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95166008
· 쪽수 : 170쪽
· 출판일 : 2023-02-1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
제1장 세계질서의 변화와 미국·중국·러시아 관계: ‘신냉전’과 ‘선택적 협력 시대’ 5
세계화 이후 신냉전 시대가 도래하는가? 8
강대국 이익과 신냉전 13
중·러 관계가 단일한 반미 진영이 될 가능성 14
서로 다른 목표와 물밑 경쟁 17
불안정한 다극 체제 19
미·중·러의 서로 다른 계산법 20
우크라이나 전쟁의 피해자 23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국제질서 24
‘선택적 협력 시대’ 한국의 대외정책 지향점 26
제2장 미국과 세계질서의 변화: 자유주의 질서의 위기와 미국의 딜레마 29
자유주의적 국제질서의 위기 32
민주주의 vs. 독재: 자유 진영의 결집과 신냉전적 공세의 강화 34
다극 질서의 수용: 현실주의적·실용주의적 대안의 모색 37
미·중 전략경쟁과 러시아 변수 39
가치 외교와 동맹 복원 42
생산·기술 동맹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 44
제3장 러시아와 세계질서의 변화: 단극 체제에서 다극 체제로 49
단극 체제의 종말과 다극 체제의 시작 52
다극 체제는 가능한가? 53
낡은 질서의 회복 시도 vs. 새로운 질서의 형성 시도 56
지속적 경제발전의 기반 조성 58
세계질서를 이끌어갈 새로운 국가 그룹 형성 59
탈달러화를 위한 새로운 금융 시스템 개발 61
미국의 군사적 패권에 맞서는 새로운 안보 전략 수행 63
제4장 중국과 세계질서의 변화: 중국몽과 다자주의 국제질서의 실현 67
우크라이나 침공에 대한 중국의 인식 72
우크라이나 침공과 국제질서의 변동 73
미·중 경쟁의 필연성 77
개혁·개방의 지속을 통한 성장동력 확보 78
다자주의 추진을 위한 연합 형성 80
새로운 국제질서를 위한 가치와 비전의 제시 84
제5장 EU와 세계질서의 변화: EU는 세계질서의 변화에서 중심에 설 수 있을까? 87
EU 차원의 안보·방위 역량 구축 필요성과 한계 90
새로운 유럽 안보 질서의 구축과 러시아 문제 93
EU의 전략적 선택과 역할에 대한 관심 증대 95
기회와 위기 앞에 서 있는 EU 100
미국과 EU의 대서양 관계 변화 103
글로벌 에너지 시스템의 변화와 EU의 대응 106
세계화의 위기와 EU의 ‘전략적 자율성’ 강화 109
세계질서의 변화에 대한 EU의 대응 111
제6장 일본과 세계질서의 변화: 고조되는 중국 위협론과 일본의 자위력 강화 115
중국의 위협 확대 118
인도의 부상과 G3의 가능성 121
일본 관·학계의 두 가지 논점 122
대러 외교 재고 123
중국의 위협에 대한 대응 125
일본 자위력과 동맹 강화 127
한·일 안보 협력은 필요한가? 130
제7장 세계질서의 변화와 한반도: 싱낸전 질서의 현실화와 격동하는 한반도 133
진영 간 대리전 양상 136
미국은 왜 전쟁을 유발했나? 137
우크라이나 전쟁이 국제질서에 미칠 영향 139
첫 번째 시나리오: 다극화 추세 속 신냉전 국제질서의 등장 140
두 번째 시나리오(1): 미국 자유주의 패권 전략의 오판과 친러 진영의 동조화 144
두 번째 시나리오(2): 국제질서의 변곡점으로서 초지역주의 연대 147
세 번째 시나리오: 우크라이나 전쟁이 대만해협의 위기로 전화? 155
네 번째 시나리오: 우크라이나 전쟁과 한반도 157
변화하는 세계질서와 한국의 대안 외교 모색 160
맺음말 163
저자 소개 1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