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가례의절 역주 3

가례의절 역주 3

구준 (지은이), 한재훈, 김윤정, 정현정, 장동우 (옮긴이)
세창출판사(세창미디어)
22,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2,000원 -0% 0원
220원
21,780원 >
22,000원 -0% 0원
0원
22,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가례의절 역주 3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가례의절 역주 3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동양철학 > 유교철학/주역 > 유교철학 일반
· ISBN : 9791166844126
· 쪽수 : 396쪽
· 출판일 : 2025-07-15

책 소개

『가례의절(家禮儀節)』은 중국 명대 학자 구준(丘濬)이 『가례(家禮)』의 내용을 예 시행 절차, 즉 ‘의절(儀節)’의 형식으로 바꾸어 사람들이 쉽게 보고 따를 수 있도록 한 저작이다. 구준은 『가례』의 내용 및 자신의 『가례』 재구성에 대하여 예경(禮經)과 그 주석, 후대의 예설(禮說)들을 인용하여 근거를 제시하고, 『가례』에서 의심스럽거나 불완전한 부분에 대해 수정·보완하였다.

목차

◎ 일러두기_9

가례의절 권7文公家禮儀節卷之七_제례祭禮

사시제四時祭 13
초조初祖 43
선조先祖 51
녜禰 65
기일忌日 71
묘제墓祭 74
【보충】분황고제의【補】焚黃告祭儀 79
【보충】토지신土地神에 대한 제사 【補】祀土地 83
【보충】조신竈神에 대한 제사 【補】祀竈 86
제례고증祭禮考證 88
제례도祭禮圖103

가례의절 권8文公家禮儀節卷之八_가례잡의家禮雜儀_가례부록家禮附錄

가례잡의家禮雜儀_사마씨거가잡의司馬氏居家雜儀 109
가례잡의家禮雜儀_관례잡의冠禮雜儀 129
가례잡의家禮雜儀 _혼례잡의昏禮雜儀 132
가례잡의家禮雜儀_거상잡의居喪雜儀 143
가례잡의家禮雜儀_【보충】제사잡의【補】祭祀雜儀 147
가례잡의家禮雜儀_거향잡의居鄕雜儀 151
가례부록家禮附錄_통례通禮 168
가례부록家禮附錄_관례冠禮 173
가례부록家禮附錄_혼례昏禮 182
가례부록家禮附錄_상례喪禮 186
가례부록家禮附錄_제례祭禮 227

