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좌절의 시대, 분노와 혐오의 공간

좌절의 시대, 분노와 혐오의 공간

(도시현상학)

황희숙, 심재휘, 최경숙, 김덕삼, 전병권, 박재현 (지은이)
한국문화사
29,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29,000원 -0% 0원
1,450원
27,5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9,000원 -10% 1450원 24,650원 >

책 이미지

좌절의 시대, 분노와 혐오의 공간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좌절의 시대, 분노와 혐오의 공간 (도시현상학)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69191135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3-04-25

책 소개

도시공동체의 현황 진단과 해결책 제시라는 과제를 융합학문적 시각에서 접근해 보고자, 몇 명의 연구자들이 모여 '미래의 도시공동체를 위한 인터싸이언스' 연구팀을 만들었다. 2022년 개최한 제1차 학술대회는 <분노와 혐오의 공동체>라는 주제로 진행되었다. 이 책은 그 연구결과로 만들어진 책이다.

목차

서문 왜 도시공동체를 말하는가? 황희숙

Ⅰ. 도시와 공동체
우울한 도시, 건축가의 도시산책-Homeless의 수도 LA 전병권
부엌이 사라진다-가정 부엌의 변화와 상실 최경숙
재난과 공동체-기후변화의 위기와 대응 전략 황희숙

Ⅱ. 차별과 배제의 장소
공동체의 해체와 유·이민의 삶-이용악의 시 심재휘
헝그리 시티 최경숙
소수민족 공동체의 와해-관광도시 석림(石林) 김덕삼

Ⅲ. 좌절과 혐오의 공간
공동체 실험-프루이트 아이고(Pruitt-Igoe)의 재조명 전병권
좌절의 시대와 시인의 기억-백석의 시 심재휘
코로나 시대와 종교집단에 대한 혐오 박재현
감정 언어와 공동체-혐오를 넘어선 담론공동체의 모색 황희숙
<좌담> 도시현상학적 공동체 진단-전망과 과제

찾아보기
저자소개

저자소개

심재휘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97년 『작가세계』를 통해 등단했다. 시집으로 『적당히 쓸쓸하게 바람 부는』 『그늘』 『중국인 맹인 안마사』 『용서를 배울 만한 시간』 『그래요 그러니까 우리 강릉으로 가요』 『두부와 달걀과 보이저』가 있다. 현대시동인상, 발견문학상, 김종철문학상을 수상했다.
펼치기
황희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진대학교 명예교수다. 은유, 회의론, 인지주의 감정론, 토착 지식, 생태론, 공동선, 공감 등의 주제에 대해 논문을 썼다. 저서 『비트겐슈타인, 두 번 숨다』, 『전문가와 전문지식의 생태학』, 공저 『여성과 철학』, 『처음 읽는 영미 현대철학』, 『인문학의 길찾기』, 『에코테크네 페미니즘』, 『장소 철학 1, 2』, 『좌절의 시대, 분노와 혐오의 공간도시 현상학』, 『통합과 번영의 환상도시 사회학』이 있고, 역서 『신경과학과 마음의 세계』, 『젊은 과학의 전선』, 공역서 『이것이 생물학이다』, 『생물학이 철학을 어떻게 말하는가』, 『현대 자연주의 철학』이 있다.
펼치기
김덕삼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국사회과학원에서 중국철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취득하였다. 현재 대진대학교 교양학부 교수로 재직중이다. 저서로는 『문화의 수용과 창조』(2013), 『변화와 장의 탐구- 중국의 사람, 사회, 문화를 중심으로』(2022), 『養壽怡生:東亞道文化養生的多元視野』(공저, 2022), 『좌절의 시대, 시대, 분노와 혐오의 공간』(공저, 2023), 논문으로 「연결이론의 정립과 활용 방향 초탐」(2024), 「인간과 AI의진화 그리고 연결에 대한 성찰」(2024), 「공동체에서 인간과인공물의 연결에 대한 검토와 제안」(2024), 「ApplyingDaoist Thoughts of Interconnectedness to Disaster Communities: Through the Lenses of Diaspora andPluralism」(2024) 등이 있다.
펼치기
최경숙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대진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영아의 성장과 영양소 섭취 비교,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식생활 평가, 학교급식의 학생배식 도우미 활용 가능성, 청소년 영양상담프로그램 개발, 돌봄교실 건강식생활 교육프로그램 개발 등의 주제에 대해 논문을 써왔다. 공저 『이해하기 쉬운 지역사회영양학』, 『이해하기 쉬운 식생활관리』, 『고급영양학』(대한민국학술원 우수 학술도서, 2023), 『2020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장소 철학 1, 2』, 『좌절의 시대, 분노와 혐오의 공간도시 현상학』, 『통합과 번영의 환상도시 사회학』이 있고, 공역서 『영양판정 7판』 등이 있다.
펼치기
박재현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의료관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의료정책, 의료제도, 디지털헬스, 감염병 관리 시스템, 인문사회의학 등의 주제에 대해 연구를 해왔다. 저서로 최근 코로나로 인한 사회적 현상을 의료제도와 사회, 문화적인 관점에서 분석한 공저 『세계는 왜 한국에 주목하는가 : 한국사회 COVID-19 시민백서』, 미래사회 의료의 발전 방향을 제시한 공저 『4차 산업혁명과 병원의 미래』 등이 있다.
펼치기
전병권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남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대진대학교 건축학전공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건축설계 및 이론 분야의 수업을 진행하고, ‘건축설계연구실’을 플랫폼으로 건축과 도시 환경에 대한 실증적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근현대 건축론과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논문들을 발표하였고, 대한건축학회 논문상을 수상하기도 하였다. 『대안창작문화공동체 展』을 비롯한 전시회 참여, 『#효서ALTERNATIVE HOUSE』등 작품 활동도 함께 병행하고 있다. 공저 『장소 철학 1, 2』, 『좌절의 시대, 분노와 혐오의 공간도시 현상학』, 『통합과 번영의 환상도시 사회학』이 있고, 공역서 『건축 다시 읽기』, 『모여서 살기』, 『창을 이해하는 책』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부엌이 사라진다

