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한국철학 > 한국현대철학
· ISBN : 9791166290176
· 쪽수 : 296쪽
· 출판일 : 2021-01-31
책 소개
목차
추천사 김형석, 이어령
들어가는 말 이당의 위기지학(爲己之學)과 지행일치(知行一致)의 삶
Ⅰ. 성(誠)철학
1. 인생의 지혜는 삶보다 먼저 옵니다!
2. 진실한 물음, 분명한 대답: 물음 주체, 삶의 주체인 ‘나’
3. 행복한 인생을 위한 기초, ‘사랑-함’
4. 사랑의 종교철학적 아포리즘
5. 이당 안병욱의 언어철학: 이름에 걸맞은 인생을 살아야 합니다!
6. 율곡 이이의 후예, 성(誠)을 통한 이당의 마음공부
7. 아, 불성무물(不誠無物)의 철학이여!
8. 성의(誠意)가 있는 삶을 위해 힘써야[務實] 합니다!
9. 인생의 내적 힘은 ‘덕(德)’입니다!
10. 행복은 삶에 정성을 다한 만족감입니다!
● 이당의 성실(誠實)철학
Ⅱ. 중용(中庸)철학
1. 삶 속에 속임수와 거짓의 자리는 없습니다!
2. 정성을 다하면 하늘도 감동합니다!
3. 수신의 완성은 덕에 있습니다!
4. 시중(時中)하면 이미 군자입니다!
5. 평화와 조화와 화목의 자리가 중용입니다!
6. 철학은 삶의 지혜입니다!
7. 성실의 덕을 살리고 참의 자리로 돌아가야 합니다!
● 이당의 중용(中庸) 철학
Ⅲ. 생(生)철학
1. 인생은 예술 이상의 예술입니다!
2. 생명을 생명답게 살아가는 것이 인생입니다!
3. 성찰하는 삶이어야 살 가치가 있습니다!
4. 생을 구도자의 자세로 살아가십시오!
5. 진실과 진리로 삶의 주인이 되십시오!
6. 인생은 ‘창조적 자기 표현’입니다!
7. 생은 사유와 행동의 지속입니다!
8. 성실한 생이 안온(安穩)한 죽음을 약속합니다!
9. 산다는 것은 생명을 연소(燃燒)하는 일입니다!
10. 인생은 한 권의 위대한 책입니다!
● 이당의 생철학
Ⅳ. 실학철학과 실용주의
1. 철학의 멸시가 철학입니다!
2. 지성일관(至誠一貫)의 삶을 사십시오!: 도산 안창호와 이당 안병욱의 만남
3. 실사구시(實事求是)의 정신으로 삽시다!
4. 우리가 창조적 지성인이 되어야 합니다!
5. 위대한 국민적 성격과 정신만이 살길입니다!
6. 생(生)의 내실(內實)을 기하십시오!
7. 미는 인간에게 하나의 구원입니다!
8. 한창필연불유진(閑窓筆硯不留塵): 이당의 문예 미학과 서예 미학
● 이당의 실용주의와 실학 철학
나오는 말 이당(怡堂)이라는 별호처럼 아름다운 그의 철학 이후에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부록 1. 이당 안병욱 연보
부록 2. 이당 안병욱 저작 및 기고문 목록
회고의 글 / 김선욱 / 박인주 / 이동원 / 황보윤식
감사의 말 / 안동규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이당은 산다는 것은 큰 뜻을 세우고 그것을 달성하기 위해서 주야로 분투하는 것이라고 보았습니다. 뜻이 없는 인생은 죽은 인생이니 허송세월하지 말고, 대망(大望)과 대지(大志)를 품고 자기의 뜻을 펼치면서 살라고 역설했습니다.
이당의 철학은 생철학으로 수렴됩니다. 그의 철학은 성(誠)을 기반으로 하는 성철학과 중(中)을 바탕으로 하는 중용철학의 양대 산맥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두 가지 철학은 단순히 이론이나 담론으로만 그친 것이 아닙니다. 생각과 사유[思], 그리고 일을 함에 있어 실제에 힘쓰는 것[務實], 뜻을 정성스럽게 하는 것[誠意], 마음을 바르게 하는 것[正心], 진실된 마음을 갖는 것[實心], 힘써 실천하는 것[力行]으로 이어집니다.
안병욱이 사랑-하기를 철학-하기(philosophieren)처럼 명제화하는 것은 사람-함도 결국 공부고 끊임없는 훈련과 체득의 과정임을 역설하는 것입니다. 인생에 대해, 사람에 대해 정성을 다한다는 것은 곧 자신을 사랑하고, 이웃을 사랑하고, 자연 세계(우주)를 사랑한다는 것인데, 이는 연습과 훈련과 공부를 통해야 가능합니다. 공부-함, 철학-함, 사랑-함은 삶의 행위이자 생철학의 근간이 됩니다. 인간다움과 인간 정신의 외현적 표상으로 인간의 지표로서 평가되는 행위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