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잠자는 거인을 깨워라

잠자는 거인을 깨워라

(학교혁신을 위한 교사리더십)

메릴린 캐천마이어, 게일 몰러 (지은이), 양성관, 정바울, 이경호 (옮긴이)
에듀니티
17,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5,300원 -10% 0원
850원
14,450원 >
15,300원 -10% 0원
0원
15,3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잠자는 거인을 깨워라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잠자는 거인을 깨워라 (학교혁신을 위한 교사리더십)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64250318
· 쪽수 : 332쪽
· 출판일 : 2019-07-25

책 소개

20년 동안 현장의 교사리더들을 연구하고 관찰한 경험을 집대성한 책이다. 캐천마이어와 몰러는 리더십의 개념을 확장하여 학생의 성취도를 좌우하는 교사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목차

역자 서문: 교사리더십으로 학교혁신을 주도하는 ‘깨어있는 리더’로 거듭나라
저자 서문: 교사리더십, 성공적인 학교혁신으로 가는 옳은 길
감사의 글

1. 교사리더십 이해하기
-교사리더십의 출현
-교사리더십의 정의
-교사리더로 성장할 수 있는 세 명의 교사
-교사리더로서의 잠재성 탐색
-교사리더십 개발의 주체
-교사가 스스로를 교사리더로 인식할 때 학교에 변화가 온다
▶교육현장에서의 교사리더십 적용을 위한 과제

2. 교사리더십은 왜 필요한가
-교사리더십의 필요성
-교사리더십의 이점
-교사리더십의 기본 가정
-교사리더십의 잠재성을 잘 활용하라
▶학교현장 교육주체들의 교사리더십 적용 방안

3. 교사리더 개발하기
-교사리더의 전문성 개발
-교사 대상 리더십 개발
-교사리더십 개발 모형
-교사리더 개발을 위한 장기적 전략을 수립하라
▶교사리더 전문성 개발을 위한 교육현장 담당자별 장기 전략

4. 교사리더로서 자신과 타인에 대한 이해
-교사의 독특성
-주저하는 교사
-다양성 존중
-교사리더십, 개성이 존중되는 학교에서 성공한다
▶평범한 교사들을 교사리도러 참여시키는 담당자별 맞춤 전략

5. 교사리더십을 지원하는 문화 구축
-학교문화 차원
-교사리더십을 위한 학교문화 형성 요인
-성공한 학교리더가 교사리더십을 지원하는 환경을 만든다
▶담당자별 교사리더십 지원환경 조성 방법

6. 교사리더십 펼치기
-교수 전문성을 통한 영향력 행사
-교사리더의 영향력 행사 방법
-교사리더의 영향력 행사 전략
-학교현장에서 교사리더의 실행
-교사리더십이 발휘되면 학업성취도가 향상된다
▶교사리더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환경 마련을 위한 담당자별 실행 전략

7. 교사리더십의 발전과 도전
-교사리더십의 발전
-교사리더십의 영역
-교사리더의 도전
-교사리더가 적극적으로 학교의 변화를 주도해야 한다
▶교사리더들이 직면한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는 담당자별 대처방법

8. 교사리더십의 미래 설계
-미래의 교사리더십
-교사리더의 관심사
-변화를 지지하는 교사리더
-교사리더십은 학교개혁을 이끄는 구심점이 될 것이다