-가정 부엌의 변화와 상실

최경숙

1. 부엌

‘부엌’, 단어가 정겹다.

‘부엌’이라는 단어에는 경음의 자음이 있음에도 정겹다. 아마도 부엌에서 이루어지는 일들, 부엌의 본연의 역할인 조리 후에 우리가 기대하는 맛 난 음식과 누군가와 함께 즐기게 되는 식사의 정겨움에 대한 공감과 상상이 되어 그럴 것이다. 전통 부엌은 음식을 조리하고 저장하기도 하며, 난방을 하는 공간이었다. 지역과 계층에 따라서 부르는 명칭이 조금씩 달라서 궁중에서는 수라간(水刺間), 양반들은 반빗간, 경상도나 전라도에서는 정짓간 또는 정지, 충청도에서는 부세라는 말도 쓰였다.

부엌의 영어 키친(kitchen)은 독일계 어근인 코키나(kokina)로부터 파생된 고대 영어 키체네(cycene)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단어는 로마제국 시대에 사용되던 구어 형태의 라틴어인 코치나(cocina)에서 비롯되었다. 라틴어로 부엌은 명사 이외에 동사의 뜻으로 ‘요리하다(coquere)’의 의미를 동시에 가지고 있다.

‘부엌’의 단어적 의미는 일정한 시설을 갖추어 놓고 음식을 만들고 설거지를 하는 등 식사에 관련된 일을 하는 곳(표준국어대사전)이라고 정의되어 있고, 우리가 같은 의미로 자주 사용하는 ‘주방(廚房)’은 음식을 만들거나 차리는 방(표준국어대사전), 주택이나 요식업소 따위에서, 음식을 만들거나 차리는 방(고려대 표준국어대사전) 등으로 설명되고 있다. ‘주방’이라는 명칭은 건축학 분야에서 1970~80년대 가정의 부엌을 전통 부엌과의 건축적 차별성을 강조하면서 쓰였고, 또 1990년대 이후는 ‘시스템 키친’이라는 세련된 호칭을 붙여 주택의 상품적 가치를 포장하는 수단으로 부엌의 이름을 다르게 사용하여 그 당시의 신세대주부들에게 강조해왔다. 부엌가구 제조업자들과 가전제품 제조업자들이 만든 고급스러운 설비와 시설이 부엌에 갖추어지면서 우리는 스스로 ‘부엌’이라는 단어를 자제하게 되었다. 이 당시의 유명 부엌가구업체의 광고이다.

이제 부엌은 거실입니다. 우리의 생활양식이 그렇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온 가족이 함께 대화하고 일하며 즐거움을 나누는 생활공간으로 우리의 부엌은 개방되었습니다.(한샘부엌가구광고, 1979년)

이런 광고 문구와 같이 부엌을 장식성과 가족 공간으로서의 변모를 압축하여 ‘부엌의 거실화’라는 트렌드가 또한 있었다. 그러나 사회가 발전하고 가족공동체의 의식이 변화되면서 부엌의 역할이 변함에 따라 부엌의 거실화를 주도한 부엌가구 업체는 다양한 생활 가구와 용품을 개발하는 것으로 변화하다가 결국 회사를 매각할 정도로 현대의 우리는 부엌의 활용에 대한 구조적 변화가 매우 커진 사회에 살고 있다.

