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캥거루

캥거루

(문학동인 캥거루 수필 모음집)

최지나, 유금란, 박성기, 박성기, 양지연, 안동환, 임을옥, 정동철, 박새미, 장석재, 김은희, 장미혜, 신현숙, 김미경 (지은이)
시산맥사
1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250원 -5% 2,500원
750원
16,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캥거루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캥거루 (문학동인 캥거루 수필 모음집)
· 분류 : 국내도서 > 에세이 > 한국에세이
· ISBN : 9791162436097
· 쪽수 : 216쪽
· 출판일 : 2025-08-01

목차

Prologue
캥거루 동인집을 내며 4

최지나
마거릿 리버에서의 첫날밤처럼 12
송시(頌詩) 18
조지 스트리트 75번지 22

유금란
돈 콜 미 베이비 28
시드니에서 부르는 靑山別曲 32

박성기
책 읽어주는 여자, 정혜 42
하루만 우리 둘만의 감옥에 갇혀 있어요 47
부활을 앞둔 얼치기 작가의 모의 장례 축제 51

양지연
입국심사 58
바로 당신이야! 62
삶과 죽음 그 어디에 가벼움이 있는가? 65

안동환
숲의 노래, 생명과 공존 70
숲의 풍경, 시간의 무게 75
숲의 운명, 저절로 그렇게 80

임을옥
지도, 그 길 위에서 86
20달러 행복 91
잘 살고 있는 거죠? 모두 95
정동철
술과 아버지 102
병권 106
미스터리 노년 110

