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91166844126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5-07-15
책 소개
목차
◎ 일러두기_9
가례의절 권7文公家禮儀節卷之七_제례祭禮
사시제四時祭 13
초조初祖 43
선조先祖 51
녜禰 65
기일忌日 71
묘제墓祭 74
【보충】분황고제의【補】焚黃告祭儀 79
【보충】토지신土地神에 대한 제사 【補】祀土地 83
【보충】조신竈神에 대한 제사 【補】祀竈 86
제례고증祭禮考證 88
제례도祭禮圖103
가례의절 권8文公家禮儀節卷之八_가례잡의家禮雜儀_가례부록家禮附錄
가례잡의家禮雜儀_사마씨거가잡의司馬氏居家雜儀 109
가례잡의家禮雜儀_관례잡의冠禮雜儀 129
가례잡의家禮雜儀 _혼례잡의昏禮雜儀 132
가례잡의家禮雜儀_거상잡의居喪雜儀 143
가례잡의家禮雜儀_【보충】제사잡의【補】祭祀雜儀 147
가례잡의家禮雜儀_거향잡의居鄕雜儀 151
가례부록家禮附錄_통례通禮 168
가례부록家禮附錄_관례冠禮 173
가례부록家禮附錄_혼례昏禮 182
가례부록家禮附錄_상례喪禮 186
가례부록家禮附錄_제례祭禮 227
◎ 인명·개념어·서명/편명 색인_242
저자소개
책속에서
(축이(아뢰기를)) “효손 모가 다음 달 모일에 조고께 공경히 세사를 올리고자 하여 이미 길한 날짜를 얻었으니 감히 아룁니다.”라고 한다.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절하고 일어나고, 절하고 일어나 몸을 편다. 제자리로 돌아간다. (주인 이하는) 국궁하였다가, 절하고 일어나고, 절하고 일어나 몸을 편다. (축이 문을 닫고 나면 주인 이하는 다시 서향하여 서고, 집사자는 문의 서쪽에 동면하여 서되 북쪽을 윗자리로 한다.) 집사자는 훈계를 받는다. (축이 주인의 오른쪽에 서서 집사자에게 명하기를,) “효손 모가 다음 달 모일에 조고께 공경히 세사를 올리고자 하니, 유사는 물품을 준비하고 청소를 하라.”라고 한다.
제사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이날, 주인은 제사 음식 나누는 일을 감독하여 사람을 보내 친척과 벗에게 제사 음식을 나누어 주고 한편으로는 제사 음식으로 친속을 대접하며 한편으로는 예생(禮生)을 대접한다. 자제가 예생을 맡았다면 그렇게 하지 않는다. 제사 음식이 부족하면 다른 술과 고기로 보충한다.
제사 음식을 장만한다. 포시에 희생을 잡는다. 주인이 직접 자르는데, 희생의 털과 피를 쟁반 두 개에 담고, 머리, 심장, 간, 폐를 쟁반 하나에 담으며, 발기름과 쑥을 섞어 쟁반 하나에 담는데, 모두 날것으로 한다. 희생의 왼쪽 몸체는 사용하지 않는다. 오른쪽 몸체는 앞다리를 세 덩이로 만들고 등뼈 부위[脊]를 세 조각으로 만들며 갈비뼈 부위[脅]를 세 조각으로 만든다. 뒷다리는 세 덩이로 만드는데 항문 가까이 있는 한 마디는 사용하지 않는다. 모두 열한 부위이다. 밥을 지을 쌀 한 사발[?]은 쟁반 하나에 놓고 채소와 과일은 각각 6가지, 저민 간을 담는 작은 쟁반[小盤] 하나, 저민 고기를 담는 소반 하나를 준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