◎ 인명·개념어·서명/편명 색인_242

저자소개

구준 (지은이)    정보 더보기
명明 중기의 학자이자 정치가로, 예부상서禮部尙書, 문연각대학사文淵閣大學士 등을 지냈다. 자는 중심仲深, 호는 경산瓊山이고 지금의 하이난[海南省] 출신이다. 『주자학적朱子學的』(1463), 『세사정강世史正綱』(1481), 『대학연의보大學衍義補』(1487) 등의 저술로도 잘 알려져 있다. 1469년 모친이 세상을 떠나자 1473년까지 거가居家하며 상을 치르고 1474년 『가례의절家禮儀節』을 완성하여 간행하였다. 구준은 「가례의절서家禮儀節序」에서 기존의 예서禮書가 너무 난해하여 예가 행해지지 못하므로, 『가례』의 내용을 예 시행 절차, 즉 ‘의절’의 형식으로 바꾸어 사람들이 쉽게 보고 따를 수 있도록 한다고 하였다.
펼치기
장동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진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조선시대 『가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저서로 『중국 고대 상복의 제도와 이념』(2007, 공저)이 있으며, 역서로 『의례 역주』(2014, 공역)가 있다. 「《주자가례》」의 수용과 보급 과정」(2010), 「조선시대 《가례》 연구의 진전」(2014), 「다산 《상의절요》의 연원과 재성문화의 원칙」(2015), 『변례서를 통해 본 조선 후기 《가례》 연구의 특성 및 함의」(2018), 「《상변통고》의 예학사적 위상」(2020)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한재훈 (지은이)    정보 더보기
고려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공회대학교 교육대학원 대우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연구 분야는 조선시대 성리학이며, 특히 예학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논문으로 「퇴계의 예학사상 연구」(박사학위논문, 2012), 「성리학적 ‘예’ 담론의 이론적 구도」(2015), 「조선시대 서원 향사례 비교연구―9대서원 향사의절을 중심으로」(2017), 「퇴계 이황과 고봉 기대승의 예학 논의」(2018), 「한강의 퇴계 예학 계승과 진전―《오선생예설분류》를 중심으로」(2019), 「조선 중기 《가례》에 대한 고증과 보정―《가례집람》을 중심으로」(2020), 「극암 배극소의 예학―《사례간요》를 중심으로」(2024) 등이 있다. 저서로 『퇴계 이황의 예학사상』(2021)이 있고, 역서로 『퇴계선생상제례답문: 이황, 삶의 도리를 말하다』(2024), 공저로 『조선 서원을 움직인 사람들』(2014), 『조선시대 예교담론과 예제질서』(2016), 『박세당 사변록 연구』(2020) 등이 있다.
펼치기
정현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학교 강사로 재직 중이다. 「사마광 《서의》의 체제 및 구성과 그 성격」(2011), 「구준 《가례의절》의 《가례》 재구성에 대한 고찰」(2012), 「조선에서 가례도 이해의 흐름」(2015), 「조선본 《가례》의 특징과 의의」(2020), 「《제례고정》을 통해 본 다산 예학의 성격」(2021), 「조선 유학자들의 출산에 대한 인식―제사의 금기와 관련하여」(2022) 등의 논문이 있다.
펼치기
김윤정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양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정연구원으로 재직 중이다. 조선시대 『가례』와 국가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논문으로 「18세기 예학 연구: 낙론의 예학을 중심으로」(2011), 「18세기 본암 김종후의 《가례집고》 편찬과 그 의미」(2015), 「조선후기 내상재선 의례의 변화와 의미」(2018), 「녹문 임성주 예학의 성격과 위상」(2020), 「대빈궁의 연혁과 의례적 변화 양상」(2023)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축이(아뢰기를)) “효손 모가 다음 달 모일에 조고께 공경히 세사를 올리고자 하여 이미 길한 날짜를 얻었으니 감히 아룁니다.”라고 한다. 부복하였다가 일어나, 절하고 일어나고, 절하고 일어나 몸을 편다. 제자리로 돌아간다. (주인 이하는) 국궁하였다가, 절하고 일어나고, 절하고 일어나 몸을 편다. (축이 문을 닫고 나면 주인 이하는 다시 서향하여 서고, 집사자는 문의 서쪽에 동면하여 서되 북쪽을 윗자리로 한다.) 집사자는 훈계를 받는다. (축이 주인의 오른쪽에 서서 집사자에게 명하기를,) “효손 모가 다음 달 모일에 조고께 공경히 세사를 올리고자 하니, 유사는 물품을 준비하고 청소를 하라.”라고 한다.


제사 음식을 나누어 먹는다. 이날, 주인은 제사 음식 나누는 일을 감독하여 사람을 보내 친척과 벗에게 제사 음식을 나누어 주고 한편으로는 제사 음식으로 친속을 대접하며 한편으로는 예생(禮生)을 대접한다. 자제가 예생을 맡았다면 그렇게 하지 않는다. 제사 음식이 부족하면 다른 술과 고기로 보충한다.


제사 음식을 장만한다. 포시에 희생을 잡는다. 주인이 직접 자르는데, 희생의 털과 피를 쟁반 두 개에 담고, 머리, 심장, 간, 폐를 쟁반 하나에 담으며, 발기름과 쑥을 섞어 쟁반 하나에 담는데, 모두 날것으로 한다. 희생의 왼쪽 몸체는 사용하지 않는다. 오른쪽 몸체는 앞다리를 세 덩이로 만들고 등뼈 부위[脊]를 세 조각으로 만들며 갈비뼈 부위[脅]를 세 조각으로 만든다. 뒷다리는 세 덩이로 만드는데 항문 가까이 있는 한 마디는 사용하지 않는다. 모두 열한 부위이다. 밥을 지을 쌀 한 사발[?]은 쟁반 하나에 놓고 채소와 과일은 각각 6가지, 저민 간을 담는 작은 쟁반[小盤] 하나, 저민 고기를 담는 소반 하나를 준비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