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근대철학 > 근대철학 일반
· ISBN : 9791159318269
· 쪽수 : 304쪽
· 출판일 : 2022-02-11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말 | 장석준
길드 사회주의―서문
제1장 자유의 요구
제2장 민주주의의 기초
제3장 우리 시대의 길드
제4장 산업의 길드 시스템
제5장 소비자
제6장 공익 서비스
제7장 코뮌의 구조
제8장 코뮌의 작동
제9장 농업 분야의 길드 사회주의
제10장 진화와 혁명
제11장 이행 정책
제12장 국제적 조망
기타 관련 도서 소개
해제 — 길드 사회주의를 다시 말한다 | 장석준
1. 지금 왜 길드 사회주의인가?
2. G. D. H. 콜의 생애
3. 콜의 길드 사회주의 재평가
4. 오늘날 길드 사회주의를 재음미해야 할 이유
주
더 읽어야 할 자료들
옮긴이에 대하여
리뷰
책속에서
오늘날 세상을 움직이는 사회 세력들을 어떻게 평가하든, 조직된 노동자들이 ‘산업에 대한 통제’를 더욱 폭넓고 깊이 있게 요구한다는 것이야말로 우리가 이해해야 할 가장 핵심적인 사실이다. 이 요구는 특정 국가만이 아니라 산업 시스템이 강력하게 구축된 거의 모든 나라에서 제기되며, 특정 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각국의 기질과 전통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이 요구는 새로운 것은 아니다. 이는 1830년대 영국의 ‘오언주의’ 노동조합운동, 유럽 대륙의 아나키스트와 공산주의자, 미국의 초기 혁명가와 개혁가 등을 통해 노동운동 역사 내내 간헐적으로나마 등장했다. 그러나 현재 제기되는 요구는 더욱 보편적이면서 뿌리가 깊을 뿐만 아니라 이제는 노동계급 조직의 긍정적 성취에 굳건한 기반을 두고 있다는 점에서 과거의 선례들과는 성격이 다르다. 또한 이는 더 이상 단순히 유토피아적이지만은 않은 건설적이며 실천적인 요구이기도 하다.
-제1장 자유의 요구
민주적 대의제의 핵심은 첫째, 대의되는 자들이 대의하는 자를 자유로이 선택하며 일상적으로 접촉하고 상당한 통제권을 지녀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는 유권자들이 시민권의 모든 측면에서 한 인간 혹은 시민을 대의하게 하려고 누군가를 선출하는 게 아니라 일부 특정한 목표 혹은 일군의 목표들, 달리 말하면 일부 특정한 기능과 관련한 자신의 관점을 대의하게 하려고 누군가를 선출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모든 진정한 민주적 대의제는 기능적 대의제다.
어떤 민주국가의 구조든 이러한 핵심 원리와 조화를 이뤄야만 한다. 대의제를 채택할 경우 이는 항상 일정 범위의 기능과 연동되어야 한다. 말하자면 사회 안에서 수행되어야 할 서로 다른 핵심 기능군이 존재하는 만큼 각기 따로 선출된 여러 대의기구가 존재해야 한다.
-제2장 민주주의의 기초
실질적인 민주주의라면 길드의 모든 개별 조합원의 가슴에 와닿아야 하며, 이들이 직접 행사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길드 조합원은 작업을 하면서 자신이 실질적인 자치와 자유를 누리고 있다고 느껴야만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조합원은 열심히 일하지 않을 것이며 공동체 정신이 생동하지도 않을 것이다. 게다가 연합된 봉사로서 길드의 핵심 토대인 연합 정신은 그것이 가장 잘 표현될 수 있는 영역에서 자유롭게 작동해야 한다. 그 영역은 다름 아니라 협동의 습성과 전통이 살아 있는 곳인 공장이다. 공장은 산업민주주의의 자연스럽고도 근본적인 단위다.
-제3장 우리 시대의 길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