平凡社東洋文庫, 2016) 등이 있다.
펼치기
배영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6년, 한국 출생. 한국근대사, 한일관계사 전공. 현재 한국독립기념관 연구위원. 공저로 「關東大震災時の朝鮮人留學生の動向」(『關東大震災 記憶の繼承: 歷史·地域·運動から現在を問う』(日本經濟評論社, 2014)), 「李相佰、帝國を生きた植民地人: 早稻田という「接觸領域」に着目して」(『留學生の早稻田: 近代日本の知の接觸領域』(早稻田大學出版部, 2015)), 「在日朝鮮人の3.1運動繼承 1920〜1948」(『未完の獨立宣言: 2.8朝鮮獨立宣言から100年』(新敎出版社, 2019)) 등이, 번역서로 『사고의 프런티어 2 인종차별주의』(푸른역사, 2015)가 있다.
펼치기
정영환 (인터뷰이)    정보 더보기
1980년 지바(千葉)에서 재일조선인 3세로 태어났다. 메이지가쿠인대학(明治学院大学) 법학부를 졸업하고 히토츠바시대학원(一橋大学院) 사회학연구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리츠메이칸대학(立命館大学) 코리아 연구센터 전임 연구원, 메이지가쿠인대학 교양교육센터 전임강사, 준교수를 거쳐 현재 교수로 근무하고 있다. 전문 연구 분야는 조선근대사 및 재일조선인사이다. 주요 저서로는 『朝鮮独立への隘路-在日朝鮮人の解放五年史』(法政大学出版局, 2013, 국내 번역본으로 임경화 역, 『해방 공간의 재일조선인사』, 푸른역사, 2019), 『忘却のための‘和解’『帝国の慰安婦』と日本の責任』(世織書房, 2016, 국내 번역본으로 임경화 역, 『누구를 위한 화해인가-『제국의 위안부』의 반역사성』, 푸른역사, 2016), 『歴史のなかの朝鮮籍』(以文社,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마쓰타니 모토카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펼치기
마쓰타니 모토카즈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5년, 후쿠시마시福島市 출생. 동아시아근대사, 크리스트교사 전공. 현재 도호쿠가쿠인대학 교양학부 언어문화학과 준교수. 저서로 『民族を超える敎會: 植民地朝鮮におけるキリスト敎とナショナリズム』(明石書店, 2020), 주된 논문·공저로 〈ネビウス方式」の再檢討: その理念と現實の乖離〉(《韓國朝鮮の文化と社會》 11(風饗社, 2012)), 〈押川方義と朝鮮の關係史序說: 朝鮮傳道計畫から大日本海外敎育會へ〉(《東北學院史資料センター年報》 1, 2016), 〈三·一運動における「キリスト敎徒」と「敎會」〉(《歷史評論》 2019. 3) 등이, 번역서로 ウィリアム・J・ぺりー 저 『核戰爭の瀨戶際で』(東京堂出版, 2018) 등이 있다.
펼치기
마쓰타니 모토카즈의 다른 책 >
오노 야스테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2년, 일본 요코하마시橫濱市 출생. 조선근대사 전공. 현재 규슈대학 대학원 인문과학연구원 준교수. 저서로 『朝鮮獨立運動と東アジア 1910〜1925』(思文閣出版, 2013), 『帝國日本と朝鮮野球: 憧憬とナショナリズムの隘路』(中央公論新社, 2017)가, 공저로 『未完の獨立宣言: 2.8朝鮮獨立宣言から100年』(新敎出版社, 2019), The East Asian Dimension of the First World War: Global Entanglements and Japan, China and Korea, 1914-1919(Frankfurt: Campus Verlag, 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지쉬펑 (지은이)    정보 더보기
타이완臺灣 타이난시臺南市 출생. 동아시아근대사, 타이완·일본교류사 전공. 현재 다카사키경제대학·세이신여자대학·와세다대학 등 비상근 강사. 저서로 『大正期臺灣人の「日本留學」硏究』(龍溪書舍, 2012), 주된 논문·공저서로 「大正期臺灣人留學生寄宿舍高沙寮の設置過程」(《日本歷史》 제722호, 2008), 「植民地臺灣からの「留學生」 郭明昆: 知の構築と實踐を中心に」(『植民地帝國日本における知と勸力』(思文閣出版,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재일한인역사자료관 (엮은이)    정보 더보기
2005년에 재일 코리안에 관한 각종 자료를 수집·정리하고 그 전시·공개를 통해 재일 코리안의 역사를 후세에 전하기 위해 개관했다. 상설 전시 외에 도서·영상 자료실에는 각종 도서·논문·잡지·팸플릿·영상자료 등을 구비하고 있다. 매월 강연학습회 ‘토요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 자료관의 편저로는 『寫眞で見る在日コリアンの100年』(明石書店), 2008)이 있다.
