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소설/시/희곡 > 문학의 이해 > 소설론
· ISBN : 9791158485054
· 쪽수 : 300쪽
· 출판일 : 2020-07-07
책 소개
목차
머리말
Ⅰ부 한국 근대소설novel의 정착과정에 대한 고찰
1. 노벨의 장르적 특성
1) 노벨의 특성
2) 노벨과 로맨스의 변별특징
(1) 언어와 문자의 층위
(2) 인물의 계층과 유형
(3) 배경의 현실성
(4) 플롯의 합리성과 개연성 존중
(5) 돈과 성의 주제
2. 박연암의 소설에 나타난 노벨의 징후—「허생」을 중심으로
1) 연암과 노벨
2) 사실주의적 문학관
(1) 이미타시오Imitatio에서 미메시스Mimesis로
(2) 개별성particularity에 대한 인식
(3) 법고와 창신의 역학관계
(4) ‘진眞’ 존중의 문학관
(5) 언어 문장의 층위
3) 「허생許生」을 통해 본 연암 소설의 노벨적 특성
(1) 인물
(2) 시공간의 양상
(3) 사건
(4) 주제에 나타난 근대의식
4) 연암의 소설에 나타난 노벨의 징후들
(1) 문학관
(2) 연암 소설의 反노벨적 요인들
3. 이인직 신소설에 나타난 노벨의 징후
—「치악산」과 「쟝화홍련젼」의 비교연구
1) 용어에 대한 고찰
(1) 새로운 양식의 소설
(2) 개화기 소설의 고유명칭
2) 「치악산」과 「쟝화홍련젼」의 서사구조의 비교
(1) 인물의 변모
(2) 시공간의 양상
(3) 플롯
3) 「치악산」에 나타난 노벨의 징후
(1) 새로운 인물형의 출현
(2) 인물묘사에 나타난 근대적 특성
(3) ‘여기–지금’의 시공간
(4) 해부적 플롯에 나타나는 인간관계
Ⅱ부 한국 소설 산고散稿
1. 춘원과 동인의 거리Ⅰ—역사소설을 중심으로
1) 공통되는 인물을 다룬 작품들
(1) 「단종애사」와 「대수양」
(2) 「사랑의 동명왕」과 「서라벌」
(3) 「마의태자」와 「견훤」
2) 소재가 다른 작품들
3) 맺는 말
2. 춘원과 동인의 거리Ⅱ—「무명」과 「태형」의 경우
1) 두 개의 현실관
2) 감방의 의미
(1) 「무명」의 경우
(2) 「태형」의 경우
3) 주인공의 성격
3. 나도향론Ⅰ
1) 낭만주의와 한국문학
(1) 「백조」파와 주정적 청년문화
(2) 유교와 낭만주의
(3) 나도향과 낭만주의
2) 「환희」, 그 미숙성의 미학
(1) 발표지면과 장르에서 온 프리미엄
(2) 시류에 맞은 도향의 낭만적 감상주의感傷主義
3) 「노트르담의 꼽추」와 「벙어리 삼룡이」
(1) 공통성
(2) 차이점
4) 「물레방아」와 「뽕」
(1) 「벙어리 삼룡이」와 「물레방아」
(2) 두 개의 물레방아
(3) 새로운 여성형
5) 「환희」와 「뽕」과의 거리
(1) 센티멘털리즘의 지양
(2) 자전적 세계에서의 탈피
(3) 양성관계의 변화
(4) 문체와 장르면의 변화
4. 한국 소설에 나타난 남성상
1) 이조소설
(1) 인물의 계층과 유형
(2) 양성관계
2) 현대소설의 경우
(1) 계층의 하향화와 인물의 범속화
(2) 양성관계
3) 한국 소설에 나타난 남성상의 변화
(1) 인물의 왜소화와 지적 영웅들의 좌절
(2) 양성관계의 혼란
부록
1. 출전
2. 강인숙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