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종교/역학 > 기독교(개신교) > 기독교(개신교) 목회/신학 > 신학일반
· ISBN : 9791161292700
· 쪽수 : 274쪽
· 출판일 : 2024-02-28
책 소개
목차
서론 _ 로버트 G. 클라우스
1장 역사적 전천년설
역사적 전천년설 _ 조지 엘던 래드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의 응답 _ 허먼 A. 호이트
후천년설의 응답 _ 로레인 뵈트너
무천년설의 응답 _ 안토니. A. 후크마
2장 세대주의적 전천년설
세대주의적 전천년설 _ 허먼 A. 호이트
역사적 전천년설의 응답 _ 조지 엘던 래드
후천년설의 응답 _ 로레인 뵈트너
무천년설의 응답 _ 안토니 A. 후크마
3장 후천년설
후천년설 _ 로레인 뵈트너
역사적 전천년설의 응답 _ 조지 엘던 래드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의 응답 _ 허먼 A. 호이트
무천년설의 응답 _ 안토니 A. 후크
4장 무천년설
무천년설 _ 안토니 A. 후크마
역사적 전천년설의 응답 _ 조지 엘던 래드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의 응답 _ 허먼 A. 호이트
후천년설의 응답 _ 로레인 뵈트너
후기
후기 _ 로버트 G. 클라우스
참고 문헌
저자・편집자 소개
저자소개
책속에서
하나님 나라를 가르치는 것은 성경 해석자들이 다뤄야만 하는 주제 중 좀 더 어려운 주제다. 신자들이 다니엘 2장이나 요한계시록 20장 같은 구절들에 대해 자신의 해석을 제시할 때 그 문제가 예리해진다. 이런 텍스트들을 인간 역사의 흐름과 관련지으려는 시도에서 그리스도인들은 그리스도의 재림과 그의 통치를 설명하는 몇 가지 시스템을 만들어냈는데, 그것들 세 가지에 전천년설, 무천년설, 후천년설이라는 명칭이 붙여졌다. 이 범주들은 유익하고 널리 받아들여지지만 어떤 면에서는 유감스러운 구분이다. 그 구분들은 그리스도의 재림 시기와 좀 더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전천년주의자들이 고대하는 왕국은 후천년주의자들이 고대하는 왕국과 판이하다. 차이는 그 왕국이 수립될 시기와 방식에 관해서뿐만 아니라 그 왕국에 대한 그리스도의 통제 행사의 본질과 방식에 관해서도 나타난다. 우리는 그 견해들을 자세히 정의함으로써 그 견해들과 그 함의들을 이해할 수 있다.
_서론
전천년설은 그리스도의 재림 후 도래할 시대의 새 하늘과 새 땅에서 하나님의 구속 목적이 최종적으로 완성되기 전에 그가 땅에서 1,000년 동안 다스리실 것이라고 진술하는 교리다. 이는 요한계시록 20:1-6의 자연스러운 해석이다.
요한계시록 19:11-16은 그리스도의 재림을 정복자가 자신의 적들, 곧 적그리스도와 사탄과 죽음을 멸망시키기 위해 오는 것으로 묘사한다. 요한계시록 19:17-21은 먼저 적그리스도와 하나님 나라에 반대하여 그를 지원한 무리들의 멸망을 묘사한다. 요한계시록 20장은 이어서 적그리스도 배후에 있는 악한 힘, 곧 옛 뱀이요 마귀요 사탄인 용의 멸망을 이야기한다. 이것은 두 단계로 일어난다.
우선, 사탄이 적그리스도를 통해 그렇게 했던 것처럼 “다시는 만국을 미혹하지 못하도록” 결박되어 “무저갱”(계 20:1)에 감금된다(계 20:3). 이때 성도들의 “첫째 부활”이 일어나(계 20:5) 그리스도가 이 땅을 1,000년 동안 통치하시는 데 참여한다. 이 일 후에 사탄이 결박에서 풀려나고, 사탄은 그리스도가 이 땅을 1,000년 동안 다스리셨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하나님께 반역할 준비가 되어 있는 거듭나지 않은 사람들을 발견한다. 최후의 종말론적 전쟁이 뒤따르고 마귀가 불과 유황의 못에 던져진다. 그때 천년왕국 전에 부활하지 않은 사람들의 둘째 부활이 일어난다. 그들은 하나님의 심판석 앞에 나와 그들의 행위에 따라 심판을 받는다. “누구든지 생명책에 기록되지 못한 자는 불 못에 던져지더라”(계 20:15). 그때 사망과 무덤이 불 못에 던져진다.
_1장 역사적 전천년설: 역사적 전천년설
핵심적인 현안에 초점을 맞추면서 래드는 “세대주의는 구약성경의 문자적 해석에 의해 종말론을 형성하고 신약성경을 그것에 맞춘다. 비세대주의 종말론은 신약성경의 명시적인 가르침을 통해 종말론을 형성
한다”라고 단언한다(본서의 38쪽을 보라). 내가 판단하기에 이것은 사실에 대한 공정한 진술이 아니다. 세대주의자는 구약성경에 비추어 신약성경을 해석하는 반면 비세대주의자는 구약성경에서 도출된 것이 아닌 해석 체계를 통해 신약성경에 접근하고 이를 신약성경에 부과하는 것으로 보인다. 래드가 “(a) 그리스도의 초림은 구약성경의 문자적 해석을 통해 예견되지 않았던 방식으로 성취되었고, (b) 구약성경의 약속들이 기독교 교회에서 성취되었다는 피할 수 없는 징후들이 있다”고 단언할때(본서의 38쪽을 보라) 그의 말은 무천년설처럼 들릴 뿐만 아니라 무천년설과 아주 가깝다. 이 지적을 피하기 위해 그는 교회가 명확히 이스라엘과 구분되는 로마서 11장 같은 구절들을 해석할 때 영적 해석에서 문자적 해석으로 이동할 필요를 느낀다.
_1장 역사적 전천년설: 세대주의적 전천년설의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