펼치기
배영미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6년, 한국 출생. 한국근대사, 한일관계사 전공. 현재 한국독립기념관 연구위원. 공저로 「關東大震災時の朝鮮人留學生の動向」(『關東大震災 記憶の繼承: 歷史·地域·運動から現在を問う』(日本經濟評論社, 2014)), 「李相佰、帝國を生きた植民地人: 早稻田という「接觸領域」に着目して」(『留學生の早稻田: 近代日本の知の接觸領域』(早稻田大學出版部, 2015)), 「在日朝鮮人の3.1運動繼承 1920〜1948」(『未完の獨立宣言: 2.8朝鮮獨立宣言から100年』(新敎出版社, 2019)) 등이, 번역서로 『사고의 프런티어 2 인종차별주의』(푸른역사, 2015)가 있다.
펼치기
박준형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7년, 말레이시아 출생. 한국근대사 전공.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국사학과 부교수. 저서로 『제국 일본의 동아시아 공간 재편과 만철조사부』(사회평론아카데미, 2022), 공저로 『岩波講座 日本歷史 第20卷 地域論』(岩波書店, 2014), 『한국의 대외관계와 외교사 근대편』(동북아역사재단, 2018), 『3.1운동 100년 1 메타역사』(휴머니스트, 2019), 『서울도시계획사 제1권 현대 이전의 도시계획』(서울역사편찬원, 2021) 등이, 번역서로 『중화세계 붕괴사: 19세기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재편』(와이즈플랜, 2018)이 있다.
펼치기
이성시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2년, 일본 나고야시名古屋市 출생. 전공은 동아시아사. 현재 와세다대학 문학학술원 교수, 재일한인역사자료관 관장. 주된 저서로는 『東アジアの王權と交易: 正倉院の寶物が來たもうひとつの道』(靑木書店, 1997), 『古代東アジアの民族と國家』(岩波書店, 1998), 『東アジア文化圈の形成』(山川出版社, 2000), 『투쟁의 장으로서의 고대사』(도서출판 삼인, 2019), 『만들어진 고대』(도서출판 삼인, 2001) 등이 있다. 공‧편저로는 『植民地近代の時座: 朝鮮と日本』(岩波書店, 2004), 『東アジア古代出土文字資料の硏究』(雄山閣, 2009), 『いま〈アジア〉をどう語るか』(弦書房, 2011), 『「韓國倂合」100年を問う』(岩波書店, 2011), 『岩波講座 日本歷史』(岩波書店, 2013〜2016), 『留學生の早稻田: 近代日本の知の接觸領域』(早稻田大學出版部, 2015)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한국병합’ 후인 1912년 도쿄 유학생을 망라하는 단체로 ‘학우회’가 결성되었다. 이 단체의 목적은 유학생 간의 친목 도모, 민족운동, 특히 조선어 출판물 간행을 통한 계몽 활동 전개였다. 학업이 본분이어야 할 유학생이 계몽 활동에 주력한 배경에는 조선을 통치하는 조선총독부의 식민 지배 정책이 존재한다. 선언서에서도 강하게 비판했듯 당시 조선총독부의 ‘무단정치’ 정책으로 조선인의 언론·집회·결사의 자유가 현저히 제약받고 있었다. 조선인에게는 고등교육을 시행하지 않는다는 방침이 있어 대학도 설립되지 않았다. 고등교육을 받으려는 조선인들은 가장 가까운 ‘근대’ 도시 도쿄의 대학으로 유학해 공부뿐 아니라 일본의 신문지법의 범위 내에서 가능했던 언론 및 출판 활동에 힘썼다. 이러한 상황은 학우회 기관지로서 1914년에 창간된 《학지광》에 잘 드러나 있다.


2.8독립선언의 직접적 계기는 파리강화회의 대표 파견이다. 주요 내용은 파리강화회의에서의 민족자결 적용을 요구하는 것이다. 그러나 선언서는 미국과 영국, 그리고 1920년에 발족할 국제연맹에 대한 기대를 표명하는 한편, 앞부분에서는 ‘세계 각국’을 향해 독립을 선언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세계’가 ‘정의’로써 ‘개조’된 것을 높이 평가하는 서술도 있다. 요컨대 조선이 파리강화회의에서 논의될 민족자결의 대상에서 제외될 것을 알고 있으면서도 ‘모든 국가의 모든 문제에 적용’될 보편적 권리로서의 민족자결을 요구한 것이다. 선언서에서는 ‘정의와 자유에 기반한 신新국가’로서 중화민국과 혁명 후의 러시아(소비에트 러시아)를 높이 평가했다. 이는 혁명파 중국인의 도움을 받으며 볼셰비키가 제창한 민족자결을 촉구한 조선인 유학생의 독립운동을 상징하는 한 구절이라 할 수 있다.


3.1독립운동 이후 조선총독부의 조선 통치방침은 조선인에게 일본인이 될 것을 강요하는 일방적 ‘동화同化’에서, 덜 강제적이고 쌍방적 뉘앙스를 풍기는 ‘융화融化’로 바뀌었다. ‘융화’는 ‘동화’를 기조로 하면서도 차별대우 완화 및 독립운동에 대한 대책으로 조선인 엘리트의 회유·포섭을 중시했다. 그 일환으로 2.8독립선언의 주역이자 젊은 엘리트인 유학생들에 대해서도 ‘내선융화’ 슬로건 아래 통제를 강화하면서도 지원을 하는 등 다양한 대책을 마련하게 되었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