박새미
갠지스강 116
안녕, 쿠스코 120
12월의 로바니에미 125

장석재
둥근 달 속의 캥거루 132
DMZ 발전병 138
아임 낫 유어 맘 144

김은희
너도 할 수 있단다, 오징어순대 150
그래서 그대가 좋다 154
나는 미치고 싶다 159

장미혜
동행 168
제임스 딘 가라사대 174
집, 너를 위한 변주곡 180

신현숙
청계천 아래, 검은 물의 노래 188
양철지붕 위의 무지개 193
장롱 속 푸른 봄 196

김미경
녹아버린 하루 202
기억하라 1970 206
말 뺑소니 211

저자소개

장석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 예산에서 태어나 7살 때부터 서울에서 성장했으며, 대림그룹에서 20년 근무 후 1997년 호주 시드니로 이주했다. 시드니에서 Weir Warman, Bucher 등의 회사에서 20여 년간 철강노동자로 일했다. 1991년 그림책 『고목나무가 살아났어요』를 발간했다. 1996년 계간지 『창작수필』 여름호 신인상을 받았다. 2015년 수필집 『둥근 달 속의 캥거루』를 출간했다. 2012년 제14회 재외동포문학상 수필 부문 대상을 받았고, 2022년 강원일보 <DMZ 문학상> 수필 부문에 입상했다. 현재 문학동인 캥거루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 대표를 맡고 있다.
펼치기
장석재의 다른 책 >
김미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호주 시드니 거주. 경기도 파주에서 유년 시절을 보내고 의정부에서 성장했다. 1998년 호주 시드니로 이주. 이민 초기 남편과 함께한 사업이 모두 실패의 연속이던 시절, 인터넷 블로그에 하소연하듯 글을 올리는 것이 마음을 푸는 유일한 수단이었다. 그렇게 시작된 글쓰기가 수필이라는 문학세계에 발을 들여놓게 되었다. 현재는 쇼핑센터 주방용품 가게에서 판매원으로 일하고 있다. 2009년 계간 『문학시대』 수필 등단. 2015년 『배틀한 맛을 위하여』 출간. 2022년 해외 한인 5인 공저 『바다 건너 당신』 출간. 현재 문학동인 캥거루와 수필U시간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장미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대구에서 태어났지만, 갓난아기 때부터 춘천에서 자라 대학까지 춘천에서 나온 춘천댁이다. 서울올림픽 개최로 한국이 시끄럽던 1988년 1월 22일, 라면 5개와 고춧가루 그리고 수필집과 무협지, 옷가지 몇 개만 바퀴 달린 가방에 담아 신혼여행처럼 조용히 김포공항을 떠났다. 호주로 직항편이 없던 시절, 홍콩에서 8시간을 머물러 호주행 콴타스를 탔다. 식품점은 2곳. 스트라스필드에 한양식품, 채스우드의 거복식품. 라면이 3배 비싸게 팔리고 있었다. 참 아련한 세월이다. 얼마 후 한호타임즈에 내 이름으로 칼럼을 썼다. 호주동아일보 1993년 신춘문예에 「둥지 튼 철새」로 소설 부문 수상을 했다. 2005년에는 『수필문학』을 통해 등단했고, 10년 후 작품집 『50에 점을 찍다』를 냈다. 현재 시드니에서 회계사로 근무하며 문학동인 캥거루에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장미혜의 다른 책 >
유금란 (지은이)    정보 더보기
강화에서 출생, 인천에서 성장했다. 미술을 하고 싶었으나 부모님 반대로 국문학을 선택했다. 졸업 후, 조그마한 잡지사에서 기자 생활을 하다가 결혼하면서 글쓰기와 결별했다. 2000년 1월, 남편 직장을 따라 시드니로 이주했다. 이즈음 모국어에 대한 집착 증상이 나타났고, 문학 언저리를 다시 어슬렁거렸다. 2009년, 2014년 두 차례 재외동포문학상에 입상하면서 수필을 본격적으로 쓰기 시작했다. 몇 년 뒤 『시드니에 바람을 걸다』와 5인 공저 『바다 건너 당신』을 출간했다. 2021년 동주해외신인상을 받으며 시인이 되었고, 2025년 시산맥시문학상을 받았다. DSA(Disability Services Australia)에서 12년째 장애인들과 함께 일하고 있다. 문학동인 캥거루와 수필U시간 동인으로 활동 중이다. 『문학과 시드니』 주간, 계간 『웹진시산맥』 편집위원을 맡고 있다.
펼치기
박성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평생, 책에 빠져 살고 있다. 헌 책 모으기가 취미고, 읽는 것은 특기다. 서울에서 7년을 기독신문 기자로 일하다가 1995년 서른두 살에 뉴질랜드(오클랜드)로 이민을 떠났다. 뉴질랜드타임스와 크리스천라이프 편집장으로 일했고, 영어 책방 에듀 북샵(Edu Bookshop)을 10년 넘게 했다. 총각 때 배낭 하나 메고 1년 동안 40여 나라를 다녔다. 그때 추억과 경험을 두고두고 얘기하는 이유는 그만큼 삶에서 소중했던 시간이었다고 믿어서다. 1993년 월간중앙 25주년 기념 논픽션 공모에서 〈라이 따이한 의 눈물〉로 우수상을, 2013년 제15회 재외동포문학상 공모에서 <공씨책방을 추억함>으로 수필 부문 대상을 받았다. 오클랜드에서 한국 도서관이라 할 수 있는 한솔문화원(Hansol Cultural Centre)을 세웠는데, 이 일을 삶에서 제일 큰 보람으로 느끼고 있다. 한솔은 큰아들 이름이다. 쉰이 넘은 나이에도 늘 책 읽기를 즐기고 글쓰기를 사랑하는 스콜라(Scholar, 읽고 쓰는 사람)다. 대하소설 《토지》를 쓴 작가 박경리와 출판인이자 여행가인 앨프리드 리드(Alfred Reed, 뉴질랜드 사람)를 가장 존경하며 본받고 싶어한다.
펼치기
박성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책에 미친 사람.’ 20대부터 얻은 별명이다. 사회생활을 교계 기자로 시작했다. 여행가 김찬삼을 존경해 일찌감치 세계 일주를 즐겼다. 1993년 월간중앙 논픽션에서 「라이 따이한의 눈물」로 우수상을 받았다. 1995년 뉴질랜드에 이민했다. 그곳에서 에듀북숍과 한솔문화원을 세웠다. 교민 신문 편집장도 맡았다. 2013년 재외동포문학상 수필 부문 대상을 차지했다. 코비드 19 기간 중 뉴질랜드의 위대한 올레길 열 곳(NZ Great Walks 10)을 걸었다. 2022년 시드니로 건너와 살고 있다. 『공씨책방을 추억함』 등 세 권의 책을 펴냈다. 남은 삶을 (계속해서) ‘읽고, 쓰고, 걷고’ 그러며 살려고 한다. 문학동인 캥거루 동인으로 활동하면서 글 쓰는 기쁨을 누리고 있다.
