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글로벌 대중사회와 하나 되기

글로벌 대중사회와 하나 되기

(1870~1910년, 중국 초기 신문의 언어, 이미지와 도시)

바바라 미틀러, 나타샤 겐츠, 내니 킴, 캐서린 예 (지은이), 루돌프 와그너 (엮은이), 심태식, 민정기, 이성현, 차태근 (옮긴이)
소명출판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6,100원 -10% 0원
1,450원
24,6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글로벌 대중사회와 하나 되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글로벌 대중사회와 하나 되기 (1870~1910년, 중국 초기 신문의 언어, 이미지와 도시)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근현대사(아편전쟁 이후)
· ISBN : 9791159057700
· 쪽수 : 345쪽
· 출판일 : 2023-08-30

책 소개

근대 이후 중국의 공론장은 서구의 산물이며, 국가가 여론 형성의 직접적인 주체로 참여하고 있는 현대 중국의 공론장은 여러 면에서 문제적이다. 이 책은 공론장을 근대적인 특수한 성격으로 제한하지 않고 사회적 의제와 통치 문제에 대한 다양한 수준의 여론 형성을 포괄하는 의미로 확장한다.

목차

머리말
들어가며 / 루돌프 와그너

제1장
외래 매체의 현지화
-서구식 신문을 중국 공론장에 편입시키기 | 바바라 미틀러
신문이란 무엇인가? 서구의 시각
신문이란 무엇인가? 중국의 시각
중국에 적합한 신문 설계하기
중국에서 사설을 쓴다는 것
중국에 적합한 신문의 모습이란?
결어

제2장
유용한 지식과 적절한 의사소통
-19세기 말 중국 신문·잡지의 생산 영역 | 나타샤 겐츠
연구사 검토
언론인들의 네트워크
중국어 신문이란 무엇인가-중국 언어에서의 “토착” 신문과 “외국” 신문
신문들의 자기 표상
결어

제3장
전 지구적 이미지 생산에 동참하기
-상하이의 삽화신문 『점석재화보』 | 루돌프 와그너
세계적 배경
중국적 배경
이미지 인쇄물 시장을 향한 메이저의 첫 도전
중국을 위한 중국어 삽화신문
오우여(吳友如)
『점석재화보』와 그 삽화가들
『점석재화보』의 부록
결어

제4장
새 포도주를 헌 병에?
19세기 말 상하이에서 화보 만들기 및 읽기 | 내니 킴
상하이의 독자층을 겨냥하다
편집 기구
화가들
그림의 스타일과 구성요소
보도기사
문인지향의 독자들
온갖 것들에 관한 그림-기사
도처로부터의 소식
부정확한 보도들
결어

제5장
상하이의 여가, 인쇄 오락물, 그리고 소보 | 캐서린 예
여가의 발명
‘놀이’ 관념의 판촉
이백원의 『유희보』
모호한 게임-작자와 독자, 기녀와 고객, 그리고 도시
확립된 장르-문학 간행물로서 소보(小報)
이후의 발전
결어

