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세트] 근대중국사상의 흥기 상·하 세트 - 전4권

[세트] 근대중국사상의 흥기 상·하 세트 - 전4권

왕후이 (지은이), 차태근, 윤영도, 백원담, 양일모, 박자영, 백지운, 최정섭, 김영진, 진성수, 이영섭, 김소영, 백광준, 서광덕, 천진, 김수연 (옮긴이), 윤영도, 백원담, 이영섭, 차태근 (감수)
돌베개
19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71,000원 -10% 0원
7,400원
163,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세트] 근대중국사상의 흥기 상·하 세트 - 전4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세트] 근대중국사상의 흥기 상·하 세트 - 전4권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중국철학
· ISBN : K912932613
· 쪽수 : 2551쪽
· 출판일 : 2024-07-15

책 소개

한국어판 『근대중국사상의 흥기』는 저본과 같은 상하 전4권의, 세계에서 유일한 이 저서의 완역본이다. 이 책이 중국에서 출간된 지 꼭 20년 만이고, 백원담 교수를 중심으로 한 한국의 중국학자들이 번역에 착수한 지도 20년 가까운 시간이 흘렀다.

목차

〔1권〕
한국어판 서문
초판 서문
재판 서문: ‘중국’과 그 ‘근대’를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도론導論
제1장 천리와 시세
제2장 물(物)의 전환: 이학과 심학
제3장 경(經)과 사(史) (1)
제4장 경(經)과 사(史) (2)
주(注)
찾아보기

〔2권〕

제5장 안과 밖 (1): 예의 중국의 관념과 제국
제6장 안과 밖 (2): 제국과 민족국가
제7장 제국의 자아 전환과 유학 보편주의
주(注)
역자 후기
찾아보기