참고자료 A: 교사리더십을 위한 자료: 교육철학 설문
참고자료 B: 교사리더십을 위한 학교문화 설문지
참고자료 C: 교사리더십을 위한 시간 확보
참고자료 D: 교사리더십 관련 서적, 진단도구, 그리고 단체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메릴린 캐천마이어 (지은이)    정보 더보기
<전문성 개발센터(Professional Development Center)>의 대표로, 현재 컨설팅, 교수설계 그리고 전문적 글쓰기에 열중하고 있다. 그녀는 최근 남 플로리다(South Florida) 대학의 교수요원 관리자로 근무했으며 학교행정가나 교사리더를 지역단위 리더로 키우는 <임원 리더 프로그램(Executive Leaders Program)>을 개발하고 실행했고, 교육청 단위의 <교직으로의 전환(Transition to Teaching) 프로젝트>에서 조정자 역할을 했다. 그녀의 주요 연구는 학교관리자의 행위에 미치는 리더십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 측정에 관한 것이다.
펼치기
게일 몰러 (지은이)    정보 더보기
최근 서부 캐롤라이나 대학교의 <교육 리더십과 재단(Educational Leadership and Foundation)> 부서에서 부교수로 재직하다 퇴임했다. 그녀는 이전엔 <교육리더를 위한 남부 플로리다 센터(the South Florida Center for Educational Leaders)>에서 상임이사로 일하며 남 플로리다에 있는 도심지 대규모 교육기관에 학교리더들을 위한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19년 동안 브로워드 카운티(Broward County) 공립학교들(Fort Lauderdale, Florida)에서 교사, 학교행정가, 그리고 연수관리자로 일했다. 콜롬비아대학교 사범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그녀의 주요 연구 관심사는 교사리더십과 전문적 학습 공동체이다. 그녀는 판케이크(Anita Pankake)와 공동으로 《함께 리드하기: 교사리더십에 대한 교장 가이드(Lead With Me: A Principal's Guide to Teacher Leadership》라는 책을 집필했다.
펼치기
양성관 (옮긴이)    정보 더보기
텍사스 주립대학교에서 교육정책기획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교직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최근의 관심 주제는 대입공정성, 학교변화의 지속가능성, 교사리더십과 변화적응 리더십, 교육정책 해석의 다양성 등이다. 역서로 『학교변화와 혁신』(학지사, 2011), 『지식사회와 학교교육』(학지사, 2011), 『최선의 교육제도』(나남, 2017), 『잠자는 거인을 깨워라』(에듀니티, 2019) 등이 있다.
펼치기
이경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에서 교육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사, 고려대 HRD정책연구소 및 고등교육정책연구소 연구교수, 고려대학교 교수(교육행정 및 고등교육학)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고려대, 서울교대, 건국대에서 미래교육, 교육혁신, 교사학습공동체, 교육리더십 등을 주제로 연구와 강의를 이어가고 있으며, [한국교육리더십연구소] (블러그)를 운영하고 있다. 역서와 저서로 『학교변화와 혁신』(학지사, 2011),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학지사, 2013), 『교직실무』(학지사, 2014), 『잠자는 거인을 깨워라』(에듀니티, 2019), 『학교 리더십과 복잡계 이론』(학지사, 2020), 『교장론』(학지사, 2022) 등이 있다.
펼치기
정바울 (옮긴이)    정보 더보기
보스턴 칼리지에서 학교혁신을 주제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서울교대 교육정책 및 리더십 전공 교수로 재직 중이다. 관심 주제는 학교 변화와 혁신, 리더십, 교육과 테크놀로지, 교사 양성과 전문성 개발이다. 역서와 저서로는 『대학평가의 정치학』(학이시습, 2018), 『교사교육의 딜레마』(박영스토리, 2021), 『잠자는 거인을 깨워라』(에듀니티, 2020), 『코로나 시대 학교의 재탄생』(학이시습, 2020), 『로봇은 교사를 대체할 것인가』(에듀니티, 2022), 『지속가능한 리더십』(살림터, 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교육문제에 대한 해답은 학교공동체 구성원, 특히 모든 교사의 재능을 활용하는 리더십 구조에 있다. 노동자들(교사들)로부터 관리자들(학교 교장들)을 구분해서 관리하는 관료적 교육시스템으로는 큰 발전을 이룰 수 없다. 리더십은 “하나의 학교공동체 속에 내재되어야” 한다. 학교에서 교장이 유일한 리더라는 인식에 변화가 생기고, 성공적인 학교를 만들기 위해서는 이제 교사들의 리더십 역할이 중요하다는 인식이 명백해지고 있다.
- 1장 ‘교사리더십 이해하기’ 중에서


우리가 내린 정의에 의하면, 교사리더들은 학급 안팎에서 리더십을 수행하고, 교사 학습자와 리더들로 구성된 공동체에 소속감을 갖고 헌신하며, 다른 사람들의 교수능력 향상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그리고 자신들이 발휘한 리더십 결과에 책임을 지는 사람들이다.
- 1장 ‘교사리더십 이해하기’ 중에서


교사리더십의 의의는 조직의 역량 강화, 민주적 공동체 모델링, 교사의 권한 강화, 그리고 교사의 전문성 강화에 있다. 교사리더십의 이점들이 널리 알려지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들이 주목한 것은 교사의 효능감 증대, 변화의 지속성 유지, 그리고 우수교사의 장기근속 등이다.
- 2장 ‘교사리더십은 왜 필요한가’ 중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