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운동 > 사회운동 일반
· ISBN : 9791185571270
· 쪽수 : 148쪽
· 출판일 : 2022-06-01
책 소개
목차
시민사회운동의 위기?
시민사회운동의 개념과 외연 확장
성찰 : 엘리트주의, 자치력, 정치형 운동, 중간
상황의 극복 : 진영논리, 시민윤리, 공론, 도전
지역, 행정, 훈련, 연계
자율적 정치운동 구축, 자유로운 공론장, 분권과 자치, 민주주의 혁신
거버넌스, 플랫폼, 유연성과 대응성 그리고 연대운동
전환기 중층적·다층적 과제들
건강한 시민사회 정체성
저자소개
책속에서
국내외적으로 인정하는 신뢰도와 영향력을 바탕으로 시민사회 내부의 냉철한 평가가 필요하지 않겠냐는 생각입니다. 이런 생각을 갖게 된 배경에는 시민사회 의제 다수가 국정 과제로 반영되었고, 이행과정에서 의제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에 대한 내부 평가가 없었다는 안타까움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논란의 여지는 있지만, 시민사회 의제 가운데 공수처 설치, 소득주도 성장, 도시재생 등에 대한 세밀한 평가가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시민사회 의제가 제도 정치권에 이식되었다는 것은 지체된 정치를 개혁하고 정치의 정상화를 유도하기 위함인데, 시민사회 의제가 비판의 중심에 서 있다면 이에 대한 냉정한 평가를 놓쳐서는 안 됩니다.
그래서 저 나름의 결론은 그때 당시에 새마을 조직에 몸담고 있던 분들을 포함해서 중산층 이하의 국민들까지 시민사회가 보듬고 함께 갔다면 좀 더 우리 시민사회가 폭이 넓어지고 확장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지금도 늦지 않았고 여전히 길은 많이 있습니다. 새마을 조직에서 봉사해 오신 분들은 그때의 해묵은 앙금들이 여전히 없어지지 않고 남아 있어요. 그래서 이분들은 시민운동을 했던 분들과 얘기를 하지 않으려고 해요. 얘기해 봐야 당할 수가 없으니까 피하려고만 하는 그런 측면이 있습니다. 지금부터라도 이런 부분들이 정상화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최근에는 풀뿌리 단위에서 마을 만들기 운동이 활발하게 펼쳐지고 있고, 주민자치회가 정부가 주도하고 시민사회가 쫓아가는 형태로 전국적으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차제에 그 이전부터 마을 의제를 가지고 주민운동에 참여했던 분들, 새마을 조직에서 열정적으로 순수한 마음으로 일해 온 봉사자들까지 시민사회가 폭넓게 포용하고 그들과 대화하고 함께 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시민사회운동이 워낙 다양하게 존재하고 사실 한 마디로 시민사회운동이라고 표현하는 것도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먼저 하고 얘기를 해야 할 텐데, 아무튼 시민사회운동도 변화를 모색할 때 늘 염두에 두고 고려할 축이랄지 이런 부분의 하나로 이제는 그야말로 ‘민주주의 자체에 대한 고민들’, 그러니까 민주주의 문화, 일상으로서의 민주주의적 생활양식 이런 부분의 발전이라 할지 아니면 체화, 확산이라 할지 하는 부분과 또 민주주의 자체의 진화진보에 대한 문제의식을 가지고 앞으로 변화 발전 과제들도 생각할 필요 있지 않나, 이런 생각이 들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