〔3권〕

제8장 우주 질서의 재구축과 자연의 공리
제9장 도덕 실천의 방향과 공리의 내재화
제10장 무아의 자아와 공리의 해체
주(注)
찾아보기

〔4권〕

제11장 담론의 공동체와 과학의 분류 계보
제12장 과학담론공동체로서의 신문화운동
제13장 동서문화 논쟁과 지식/도덕 이원론의 기원
제14장 지식의 분화, 교육 제도 개혁, 그리고 심성지학
제15장 공리 세계관과 그 자아 해체
주(注)
역자 후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왕후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칭화대학 중문학과 교수이자, 칭화인문사회고등연구소 소장으로 재직 중인 왕후이(汪暉)는 중국의 정치개혁 담론을 주도하는 ‘신좌파’ 이론가로 불린다. ‘신좌파’는1990년대에 중국의 친자본 노선을 비판하는 일군의 지식인들을 일컫는 말인데, 왕후이는 이들 신좌파 지식인을 대표하는 인물이다. 1990년대에 ‘중국의 길’(中國道路)을 두고 활발하게 제기된 사상 논쟁에서 신좌파는 신자유주의 노선을 주장하는 우파와 견해를 달리하며 사회적 공정과 평등의 가치를 주류 담론에 다시금 각인시켰다. 왕후이는 1984년 남징(南京)대학에서 석사학위를 받았고, 1988년에는 중국사회과학원에서 중국의 대표적인 현대문학연구자인 탕타오(唐弢) 지도하에 박사학위를 받았다. 청조의 경학 전통을 유지해 온 양주학파, 당송(唐宋) 문학·원곡(元曲)·왕궈웨이(王國維) 전문가, 태평천국 연구자, 어문학자, 루쉰 연구 및 현대문학 전문가 등 중국 전통 학문의 대가들을 학부와 석사과정의 스승으로 둔 왕후이는 문혁을 거쳐 다시 문을 연 78학번, 개혁 개방 1세대로서 사회주의 중국과 포스트 사회주의 중국에서 냉전적 학지(學知)를 내재화했을 것이다. 사상의 빈곤을 절감하며 ‘박투’해 왔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다른 분명한 사상과 학문의 거처를 두고 있었던 것이니, 왕후이의 사상사 연구 작업은 그러한 탄탄한 사상과 학문의 전통 때문에 가능했다. 1996~2007년 동안 잡지 『두수』(讀書)의 주편(主編)을 맡으면서 중국 신좌파의 리더로서 중국 사상 담론계를 이끌었으며, 2013~2018년에는 제12기 전국정협위원(全國政協委員)으로 선출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국제적으로도 학술적 공로를 인정받아 2013년 10월 20일, 독일 철학자 위르겐 하버마스와 함께 루카 파치올리 상(Luca Pacioli Prize)을 수상한 바 있다. [주요 저서] 『反抗絶望:魯迅及其〈吶喊〉〈彷徨〉硏究』, 臺北: 久大文化股份有限公司, 1990;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91(송인재 옮김, 『절망에 반항하라: 왕후이의 루쉰 읽기』, 글항아리, 2014) 『死火重溫』, 北京: 人民文學出版社, 2000(김택규 옮김, 『죽은 불 다시 살아나: 현대성에 저항하는 현대성』, 삼인, 2005) 『現代中國思想的興起』, 北京: 三聯書店, 2004; 증보판 2008 『去政治化的政治: 短二十世紀的終結與九十年代』, 北京: 三聯書店, 2008(성근제·김진공·이현정 옮김, 『탈정치 시대의 정치』, 돌베개, 2014) 『短二十世紀: 中國革命與政治的邏輯』, 香港: 牛津大學出版社, 2015(송인재 옮김, 『단기20세기 중국혁명과 정치의 논리』, 글항아리, 2021)
펼치기
백원담 (감수)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석좌교수. 성공회대 중어중국학과/대학원 국제문화연구학과 교수와 동아시아연구소장 그리고 일반대학원장 역임. 한국문화연구학회장, 인문한국연구소협의회장, 인문한국연구성과확산 센터장 역임, 논저로는 『1919와 1949: 21세기 한중 ‘역사 다시 쓰기’와 ‘다른 세계’』, 『열전 속 냉전, 냉전 속 열전』, 『신중국과 한국전쟁』, 『냉전아시아의 문화풍경 Ⅰ·Ⅱ』, 『동아시아 문화선택 한류』, 「공정성 담론과 지구적 공거共居의 윤리」, 「5.4 100년의 등하만필燈下漫筆」, 「아시아가 만드는 세계―38미터의 관계학에서 신시대 평화연대로」, “The 60th anniversary of the Bandung Conference and Asia” 등이 있다.
펼치기
백원담의 다른 책 >
박자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화동(華東) 사범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협성대학교 중국어문화학과에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 『상하이의 낮과 밤』, 옮긴책으로는 『루쉰전집14: 서신2』,『루쉰전집4: 화개집·화개집속편』(공역) 등이 있다.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현대중국과 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현실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펼치기
