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중국 고대 복식 연구

중국 고대 복식 연구

선충원 (지은이), 심규호 (옮긴이), 이민주 (감수)
소명출판
7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67,500원 -10% 0원
3,750원
63,7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중국 고대 복식 연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중국 고대 복식 연구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중국사 > 중국고대사(선사시대~진한시대)
· ISBN : 9791159058400
· 쪽수 : 947쪽
· 출판일 : 2023-12-30

책 소개

저자가 근 20여 년에 걸쳐 구석기시대부터 하상주 삼대에서 청나라에 이르기까지 근 3,4천 년에 걸친 중국 고대 복식에 대해 연구한 책이다. 전체 사진과 그림 700점, 25만 자에 달하는 대저이다.

목차

들어가는 말
001/ 구석기 시대에 출현한 봉제와 장식품
002/ 신석기 시대 회화와 조소(彫塑) 인형 및 복식 자료
003/ 신석기 시대의 방직
004/ 상대(商代) 묘장(墓葬)의 옥(玉), 석(石), 도(陶), 동(銅) 인형
005/ 주대(周代) 조옥(雕玉) 인형
006/ 주대 남녀 인형 도범(陶范)
007/ 전국(戰國) 초묘(楚墓) 칠슬(漆瑟)에 그려진 수렵, 악부(樂部)와 귀족
008/ 전국 백화(帛畵) 부녀자
009/ 전국 초묘 채색 목용(木俑)
010/ 전국 채색 칠치(溱卮, 옻칠한 술잔)의 부녀 군상(群像)
011/ 전국 조옥(雕玉) 무녀(舞女)
012/ 전국 조옥(雕玉, 옥 조각) 인형과 참새를 희롱하는 청동 여자인형
013/ 전국 동감(銅鑒)의 수륙 전투 문양
014/ 전국 청동 능호(陵壺)의 채상(采桑), 활쏘기, 연악(宴樂), 수렵 문양
015/ 전국시대 갈미관(鶡尾冠), 검은 꿩 깃털로 장식한 관을 쓴 기사(騎士)
016/ 전국 패옥(佩玉)의 유리구슬과 대구(带鉤)
017/ 강릉 마산(馬山) 초묘에서 발견된 의상과 침구
018/ 마산 초묘에서 출토된 비단자수
019/ 서한(西漢) 묘벽(墓壁)의 이도살삼사(二桃殺三士) 부분
020/ 한대(漢代) 공심전(空心磚, 가운데가 비어 있는 벽돌)의 지극문졸(持戟門卒)
021/ 한대 저패기(貯貝器)의 전인(滇人) 노예와 노예주인
022/ 높은 관에 성장(盛装)하고 춤추는 전인(滇人)
023/ 서한 화상전(畵像磚, 벽돌에 그린 그림)
024/ 인끈을 늘어뜨리고 검을 찬 무사(한대 석각)
025/ 한대 도용(陶俑) 전각(磚刻)에 나오는 농민
026/ 꽃비녀를 꽂은 하녀(戴花釵三女僕)
027/ 한대 망도(望都) 벽화에 나오는 오백(伍佰) 8명
028/ 한대 무녀(舞女)
029/ 한대 그림에 나오는 몇 부류의 기사(騎士)
030/ 한대 주유(朱鮪) 분묘 석각(石刻)
031/ 한, 위진(魏晋)시대 분묘 벽화에 나오는 남녀
032/ 한대 석각 잠필주사(簪筆奏事) 관리
033/ 동한(東漢) 분묘 채색 벽화와 석각
034/ 한대 <강학도(講學圖)> 화상전(畫像磚)
035/ 한대 무씨(武氏) 석각에 나오는 귀족의 양관(梁冠)과 화채(花釵)
036/ 장사 마왕퇴(馬王堆) 1호 한묘(漢墓)의 몇 가지 의복
037/ 한대(漢代) 금수(錦繡)
038/ 동진(東晉) 죽림칠현(竹林七賢)이 그려진 벽돌 조각(雕刻)
039/ 진대(晋代) <여사잠도(女史箴圖)>에 나오는 여덟 명의 가마꾼
040/ 진대 <여사잠도>에서 거울을 보며 단장하는 부분