단어의 의미와 친근성으로 볼 때, 가정의 부엌은 ‘부엌’으로 명칭하고, 외식업소의 부엌은 ‘주방’이라는 단어가 더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타인의 가정을 방문하게 되면 그 집의 부엌이 보고 싶다. 그 사람의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을 때 더 그러한 것 같다. 그러나 우리는 부엌을 타인에게 쉽게 보여주거나 타인의 부엌을 편하게 둘러보긴 어렵다. 부엌은 그만큼 자신이나 가족의 속내를 보여주는 느낌이다. 세상에서 가장 편하게 터놓고 지내는 가족의 분위기와 삶에서 기본인 식생활이 어떠한지를 우리는 부엌에서 엿보게 되기 때문이다.

부엌은 가정에서 가장 중요한 공간임에도 불구하고 학문적으로 깊게 연구되고 있지는 않다. 부엌은 통사적으로는 민속학에서, 여성과 부엌의 관계는 여성학의 문제로, 부엌의 편리성은 초창기 가정학 분야에서 조금 다루었으나, 식품영양학에서는 ‘부엌’이라는 단어가 들어간 연구는 90년대 이후 매우 소수로, 그것도 ‘부엌의 설비와 조리기구 실태 및 식사준비와 식생활에 대한 연구’ 정도이다. 부엌이 비교적 많이 연구된 분야는 의외로 건축학 분야로 보이는데, 건축학에서도 주택을 계획할 때 부엌이 중요하다고 말하기는 하나 학문적으로 깊게 연구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다고 자평한다. 최근 부엌이라는 키워드로는 부엌 가구 디자인과 인테리어에 대한 연구가 다수 보고되고 있다.

모든 나라에서 전통사회의 부엌은 가족 공동의 공간이었다. 그러나 사회의 발전에 따라 도시공동체의 변화, 가족공동체의 변화에 따라 부엌은 많은 다양한 모습을 가지며 부엌의 역할과 그에 대한 우리의 기대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해지고 있는 부엌의 양상을 식품영양학적 측면으로 공동체의 변화와 함께 해석해보고자 한다.

2. 옛날 부엌의 요즘 부엌 되기

부엌의 역사는 인류 생존의 역사에 버금간다. 인류의 정주공간은 불자리를 중심으로 시작했으므로 움집에 피웠던 모닥불이 집의 원점이었고 부엌의 시작이었다. 부엌은 한 집안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곳이고 가장 다목적으로 쓰이는 공간이다.

한국 사회에서 지난 100년 동안 많은 변화 속에 부엌의 문화를 임의적으로 일곱 단계로 나누어 설명한다. 그중 다섯 번째 시기가 경제 성장이 궤도에 오르면서 아파트 시대가 열리는 1970년대의 새마을운동을 기점으로 부엌의 개념과 설비가 등장하고, 중산층 아파트를 중심으로 입식 부엌이 정착되었다고 한다. 가정에서의 부엌은 가족의 건강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음식을 준비하고 조리할 뿐만 아니라 보다 위생적이고 능률적으로 되어 있을 때 주부의 에너지 소모를 감소시키고 여유를 가질 수 있게 한다고 강조할 정도로 식생활의 개선에서 우선 고려되었던 것은 부엌의 위생적 개선과 부엌의 시설 개선으로 주부의 부엌 노동 시간을 아껴 교양과 여가시간에 활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였다.

1990년대 논문을 기반으로 부엌과 관련된 식행동을 판단해보면, 우리나라 농어촌 가정에서 식사장소가 안방이 81.7%, 부엌 식당이 15.6%로 나타나, 전통 식사장소인 안방이 거실, 침실, 식사실을 겸하고 있어, 1990년대까지도 부엌이 조리와 식사를 같이 할 수 있는 넉넉한 공간을 가지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1990년대쯤의 가족 외식 횟수는 한 달에 한 번 정도로 외식하거나 아니면 한 달에 한 번도 외식을 하지 않는 경우가 95.0%로 외식 횟수가 극히 적은 편이었고, 주부가 직접 가족의 식사를 담당하고 있는 비율이 89.0%이었다. 그리고 가공식품을 자주 이용하는 경우는 13.2%, 가끔 이용하는 경우는 67.9%로 가공식품의 이용이 증가하기 시작하나 이는 다양한 반조리 상태의 식품과 가공식품의 이용보다는 주식 대용으로 값싸게 이용할 수 있는 라면류 등의 이용이 많았다고 보고하여, 거의 대부분의 식사가 가정에서 이루어졌고 주부에 의해 가족의 식사준비가 이루어졌으며 가공식품의 이용보다는 생식품에서부터 조리가 많았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전통적인 옛날의 부엌은 주부가 식생활관리자가 되어 가정에서 직접, 거의 대부분의 음식을 조리하여 식사를 하며 가족의 건강 관리의 가치를 수행해 왔다고 하겠다.

