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자기계발 > 정리/심플라이프
· ISBN : 9791171831395
· 쪽수 : 252쪽
· 출판일 : 2025-10-02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좋은 운과 기회를 잡으려면 청소부터 시작하라
1장 집도 마음도 하루 세 번 청소하라 / 왜 청소인가
무엇을 청소할 것인가
청소가 수행이 되는 순간
집안에 들어갈 때 신발을 벗어야 하는 이유
귀가길은 속세를 하나씩 정리하는 시간이다
방은 내 마음 상태를 보여 준다
물건을 버리는 것은 마지막의 마지막에
물건에 두 번째, 세 번째 생명을 주는 법
진짜로 ‘아까운 것’이란 무엇인가
모든 물건은 100명을 거쳐서 온다는 걸 기억하라
“하루 일하지 않으면 하루 먹지 않는다”
어수선한 방에서는 마음도 잡음으로 소란스럽다
모든 사람의 마음 속에 있는 것
자신이 소중한 만큼 공간에 신경 쓸 것
집안에 ‘빈’ 공간이 필요한 이유
있어야 할 곳에 있게 한다
2장 스스로 몸을 움직이는 것부터 시작하라 / 수행 청소법
왜 귀찮다고만 생각하는가
무심히 몸을 움직이면 찾아오는 것
그때그때 치우면 아낄 수 있는 것
청소 도구는 왜 심플할수록 좋은가
손수 만든 도구로 하는 즐거운 청소
집착의 때를 벗기는 법
자신을 다스리면 표정이 달라진다
3장 비록 청소일지라도 계획을 세워라 / 리셋 청소법
집중적으로 방을 리셋하는 기간부터 정하라
계획표를 만들어 순서대로 정리하기
작업 속도를 높이는 ‘버리기 기준’ 세우는 법
물건에 담긴 마음의 깊이를 가늠하라
물건을 정리할 때는 과감한 결단이 필요한 순간
동료가 있으면 청소가 쉬워지는 이유
당신의 청소하는 모습이 가족을 변화시킨다
4장 아침마다 5분만 투자해 청소하라 / 아침 청소법
아침 청소로 하루를 산뜻하게 하라
창문을 활짝 열고 상쾌한 바람을 들이면 바뀌는 것
왜 자신만의 청소 스타일이 중요한가
100일 동안 들이는 청소의 습관
5장 있어야 할 것을 있어야 할 곳에 두라 / 습관 청소법
현관은 자기 얼굴과 같다고 생각하라
“자신의 발밑부터 잘 살펴보라”
손님을 환대하기 위한 공간을 만들어 보자
거실은 가장 쉬기 편한 공간으로
마음을 기댈 수 있는 공간 만들기
하루 한 번 두 손 모으기로 평온한 하루를 만들라
욕실과 화장실에도 부처가 계신다
부엌은 생명의 양식을 만드는 중요한 공간
식기는 가능한 한 단순하게
‘더하기’ 대신 ‘빼기’로 정돈하라
철마다 옷을 분류할 때 함께 정리하라
매일 책상을 정리하면 생기는 일
서류와 파일은 그때그때 정리한다
가방 속 물건들도 분류해서 정리하기
우편물은 그날그날 처리하는 것이 철칙
언제든 자연을 가까이에서 느낄 장소를 만든다
정원 청소는 관찰부터
6장 인생을 바꾸고 싶다면 환경부터 바꿔라 / 풍요로운 삶으로
지금 사는 공간을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
청소로 일상의 진리를 실감하는 법
청소와 깨달음의 상관관계
심플해지면 본래의 자신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좋은 운을 부르는 기운을 만드는 청소
아침 청소로 보름 만에 자세를 바꾸는 법
청소 하나로 욕망에서 벗어나기
충동구매를 할 것 같으면 크게 심호흡한다
정원은 마음을 안정시킨다
자연의 법칙에서 찾는 마음의 풍요
기쁘게 버리는 마음을 키워 나간다
청소를 통해 덕을 쌓는다
아름다운 꽃도 정성을 들여야 피는 것처럼
머리가 아닌 몸을 움직여야 피와 살이 된다
내 행동을 다스리는 것부터 시작하라
깨끗한 공간에서 마음을 리셋하라
매일 아침을 좌선으로 시작하면 바뀌는 것들
좌선을 위한 7단계 방법
마음을 가다듬으면 기회가 다가온다
나가며 ‘이 정도면 할 수 있다’라는 마음가짐으로
리뷰
책속에서

말끔하게 정리된 방에 사는 사람은 마음도 산뜻해서 헛된 생각이나 고민에 잘 휘둘리지 않습니다. 어디에 무엇이 있는지 훤하게 꿰고 있어 물건을 찾느라 이리저리 헤맬 일도 없습니다.
한편, 발 디딜 틈 없이 어수선한 방에 살고 있으면 마음 편히 쉴 수 있는 여유를 좀처럼 갖지 못합니다. 뭐 하나 하려 할 때마다 물건을 치우거나 찾는 일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그래도 아무렇지 않다면 어수선한 상태가 당연해져 있다는 것입니다. 감각이 마비되어 어질러진 상태에 익숙해진 것입니다. 정말 무서운 일이 아닌가요.
타인의 시선으로 자신의 방을 바라봐 주세요. 마음 상태가 고스란히 밖으로 드러나 있다는 생각으로 자신의 방을 바라보세요. 신선한 눈으로 방을 바라보면 무엇이 느껴지나요?
<방은 내 마음 상태를 보여 준다>에서
좌선이 ‘정(靜)’의 수행이라면, 청소는 ‘동(動)’의 수행입니다. 작무 북소리를 신호로 수행승들이 모두 달려 나옵니다. 그리고 일제히 청소를 시작합니다. 청소 시간은 온 힘을 다해 몸을 움직이고 눈앞의 작업에 집중합니다. 잡담할 틈은 없습니다. 잠시라도 정신을 놓으면 고참이라 불리는 수행 선배의 불호령이 떨어집니다.
이러한 동의 시간과 좌선을 하는 정의 시간의 조화가 더없이 좋습니다. 동의 시간인 청소를 할 때는 모두 기합을 넣어 마음을 닦는다는 생각으로 철저히 마지막까지 해냅니다.
시간의 질은 그 시간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따라 정해집니다. 약 15분이라는 시간 동안 대충대충 한 청소와 열심히 마음을 담아 한 청소의 차이는 길게 말할 필요도 없겠지요.
<왜 귀찮다고만 생각하는가>에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