041/ 남조(南朝) <착금도(斲琴圖)> 부분
042/ 진(晉) 육조 남녀용(男女俑)
043/ 능각건(菱角巾)을 쓰고 사슴가죽옷을 입은 제왕과 두 명의 궁녀
044/ 남북조(南北朝) 등현(鄧縣) 화상전에 나오는 부녀와 부곡고취(部曲鼓吹)
045/ 남북조 갑옷을 입고 의검(儀劍)을 잡고 있는 문관(門官)
046/ 북조(北朝) 경현(景縣) 봉씨묘(封氏墓)에서 출토된 고습(袴褶)을 입은 용(俑)
047/ 북조 경현 봉씨묘에서 출토된 남녀용
048/ 북조 돈황 벽화에 나오는 갑옷을 입은 기병과 보졸(步卒)
049/ 북조 등거리(피자帔子)를 걸친 기악용(伎樂俑)
050/ 남북조 영무(寧懋) 석관(石棺)에 선각(線刻)되어 있는 각 계층의 인물
051/ 남북조 영무(寧懋) 석실 석각에 새겨진 무위(武衛)와 귀족(貴族)
052/ <북제교서도(北齊校書圖)>
053/ 북제 장숙속(張肅俗) 묘에서 출토된 남녀 도용
054/ 수(隋) 청갈유도(青褐釉陶) 무용(舞俑)
055/ 수대 돈황 벽화에 나오는 진향(進香) 부녀
056/ 수대 이정훈(李靜訓) 묘에서 출토된 남녀 도용
057/ 수대 수염을 묶고 고습복과 양당개를 착용한 회도(灰陶) 무관용(武官俑)
058/ 수대 청갈유도 갑사용(甲士俑)
059/ 수대 보병 방패를 든 청자(青瓷) 갑사용(甲士俑)
060/ 수대 포복(袍服)에 평건책(平巾幘)을 쓴 청유(青釉) 문관용(俑)
061/ 수 문제(文帝)와 두 명의 시신(侍臣)
062/ 수대 이정훈 묘에서 출토된 머리 장식
063/ 당대(唐代) 농민
064/ 당대 선부(船夫)
065/ 당대 엽호(獵戶)
066/ <보련도(步輦圖)>
067/ 당대 정관(貞觀) 연간 돈황 벽화 제왕과 신하
068/ <당인유기도(唐人遊騎圖)> 부분
069/ 당대 <능연각공신도(凌煙閣功臣圖)> 부분
070/ 당대 회화에 보이는 유모를 쓴 부녀자
071/ 당대 영태공주 분묘 벽화에 나오는 부녀자
072/ 당대 반비(半臂)를 착용한 부녀자
073/ 당대 호복(胡服)을 입은 부녀자
074/ 당대 호복(胡服) 부녀자
075/ 당대 반비(半臂) 차림으로 훈롱(薰籠)에 앉은 부녀(婦女)와 좁은 소매 옷을 입고 높은 올림머리를 한 부녀자
076/ 당대 돈황 벽화 <악정괴부인행향도(樂廷瓌夫人行香圖)>
077/ 당대 <괵국부인유춘도(虢國夫人遊春圖)>
078/ 당대 장훤(張萱) <도련도(搗練圖)> 부분
079/ 당대 높은 올림머리를 하고 성장한 부녀자
080/ <잠화사녀도(簪花仕女圖)>
081/ <궁락도(宮樂圖)>
082/ <문원도(文苑圖)>
083/ 당대 몇 종의 갑사(甲士)
084/ 당대 벽화 <분사리도(分舍利圖)>의 기사(騎士)
085/ 당대 돈황 벽화의 갑기(甲騎) 고취(鼓吹)
086/ 당대 백석(白石)에 조각된 활과 칼을 잡은 무변(武弁)
087/ 당대 행각승(行脚僧)
088/ 당대 벽화에 나오는 인물의 의복 형상
089/ 당대 채색 도용과 삼채(三彩) 도기
090/ 당말, 오대 회골(回鶻) 진향인(進香人)
091/ 당대 비단(사주絲綢)
092/ 맥적산(麥積山) 벽화에 나오는 몇 명의 젊은 부녀
093/ 오대(五代) 남당(南唐) 남녀 도용(陶俑)
094/ 오대 갑사(甲士)
095/ 오대 남당 <중병회기도(重屏會棋圖)>
096/ 오대 십국(十國) 전촉(前蜀) 석관좌(石棺座) 부조(浮雕) 악부(樂部)
097/ 오대 <궁중도>에 나오는 궁정 부녀
098/ 오대 <야연도(夜宴圖)>에 나오는 악기(樂伎)
099/ 오대 <야연도> 연회 부분
100/ 오대(五代) 벽화 조의금(曹義金) 상(像)
101/ <여효경도(女孝經圖)>
102/ 송초(宋初) 돈황 벽화의 농민
103/ 남송(南宋) <경직도(耕織圖)>의 농민
104/ <청명상하도(清明上河圖)>에 나오는 노동자와 시민
