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행복론
· ISBN : 9791161950761
· 쪽수 : 240쪽
· 출판일 : 2018-11-26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 인생을 ‘그냥저냥’ 살지 않기 위하여
1장. 감정 바라보기: 두근거리며 눈뜨고 흡족하게 잠들기 위하여
누구에게나 통하는 행복 스킬이 있을까?
두근거리며 눈을 뜨고 흡족한 기분으로 잠들기
긍정과 부정 모두 역할과 의미가 있어
사람들은 살아남기 위해 긍정을 사랑해왔다
시시때때로 나를 지켜주는 불편한 감정
하버드대학교의 ‘감정 체크리스트’
절망이란 경험 후에 ‘희망’의 힘은 세진다
창의력이 필요할 때는 긍정이 전략을 짤 때는 부정이
나를 움직이게 하는 진짜 ‘감정’은 무엇일까
‘이성’이 자리 잡으면 호기심은 문을 닫고 떠나지
빛나는 시기는 늦을수록 좋아
도전 속에서 단단해지는 진짜 자신감
인생을 해석하는데 과학이란 무엇일까
긍정적인 성격은 타고나는 것일까
2장. 욕망 바라보기: 사람들은 자꾸 행복을 미루려고 한다
행복이란 쾌락, 의미, 몰입의 균형
우리는 자주 분위기 파악하는 훈련을 받고 있어
사람들은 자꾸 행복을 미루려고 한다
내 속에서 아우성치는 욕망 따라가기
통장잔고에 집중하다 보면 현재의 행복이 스쳐 지나가
나와 마주보기조차 어려운데 행복을 느낄 수 있을까?
사회의 욕망과 나의 욕망 조합하기
사람에게는 의사결정의 총량이 정해져 있다
편리한 생활 속에서 커지는 ‘편안함’이란 욕망
행복은 아마도 나만의 축제를 발견하는 것
좋아하는 것만 좋아하면 그 속에 갇혀버리지
3장. 관계 바라보기: 이 사람 ‘이면’ 괜찮아
먹이를 나눠주는 인간의 마음이란
위험하더라도 지금 ‘이곳’을 떠나고 싶어
연애를 책으로 배운 과학자의 헛발질
일부일처제는 다양성을 위한 것이야
이성과 감성을 무한 왕복하는 연애
결혼이란, 이 사람 ‘이면’ 괜찮아
사랑의 표현은 왜 필요할까?
원래 ‘없다’고 생각하면 모든 것이 고마워져
4장. 다양성 바라보기: 행복에도 ‘유행’이 있을까?
세상은 다양하라 말하면서도 유행을 만들지
친구의 권유보다 강력한 SNS의 입소문
‘핫’한 것은 최소 3개 커뮤니티의 동의가 필요해
익숙함에 새로움을 더하는 것이 창의력 아닐까
나이를 먹을수록 새로움이 두려워져
‘핫’한 것이 ‘옳은’ 것은 아니야
5장. 인생 바라보기: 행복이란 순간순간의 행복점을 연결하는 것
불안한 시대의 뒷면을 볼 ‘시각’이 필요해
다른 듯 보여도 같은 너와 나의 상식
과학도 직감을 뒤집기 위한 방법론이야
진정한 이해에는 5단계가 필요해
‘새로움’에는 ‘이해’가 따라와야 한다
삶의 ‘틀’을 조정하는 것은 행복점을 찍어가는 여정
행복하려는 ‘의지’가 행복한 결과보다 소중해
세상을 바꾸기 위해 주변 30cm를 바꾸기
진짜 원하는 것을 찾을 때까지 차근차근 행복점 찍기
나만의 행복 리스트를 ‘만드는’ 것이 시작점
내 묘비명을 생각하면 살아갈 이유를 찾을 수 있어
에필로그 / 나만의 행복을 찾아내고 가꾸길 소망하며
리뷰
책속에서
이시카와 : 어떤 시점에서 ‘자신의 인생’을 걷기 시작할지는 ‘결정’의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저는 50세 정도가 좋다고 생각해요. 인생, 진짜 길잖아요. 50살까지는 좋아하는 것, 싫어하는 것, 아무래도 좋은 것 등등 여러 가지를 다 해보면서 삶의 폭을 넓히다가 50살이 되어서 ‘커넥팅 더 도트’를 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중략) ‘점(도트)을 잇는다(커넥트)’, 자신의 인생을 되돌아보면서 각각 따로 존재하는 흥미나 관심(도트)을 이어보는 거죠.
요시다 : 50세 정도가 되면 점을 더 이상 늘릴 필요가 없다는 거죠?
이시카와 : 그때는 잘 이어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요시다 : 흔히 행복을 방해하는 요소로 ‘부정적인 감정’을 꼽습니다. (중략) 저는 ‘슬픔’ ‘분노’ ‘억울함’ 같은 부정적인 감정이 들면 ‘내가 졌다’ ‘실패했다’ 같은 패배감이 찾아와서 마음이 불편해집니다. 인생이 꼭 이기고 지는 건 아니지만요.
이시카와 : 그럴까요? 부정적인 감정이 필요할 때도 많습니다. (중략) 감정은 모두 역할이 있고 부정적 감정 뒤에 행복을 느끼는 경우도 많습니다. (중략) 저는 인생에서 반드시 습득해야 할 기술이 감정 조절이라고 생각합니다. 부정적인 감정은 수시로 찾아옵니다. 영원히 없앨 수는 없어요. 그렇다면 잘 다독여서 에너지로 써야 합니다. 이 감정 조절만 어느 정도 할 수 있다면 살아가는 데 자신감도 생길 거라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