윤영도 (감수)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소장 겸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국제법과 춘추의 유비(類比)적 사유 연구 ― 윌리엄 마틴의 중국 고대 국제법 연구를 중심으로」, 「‘권/권리’ 개념 절합의 계보학 ― 『만국공법』을 중심으로」가 있으며, 저역서로 종보현 저 『홍콩영화 100년사』(공역, 2014), 윤영도 편저 『정동하는 청춘들: 동아시아 청년들의 정동과 문화실천』(2017), 왕후이 저 『근대 중국 사상의 흥기 2』(공역, 2024) 등이 있다. 중국 근현대 사상 및 문화사를 탈식민주의적 관점과 문화연구의 방법론을 통해 재조명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윤영도의 다른 책 >
차태근 (감수)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베이징사범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인하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제국주의 담론과 동아시아 근대성』이 있고, 역서로 『충돌하는 제국: 서구 문명은 어떻게 중국이란 코끼리를 넘어뜨렸나』, 『세계질서와 문명등급: 글로벌 히스토리의 시각에서 본 근대 세계』 등이 있다. 글로벌 역사의 시각에서 본 동아시아 근대 사상의 문제점, 전후 세계 질서 형성 과정에서의 중국의 역할과 의미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백지운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HK부교수. 냉전시대 중국과 동아시아, 제3세계와의 관계에 대해 공부하고 있다. 현재 한국냉전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대표 저서로 『항미원조: 중국인들의 한국전쟁』(2023), 대표 논문으로 「반둥에서 ‘일대일로’까지: 냉전시기 중국의 아프리카 원조와 제3세계론』(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서광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 후 동 대학원 석사, 박사과정을 졸업했다. 저서로는 『루쉰과 동아시아 근대』(2018), 『중국 현대문학과의 만남』(공저, 2006), 『동북아해역과 인문학』(공저, 2020) 등이 있고, 역서로는 『루쉰』(2003), 『일본과 아시아』(공역, 2004), 『중국의 충격』(공역, 2009), 『수사라는 사상』(공역, 2013), 『아시아의 표해록』(공역, 2020) 등이 있으며, 『루쉰전집』 20권 번역에 참가했다. 2025년 현재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교수로 재직 중이다.
펼치기
양일모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자유전공학부 교수 공저로 『해체와 연속 -근현대 한국의 유학사상』, 『일본 학문의 근대적 전환』, 공역으로 『근대중국사상의 흥기 3』이 있고, 논문으로 「한국적 철학사상을 찾아서 -한국의 1세대 철학 교수 박종홍」, 「유교적 윤리 개념의 근대적 의미 전환」, 「한학에서 철학으로 -20세기 전환기 일본의 유교연구」, 「20세기 전후 한국의 언론잡지 기사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펼치기
양일모의 다른 책 >
최정섭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한 후 같은 대학교 대학원에서 중국연구의 민족지적 성격과 문헌학적 성격에 대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선임연구원, 전북대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지금은 안양대 HK연구교수로 재직중이다. 논문으로는 “해경(解經)과 해자(解字): 프레마르 『육서실의(六書實義)』를 통해 본 예수회의 중국 전유”, “국학(國學)과 한학(漢學)의 접점으로서의 문헌학: 하가 야이치(芳賀矢一)와 량치차오(梁啓超)를 중심으로”, 역서로는 『청말중국의 대일정책과 일본어 인식: 조공과 조약 사이에서』, 『텍스트의 제국』, 『고대 중국의 글과 권위』, 『방법으로서의 중국』(공역), 『위대한 중국학자』(공역), 『사서기정 역주』(공역), 『만유수록 역주 1』(공역), 『만유수록 역주 2』(공역), 『근대중국사상의 흥기』(공역), 『동인도 시온』(공역) 등이 있다.
펼치기