105/ 남송 <중흥정응도(中興禎應圖)>에 나오는 사졸과 시민
106/ 송(宋)대 <백마도(百馬圖)>에 나오는 마부
107/ 송대 사천 대족(大足) 석각의 평민 노소
108/ 남송 이숭(李嵩)의 <화랑도(貨郎圖)>
109/ 송대 떠들썩한 시골 아동의 학습도(村童鬧學圖)
110/ 송대 <잡극도(雜劇圖)>
111/ 송대 벽돌에 새긴 잡극 예인 정도새(丁都賽)
112/ 송대 벽돌에 새긴 여자 요리사(주낭廚娘)
113/ 송대 <요대보월도(瑶臺步月圖)>
114/ 송대 태원(太原) 진사(晉祠) 채색 소상
115/ 송대 분묘 벽화 악무 그림
116/ 송대 분묘 벽화 머리 빗는 여인과 연회
117/ 송대 <회창구로도(會昌九老圖)>
118/ 조광윤 <척구도(踢球圖)>
119/ 송 태조 조광윤(趙匡胤) 상(像)
120/ 송대 황후와 궁녀
121/ 송대 <대가노부도(大駕鹵簿圖)>에 나오는 갑옷 입는 갑기(甲騎) 고취(鼓吹), 의장악대
122/ 송대 <중흥사장도(中興四將圖)>에 나오는 악비(岳飛), 한세충(韓世忠)과 수행 무장(武將)
123/ 요대(遼代) 경릉(慶陵) 벽화에 나오는 거란인(契丹人)
124/ <탁헐도(卓歇圖)>
125/ <편교회맹도(便橋會盟圖)>
126/ <호가십팔박도(胡笳十八拍圖)>
127/ 송대 <면주도(免胄圖)>에 나오는 갑옷 입은 기병
128/ <사렵도(射獵圖)>
129/ 서하(西夏) 돈황 벽화에 나오는 남녀 진향인(進香人)
130/ <자염도(煮鹽圖)>
131/ 송대 비단(사주絲綢)
132/ 원대(元代) 농민, 노동자, 관병(官兵)
133/ 원대 백공백업(百工百業, 다양한 노동자 직업)
134/ 원대 몇 명의 유류현사(儒流賢士)
135/ 원대 몇 명의 연주하는 도동(道童)
136/ 원대 당건(唐巾)을 쓰고 원령복을 입은 남자와 무릎까지 내려오는 짧은 옷을 입은 생선장수
137/ 원대 건자를 쓰고 단의(短衣)에 짚신을 신은 어민
138/ 원대 <투장도(鬪漿圖)>
139/ 몽골인 악무용(樂舞俑) 일습
140/ 원대 남녀용(男女俑)
141/ 원대 분묘 벽화
142/ 원대 연희(演戲) 벽화
143/ 원대 황제와 황후 상(像)
144/ 원대 수렵하는 귀족
145/ 원대 돈황 벽화 행향인(行香人)
146/ 원대 쌍륙 놀이를 하는 관료와 종복
147/ 원대 연회 그림에 나오는 관료와 종복
148/ 명대(明代) 농민 목동과 노동자
149/ 명대(明代) <황도적승도(皇都積勝圖)>에 보이는 각 계층 인물
150/ 수호전 그림 일부
151/ 명대 건모(巾帽)
152/ 명대 망건을 쓴 농민과 노동자
153/ 명초 제묵(製墨, 먹 제조) 노동자
154/ 명대 남녀 악부(樂部)
155/ 명대 부녀 유행복장과 머리 장식
156/ 명대 방한용 귀마개(暖耳)와 조갑(罩甲)
157/ 명대 귀족 남녀
158/ 명 <헌종(憲宗) 행락도>에 나오는 잡극인, 내감(內監), 궁녀와 제왕
159/ 명대 황제와 황후의 금관
160/ 명대 비단
161/ 청초(清初) <경직도(耕織圖)>
162/ 청초 부녀 장속(裝束)
163/ 청초 회족(回族) 남녀
164/ 청초 장족(藏族) 남녀
165/ 청초 유족(維族, 위구르족) 남녀
166/ 청초 묘족(苗族) 남녀
167/ 청초 이족(彝族) 남녀
168/ 청초 장족(壯族) 남녀
169/ 청초 요족(瑶族) 남녀
170/ 청초 카자흐족(哈薩克族) 남녀
171/ 청초 백족(白族) 남녀
172/ 청초 태족(傣族) 남녀
173/ 청초 여족(黎族) 남녀
174/ 청초 고산족(高山族) 남녀
175/ 청초 혁철족(赫哲族) 남녀
176/ 청대(清代) 연회석상의 몽골 왕공 그림
177/ 청대 제왕의 포복(袍服)
178/ 청대 옹정제 4명의 비(妃) 편복(便服, 일상복)
179/ 청대 비단