펼치기
박성기의 다른 책 >
안동환 (지은이)    정보 더보기
한강이 내려다보이는 서울에서 태어나 자랐다. 두산에서 22년간 엔지니어로 일했고, 2006년 호주로 이주해 시드니와 멜버른의 숲속에서 나무와 함께 새로운 삶을 시작했다. 2010년 한국 『문학사랑』으로 등단했고, 현재 시드니 문학동인 캥거루에서 활동 중이다. 산문집으로 『중년, 담담하게 버티는』이 있고, 2024년 재외동포문학상 수필 부문에 입상했다.
펼치기
최지나 (지은이)    정보 더보기
인천 강화에서 태어나, 어린 시절을 보냈다. 유치원 교사로 일하다 서부 호주 퍼스에서 유학 중이던 남편과 1991년에 결혼, 호주로 이주했다. 세 아이를 키우며 전업주부로 지냈고, 2005년 퍼스에서 시드니로 이사했다. 2008년 수필창작교실을 수료한 후 글쓰기를 시작해, 2010년 『문학시대』 수필 부문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2015년 한민족통일문예제전에서 입상했다. 현재 한글학교 교사로 일하고 있으며, 문학동인 캥거루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양지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5.16 군사 쿠데타가 일어난 1961년 충남 금산 출생. 대학 졸업 후 최루탄 만드는 삼양화학의 스카우트 제의를 물리치고 1989년 호주에서 연구 보조원으로 새 삶을 시작. 1998년 Australian National University(ANU)에서 석사 학위 취득. 2004년 독일 프랑크푸르트 괴테 대학에서 박사 학위 취득. 귀국 후 가톨릭 의대에서 2012년까지 재직. 호주로 이주 후 애들레이드 대학 암 연구소에서 근무. 2017년 시드니로 이사. 2021년 월간 『크리스찬리뷰』에 ‘인간이란 무엇인가’로 1년간 연재. 프리랜서 사진작가(한국사진작가협회). 현재 문학동인 캥거루 회원으로 활동.
펼치기
임을옥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성장하여 1988년 호주 시드니로 이주했다. 낯선 외국 땅에서 살아가느라 앞만 보고 달려왔다. 그러다 덜컥, 세계를 휘감아버린 ‘코로나19 폭풍’ 속에 갇혔다. 숨 가쁘게 지내던 시간이 갑자기 멈춰지자 지난 세월이 보였다. 아내와 엄마로 보낸 시간 속에 ‘나’라는 사람은 잘 보이지 않았다. 내가 무엇을 좋아하는지, 무엇을 잘하는지, 앞으로 어떻게 살고 싶은지 말이다. 출근도, 외출도 못 하면서 비로소 책을 읽기 시작했다. 부끄럽지만, 먹고살기 바쁘다는 이유로 책을 멀리하고 살았다. 책 읽는 기쁨이 찾아왔다. 마음에 담은 문장이 잊힐까 필사도 했다. 좋은 글을 읽을 때마다 글을 쓰고 싶다는 생각이 간절했다. 지금은 문학동인 캥거루에서 글을 배우고 있다.
펼치기
정동철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에서 정치학을 공부하고 1997년 호주로 이민 와서 시드니대학에서 국제정치학 석사와 로스쿨을 마친 후 현재 시드니에서 변호사로 일하며 문학동인 캥거루 동인으로 활동하고 있다. 2013년 제15회 재외동포문학상 수필 부문에서 「재스민 쌀과 된장찌개」로 가작 입상했으며 2024년 제2회 시드니문학상 수필 부문에서 「발톱」으로 당선됐다.
펼치기
박새미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에서 태어나 시드니에서 28년째 거주 중이다. 대학 시절 치의학을 전공하여 15년째 치과의사로 일하고 있다. 한국과 호주, 두 나라를 사랑하지만 그 어디에도 온전히 속하지 못한 ‘반쪽이’로 살고 있다. 여행하며 영감을 얻고, 사유하는 것을 좋아한다. 2020년 계간지 『창작산맥』에서 수필로 신인상을 받으며 등단했고, 2022 영남일보 달구벌 문예대전에 입상했다. 2023년 『문학과 시드니』에서 제1회 시드니문학상(수필 부문)을 수상했다. 현재 문학동인 캥거루 동인으로 활동하며 꾸준히 글을 쓰는 중이다.
펼치기
김은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충남 당진에서 태어나 성남에서 자랐다. 1992년, 남쪽 하늘 아래 새로운 삶을 꿈꾸며 가족과 함께 호주 시드니로 이주했다. 시드니대학교에서 인문학을 수학하고, 웨슬리 신학대학과 AIFC대학에서 신학과 상담을 전공했다. 현재는 상담과 미술 심리치료사로, 마음의 풍경을 듣고 돌보는 일을 하고 있다. 2011년 『모던포엠』 시 부문 신인상으로 등단했다. 시드니한국문학작가회 소속이며 문학동인 캥거루 문우들과 글의 온기를 나누며 살아가고 있다.
펼치기
신현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 태생. 서울사대부고, 국군간호사관학교 졸업, 간호장교로 13년 근무, 소령으로 전역 후 1990년 호주로 이주했다. 문학동인 캥거루에서 활동하며 시와 수필을 쓰고 있다. 내게 있어 글쓰기란 현재를 살피고 앞으로 살아갈 방향을 가다듬는 행위이다. 좋아서 쓰는 글이라지만, 내 글은 내가 먼저 읽기 위한 것이고, 그다음은 가까운 벗을 독자로 갖고 있기에 가능하다. 사는 동안 지금 무엇을 하며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에 대한 답을 찾아가며 글 쓰는 일을 멈추지 않을 것이다. 2012년 호주동아일보 신년문예 시 부문 수상했고, 2015년 재외동포문학상 시 부문 가작, 2021년 선농문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책속에서