그러나 『한국의 부엌』(김광언, 2000)에서는 부엌의 변화에 대해 다음과 같이 말한다.

근래에 들어와 서양 문명의 영향으로 우리네 부엌에도 큰 변화가 일었다. 안방 한쪽에 딸려 있던 부엌은 집 한가운데의 거실 옆으로 오면서, 거실을 포함한 집안의 중요한 공간을 모두 아낙이 차지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이곳에는 냉장고, 믹서 (…중략…) 잔뜩 들어앉았고 (…중략…) 그리고 부엌이라는 이름도 이제는 주방으로 바뀌고 말았다.

이와 같이 사회가 발전하면서 부엌은 집의 중심을 차지하였고, 많은 가전제품과 조리도구가 채워지게 되었다. 이는 고소득층의 주택일수록 두드러진 현상이었다. 부엌은 사람의 먹고사는 문제를 관장하는 기능에 충실하게 발달해 왔으며, 부엌의 역사는 공간이 아닌 도구의 역사로 기록되었다. 근대사회의 발전에서 부엌은 주거 안에서도 가장 기능적인 공간으로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렇게 가전제품과 도구가 많아지는 부엌에 대해 김광언(2000)은 이렇게 말한다.

예전에 주부들은 음식을 솜씨로 만들었다. 음식 맛은 손끝에서 난다는 말이 그것이다. (…중략…) 전자설비들이 대신한다. 주부들은 이들을 관리하는 기술만 익히면 그만이다. 음식을 만드는 데에 정성이 끼어들 틈이 없다. (…중략…) 음식을 직접 만드는 주부의 수는 점점 줄고 있다. 그네들은 ‘값이 싸고 손도 들지 않는다’는 이유를 내세워, 밑반찬은 물론이고 나물이나 부침개조차도 사 먹이려 든다. 요즘 어린이들은 부엌냄새가 무엇인지도 모를 뿐 아니라, 그것이 어머니 냄새와 같다는 사실을 꿈에서조차도 눈치채지 못할 것이다.

부엌이 시스템 키친으로 발전하면서 식사 조리에서 가전제품의 도움을 많이 받게 되었으나, 이는 조리 제품을 통한 획일화된 맛을 만들어내게 되고, 섬세한 맛을 만들어내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예를 들면 밥을 대부분 전기밥솥이 하게 되고, 불의 강도를 조절해가며 쌀입자의 호화 정도나 누룽지를 가족의 취향에 맞춰 지어내는 솥밥이나 냄비밥을 하는 경우는 거의 없어졌다.

또한 부엌의 거실화는 도리어 거주자의 불편함을 야기한다는 주장이 있었는데, 1987년 대한주택공사 조사에서 설문 응답자의 대부분이 부엌과 거실을 서로 차단해야 한다고 하면서도 연결해야 한다는 모순을 보였다. 개방된 부엌이 불편하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거실과의 연락관계의 유지가 필요했던 이유는 1980년대 이후 한국의 가족문화가 자녀 교육 중심으로의 변화로 설명하고 있다. 즉 부엌일을 하면서 유아 돌보기, 자녀 놀이 및 학습지도, 가족과의 대화 등 동시에 해야 하는 일이 많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부엌은 여러 단계의 변화를 거치며 요즘 부엌의 구조적인 모습이 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단지 주부가 부엌의 가사노동을 피하려고 해서가 아니라 여성의 사회 진출의 욕구와 사회의 요구, 가족공동체 내 젠더 발전의 균형 등의 인간공동체의 발전의 과정이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러한 부엌의 변화 속에 본연의 식사조리의 업무가 다양하게 변하는 것은 부엌 시설의 발전이나 주부의 사회 진출의 욕구로만 설명하기보다는 식품산업이 발전되고 사회 발전 속도가 빨라지면서 인간이 부엌에 대해 필요로 하는 요구가 바뀌어가고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691967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