후기
재판 후기
일부 문헌과 문물을 다원적으로 결합시킨 학술 명저-심종문의 『중국고대복식연구』, 왕야룽(王亞蓉)
선충원 학술연표
색인
역자 후기

저자소개

선충원 (지은이)    정보 더보기
본명은 선웨환沈嶽煥. 중국 후난성의 묘족 출신 군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10대 시절 군대에서 5년간 복무한 뒤 학업을 위해 베이징으로 갔으나 대학 입학에 실패하고, 베이징대학교에서 청강하며 습작을 이어오다 1924년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이 시절에 만난 딩링, 후예핀 부부와 함께 상하이로 가서 홍흑紅黑 출판사를 운영하며 동명의 잡지를 펴냈다. 칭다오대학교, 베이징대학교 등에서 학생들을 가르쳤으며, 장편소설 『변성』(1934) 등 자신의 체험을 담아 향토색이 짙거나 군 생활을 다룬 작품들로 작가로서의 입지를 다졌다. 1948년경 중국 내전과 공산당의 집권으로 문학이 정치를 위한 도구로 전락하면서 반反정치성을 공개적으로 비판받고, 자살을 시도할 정도로 사회적 따돌림에 시달리다가 절필했다. 이후 역사박물관에 근무하며 역사 문물 연구에 몰두했으나, 1950년대 후반부터 문화대혁명을 거치는 동안 지식인들을 휘감았던 정치적 혼란 속에서 또다시 고난을 겪었다. 1976년 문화대혁명이 끝나면서 복권되어 1980년대부터 작품들이 다시 간행되는 등 작가로서의 가치를 재평가받았으며, 미국에 초청받아 15개 대학에서 강연을 하기도 했다. 1988년 심장병으로 사망했다.
펼치기
심규호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 졸업, 동대학원 중문학 박사. 제주국제대학교 교수, 중국학연구회 및 중국문학이론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제주중국학회 회장으로 활동 중이다. 《육조 삼가 창작론 연구》, 《한자로 세상읽기》, 《도표와 사진으로 보는 중국사》 등 중국 고전과 사상에 대한 저술 활동을 이어왔으며, 《마오주의》, 《덩샤오핑과 그의 시대》, 《중국사상사》, 《개구리》, 《완적집》 등 70여권에 이르는 중국 관련 번역서를 국내에 소개했다.
펼치기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