역자 후기
미주
찾아보기
저자 및 역자 소개

저자소개

캐서린 예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보스턴 대학교 중국현대문학 및 트랜스문화연구 교수로, 문학형식의 전 지구적 이동, 문화횡단적 상호작용 중의 연극미학의 변환, 사회변혁의 주동자로서 오락문화 등과 같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저서로 『상하이의 연애-기녀, 문인, 오락문화(Shanghai Love : Courtesans, Intellectuals, and Entertainment Culture)』(1850~1910), 『중국 정치소설-세계 장르의 이동(The Chinese Political Novel : Migration of a World Genre)』이 있다.
펼치기
바바라 미틀러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이델베르크대학교 중국문화연구 교수로, 이 대학 아시아 및 트랜스컬추럴 연구소의 공동 창립자다. 중국과 타이완의 문화사, 아방가르드 예술, 대중문화 등을 연구하고 있으며, 역사학자 토마스 마이쎈(Thomas Maissen)과 함께 『중국에 르네상스가 없었던 이유-왜 문제가 되는가(Why China Did Not Have a Renaissance : and Why That Matters)』를 썼다. 음악학, 일본학도 공부한 바 있다.
펼치기
내니 킴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이델베르크대학교 강사로, 하이델베르크대학교와 런던대학교 SOAS(동양 아프리카 연구 대학)에서 공부했다. 중국 근세와 근현대의 경제사와 문화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저서로 『산간의 하천과 도로-청대 중국 남서부의 교통(Mountain Rivers, Mountain Roads : Transport in the Southwest of Qing China)』, 『거울로서 이웃-중국의 한국 이미지(The Neighbour as Mirror : Chinese Images of Korea)』(1873~1932, 근간)가 있다.
펼치기
나타샤 겐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에딘버러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신 지역연구(Journal of New Area Studies)』의 편집위원이다. 초국적 시야에서 문화연구를 강의하고 있다. 중국 언론사, 중국의 미디어 관념, 전 지구적 범위의 개념사와 초국적 지식생산, 현대 중국의 연극 이론과 실천 등의 주제에 관심을 두고 있다. 독일어로 당대 중국의 정치 연극에 관한 저서와 근대 중국 언론에 관한 저서를 낸 바 있으며, 최근에는 바바라 미틀러와 함께 『현대 중국에 관한 트랜스컬추럴 관점들(Transcultural Perspectives on Modern China)』을 엮었다.
펼치기
루돌프 와그너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하이델베르크대학교 중국학 수석교수로, 하버드대학교 페어뱅크(Fairbank) 센터 연구원을 겸직했다. 중국 지성사, 문화교류사, 근대 대중매체 등을 연구했다. 본서 외에 『새로운 글로벌 지식에 관한 중국의 백과사전(Chinese Encyclopaedias of New Global Knowledge, 1870~1930)』, 『현대성의 고전(Modernity’s Classics)』을 엮었으며, 『트랜스컬추럴 연구(The Journal of Transcultural Studies)』의 편집인이었다.
펼치기
차태근 (감수)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베이징사범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인하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제국주의 담론과 동아시아 근대성』이 있고, 역서로 『충돌하는 제국: 서구 문명은 어떻게 중국이란 코끼리를 넘어뜨렸나』, 『세계질서와 문명등급: 글로벌 히스토리의 시각에서 본 근대 세계』 등이 있다. 글로벌 역사의 시각에서 본 동아시아 근대 사상의 문제점, 전후 세계 질서 형성 과정에서의 중국의 역할과 의미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차태근의 다른 책 >
민정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인하대학교 중국학과 교수로, 국가와 민족들 사이 지식의 형성, 그리고 그 과정에서 시각적 재현이 어떤 작용을 하는지에 관심을 두고 있다. 논문으로 「상하이 《점석재화보》가 그려 보인 근대전환기의 조선과 일본」 등이 있고, 『언어횡단적 실천』(역), 『동서양의 경계에서 중국을 읽다』(공편), 『중국 현대미술의 길』(공역) 등의 책을 냈다.
펼치기
이성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강사로, 「『점석재화보(點石齋畵報)』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지은 책으로 『중국 근대의 풍경』(공저)이 있고, 옮긴 책으로 『80년대 중국과의 대화』, 『저항자』(공역), 『주르날 제국주의-프랑스 화보가 본 중국 그리고 아시아』 등이 있다.
펼치기
심태식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영국 에든버러대학교에서 중국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 연구교수와 동 대학 중국학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하였다. 주요 연구 분야는 중국 현대문학과 미학, 동아시아의 서학이며, 번역서 『현대 중국의 아틀라스』를 비롯하여 “The Aesthetic Thought of Zhu Guangqian”(The Univ. of Edinburgh), “A Study of Mao Dun’s Proletarian Literature”, 「19세기 말 중국 신문의 위상과 지식 네트워크-초기 《申報》를 중심으로」, 「뒤 알드의 《중화제국과 중국 타타르의 지리, 역사, 연대기, 정치, 자연(물리)에 대한 서술》 小考」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