[프롤로그]

캥거루 동인집을 내며

2012년 12월 22일, 시드니 파라마타 워프 근처, 소박한 한인 카페 한구석에서 처음 모였습니다. 작은 테이블에 둘러앉은 다섯 명(공순복, 김미경, 유금란, 장미혜, 장석재)은 모국어로 이민의 삶을 나누고 싶었습니다. 그때는 각자 개인 수필집을 내는 게 목적이었습니다. 우리는 결연했고 절실했습니다. 그날의 떨림이 작은 씨앗이 되어 열두 해의 세월을 건너 지금, 13명의 회원이 첫 동인집을 엮어내는 결실로 이어졌습니다.
‘수필동인 캥거루’라는 이름 아래 우리는 매달 한 번씩 모였습니다. 서로의 글을 읽고 토론하며 문장 너머에 있는 삶을 나누었습니다. 때로는 웃음소리로, 때로는 말끝에 맺힌 침묵 속에서 뜨거운 공감과 성찰을 주고받았습니다. 그 소중한 시간이 우리를 단단하게 다듬었고, 글과 삶을 포개어 하나의 숨결로 이어주었습니다.
이 동인집은 이국땅 호주 시드니에서 모국어로 살아낸 시간의 기록입니다. 각 동인이 대표작 한 편, 최근작 한 편, 그리고 신작 한 편을 담았습니다. 작품 발표순서는 제비뽑기로 정했습니다.
짧은 글 속에 스민 것은 단순한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가 지나온 시간과 마음 그리고 다시 피워 올린 이민 언어의 꽃들입니다.
초대 회장으로서, 지금은 ‘고문’이라는 이름으로 이 발간사를 씁니다. 섬세한 손길과 따뜻한 지도력으로 오늘의 동인을 이끌어주고 계신 회장 유금란 작가, 총무 김미경 수필가 그리고 지난 12년의 길을 함께 걸어온 동인들께 깊은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이 첫 동인집이 앞으로 이어질 더 많은 이야기의 첫걸음이 되기를 바랍니다. 아울러 이 동인집을 펼친 모든 이에게 잔잔한 울림으로 닿아가기를 소망합니다.

2025년 7월
고문 장석재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