김영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1970년 경남 삼천포 출생.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1998년 동 대학원에서 중국 위진(魏晉) 시대 불교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고, 2005년 『제물론석』 저자 장타이옌[章太炎]의 불교사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대 철학과 박사후과정, 동국대 BK21연구단 박사후연구원, 인하대 한국학연구소 HK연구교수, 동국대 불교학술원 HK연구교수, 캐나다 UBC 아시아학과 방문학자를 거쳤고 현재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불교학부 교수이다. 그간 『중국 근대사상과 불교』, 『공(空)이란 무엇인가』, 『근대중국의 고승』, 『불교와 무(無)의 근대』, 『중국 근대불교학의 탄생』을 썼고, 이들 5권의 저서가 문광부와 학술원 추천 우수도서에 선정됐다. 이외 『대당내전록(大唐內典錄)』(공역), 『근대중국사상사약론(近代中國思想史略論)』 등을 번역했다. 제3회 대원학술상(저서부문)과 제29회 불이상(학술부문)을 받았다. 박사학위 취득 이후 주로 사상사와 학술사 맥락에서 중국 근대불교를 연구했다. 상기 소개한 책은 그 과정의 성과다. 십여 년 전부터 한국 근대불교학의 성립과 불교 철학의 시도라는 주제로 연구를 확장했다. 최남선, 김법린, 백성욱 등 몇몇 불교계 혹은 불교 관련 인물의 사상과 학술을 분석했고, 식민지 시기 불교계의 서양 철학 및 서양 사조 수입에 대해서도 관심을 갖고 근대 간행 불교 잡지를 천천히 읽고 있다. 향후 수년간 이 분야에 집중할 요량이다.
펼치기
백광준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중국 난징대학 중문과에서 청대(淸代) 후기동성파(後期桐城派)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시립대 중국어문화학과 교수이다. 논문으로 「黎庶昌의 서양 서술과 여행의 발견─《西洋雜誌》를 중심으로」, 「園林과 公園의 사이에서─19세기 중국인의 公園 유람」 등이 있고, 저서로는 『동서양의 경계에서 중국을 읽다』(공저), 역서로는 『동성파 산문집』, 『20세기 초 반청 혁명운동 자료선』(공역), 『만유수 록(漫遊隨錄) 역주』(공역) 등이 있다. 현재 명·청대 문인 및 그 문화와 더불어 근대 시기 동서 교류에 관심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천진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학교 중어중문학과에 재직 중이다. 저서로 『중국 근대의 풍경』(공저)이 있고, 역서로 『루쉰전집 16: 서신 4』(공역), 『루쉰전집 12』(공역), 『이미지와 사회』(공역) 등이 있다. 논문으로는 「질문의 시대: 5·4 문화운동과 사회개조론 재독」, 「‘행복’의 윤리학: 1900년대 초 경제와 윤리 개념의 절합을 통해 본 중국 근대 개념어의 형성」, “The camera in pain: memories of the Cold War in East Asian independent documentaries” 등이 있다. 20세기 격동의 시공간을 견뎌 내고자 했던 사람들의 마음, 환희와 환멸이 교차하는 순간을 거듭하면서도 평정심을 잃지 않고 끊임없이 질문하며 몸부림쳤던 동아시아의 마음들을 어떻게 다루어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
펼치기
진성수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학교 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전북대학교 철학과에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양명학회 부회장을 역임했으며, 한국유교학회 부회장을 맡고 있다. 논문으로는 「王夫之 四書學의 특징과 淸代 實學으로의 전환」, 「17〜18세기 중국 유교 지식인의 氣哲學 연구」, 「청말 지식인의 중국문화관」 등이 있으며, 저서 및 역서로 『반계 유형원과 동아시아 실학사상』(공저), 『중국사상사 2』(공역), 『왕부지 中庸을 논하다』(공역), 『중국고대사상문화의 세계: 춘추시대의 종교, 윤리와 사회사상』(공역) 등이 있다. 최근에는 한국과 중국의 역학 사상 및 기 철학에 관해 집중적인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김수연 (옮긴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중국 베이징사범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충북대학교 전임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중국 근대 미디어와 소설의 시대』, 역서로 『신청년의 신문학론』, 『중국문학 50년 1872-1922』 등이 있다.
펼치기
이영섭 (감수)    정보 더보기
