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70612353
· 쪽수 : 380쪽
· 출판일 : 2025-03-19
책 소개
목차
○ 인간만이 가진 특성(은 잠깐 동안만 허락될 뿐)
○ 동물심리학의 탄생
○ 동물심리학: 개념의 혁명
○ 동물은 세상을 어떻게 지각할까?
○ 동물의 감정에 대한 고찰
○ 미어캣이 공격한다! 동물의 폭력
○ 돌고래와 놀이 활동
○ 고양이 연구: 보드라운 발 속에 숨긴 발톱
○ 인생 학교: 동물 세계에서의 학습
○ “동물을 존중하는 것, 우리와 다름을 존중하는 것”
○ 개코원숭이는 세상을 어떻게 볼까?
○ 꿀벌의 집단 지성
○ 곤충을 좋아하세요?
○ ‘인류의 사촌’ 영장류의 의사소통이 언어와 비슷한 점은?
○ 유혹하기… 목숨을 내놓는 일
○ 애착: 두려움과 즐거움 사이에 놓인 다리
○ 포유류의 애착
○ 숲, 인간, 침팬지의 복잡한 관계
○ 영장류와 인간: 가깝고도 먼 사이
○ 생물 다양성: 보존하기, 그리고 영감 얻기
○ 인간과 동물의 공진화(共進化): 가축 이야기
○ 동물 매개 치료
○ 견공의 역사: 실험에서 간병까지
○ 우리 개는 날 정말 좋아할까?
○ 신화 속 동물우화
○ 트랜스애니멀리즘을 향하여
○ 동물의 법적 지위
○ 종차별 논쟁
○ 의인화: 좋은 걸까, 나쁜 걸까?
○ 인간이라는 동물: 다른 동물과 구별되는 점은?
주
참고문헌
이 책에 참여한 사람들
리뷰
책속에서
동물이 환경을 어떻게 인식하고 해석하는지, 그리고 환경과 어떤 관계를 맺는지에 대해 연구자들은 수많은 질문을 던진다. 그런 질문들은 동물의 인지 능력을 종별 수준 또는 개체 수준에서 명확히 밝히는 데 도움이 된다.
_ ‘동물심리학: 개념의 혁명’ 중에서
파브르는 『파브르 곤충기』에서 매미의 청각을 실험한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파브르가 매미 옆에서 대포를 쏴 굉음을 냈는데 나무에 붙은 매미는 아무 일도 없다는 듯 계속 노래했다고 한다. 그래서 파브르는 매미가 비록 시끄럽게 울어대지만 정작 자기는 귀먹었거나 적어도 소리에 관심이 없으리라는 결론을 내렸다. 물론 오늘날의 우리는 매미가 귀머거리인 게 아니라 감지할 수 있는 소리의 범위가 매우 제한적임을 잘 알고 있다. 대포가 내는 우레 같은 소리는 주파수가 너무 낮아 매미가 들을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났을 뿐이다.
_ ‘동물은 세상을 어떻게 지각할까?’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