청주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대학원 중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陳寅恪의 中國中古史 硏究를 통해 본 近代中國 文化談論의 전환」, 「淸朝遺老 王國維 學術의 時宜性 硏究─<≪說文≫今敍篆文合以古─說>을 중심으로─」, 「戴震 學術에 있어서 ─戴東原集─의 위치─國內 戴震 硏究 추세에 대한 검토를 겸해서」 등이 있으며, 역서로 『강남은 어디인가─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공역, 양녠췬 지음), 『학문에 관하여─공부하는 삶에 관한 동양의 지혜』(왕윈우 지음) 등이 있다. 청대에서 근대로 이어지는 중국 학술의 인식론적 단절과 계승을 다시 읽어 내는 데에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김소영 (옮긴이)    정보 더보기
이화여자대학교를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석사, 중국 상하이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연세대학교 중국연구원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역서로는 『가까이 살피고 멀리 바라보기: 왕샤오밍 문화연구』(공역), 『상하이학파 문화연구: 비판과 개입』(공역)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중국 당대문학사 시기별 차이 일별」, 「1950년대 중국작가협회와 당대 ‘작가’ 初探」, 「중국 당대 문학출판 제도의 성립과 변화」 등이 있다. 최근에는 중국의 당대 문학 생산 메커니즘을 파악하려는 공부의 일환으로 문학 비평과 이를 둘러싼 기제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백원담 (감수)    정보 더보기
성공회대학교 석좌교수. 성공회대 중어중국학과/대학원 국제문화연구학과 교수와 동아시아연구소장 그리고 일반대학원장 역임. 한국문화연구학회장, 인문한국연구소협의회장, 인문한국연구성과확산 센터장 역임, 논저로는 『1919와 1949: 21세기 한중 ‘역사 다시 쓰기’와 ‘다른 세계’』, 『열전 속 냉전, 냉전 속 열전』, 『신중국과 한국전쟁』, 『냉전아시아의 문화풍경 Ⅰ·Ⅱ』, 『동아시아 문화선택 한류』, 「공정성 담론과 지구적 공거共居의 윤리」, 「5.4 100년의 등하만필燈下漫筆」, 「아시아가 만드는 세계―38미터의 관계학에서 신시대 평화연대로」, “The 60th anniversary of the Bandung Conference and Asia” 등이 있다.
펼치기
백원담의 다른 책 >
윤영도 (감수)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박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소장 겸 HK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국제법과 춘추의 유비(類比)적 사유 연구 ― 윌리엄 마틴의 중국 고대 국제법 연구를 중심으로」, 「‘권/권리’ 개념 절합의 계보학 ― 『만국공법』을 중심으로」가 있으며, 저역서로 종보현 저 『홍콩영화 100년사』(공역, 2014), 윤영도 편저 『정동하는 청춘들: 동아시아 청년들의 정동과 문화실천』(2017), 왕후이 저 『근대 중국 사상의 흥기 2』(공역, 2024) 등이 있다. 중국 근현대 사상 및 문화사를 탈식민주의적 관점과 문화연구의 방법론을 통해 재조명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펼치기
윤영도의 다른 책 >
차태근 (감수)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중어중문학과를 졸업하고 베이징사범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인하대학교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 『제국주의 담론과 동아시아 근대성』이 있고, 역서로 『충돌하는 제국: 서구 문명은 어떻게 중국이란 코끼리를 넘어뜨렸나』, 『세계질서와 문명등급: 글로벌 히스토리의 시각에서 본 근대 세계』 등이 있다. 글로벌 역사의 시각에서 본 동아시아 근대 사상의 문제점, 전후 세계 질서 형성 과정에서의 중국의 역할과 의미를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이영섭 (감수)    정보 더보기
청주대학교 중문과를 졸업하고 연세대 대학원 중문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현재 건국대학교 아시아콘텐츠연구소 조교수로 재직 중이다. 논문으로 「陳寅恪의 中國中古史 硏究를 통해 본 近代中國 文化談論의 전환」, 「淸朝遺老 王國維 學術의 時宜性 硏究─<≪說文≫今敍篆文合以古─說>을 중심으로─」, 「戴震 學術에 있어서 ─戴東原集─의 위치─國內 戴震 硏究 추세에 대한 검토를 겸해서」 등이 있으며, 역서로 『강남은 어디인가─청나라 황제의 강남 지식인 길들이기』(공역, 양녠췬 지음), 『학문에 관하여─공부하는 삶에 관한 동양의 지혜』(왕윈우 지음) 등이 있다. 청대에서 근대로 이어지는 중국 학술의 인식론적 단절과 계승을 다시 읽어 내는 데에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