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교육학 > 교육 일반
· ISBN : 9791186430781
· 쪽수 : 272쪽
· 출판일 : 2018-09-20
책 소개
목차
추천사/ 8
머리말 …………………………………………………………………… 4
프롤로그 ………………………………………………………………… 8
「나의 교육 신조」 독해
제1장 교육이란 무엇인가 …………………………………… 20
제2장 제2장 학교란 무엇인가 ………………………………………… 76
제3장 제3장 교육의 내용 ………………………………………… 122
제4장 제4장 교육방법의 성격 …………………………………… 157
제5장 제5장 학교와 사회진보 …………………………………… 189
에필로그 ……………………………………………………………… 235
참고문헌 ……………………………………………………………… 241
부록(원문) ……………………………………………………………… 250
찾아보기 ……………………………………………………………… 268
저자소개
책속에서
‘교육’을 의미하는 문자적 의미는 무엇일까? 서양에서 교육을 의미하 는 페다고지(pedagogy)의 어원은 파이데이아(paideia)로 그리스어 파이 스(pais, 어린이)와 에우오(euo, 함께 있다)가 합해져 ‘어린이와 함께 있는’ 말이다. 이것이 발전하여 ‘어린이를 양육하다’, ‘어린이를 지도하다’라는 ‘교육’의 뜻으로 사용되었다. 동양에서 교육(敎育)의 문자적 의미를 보면, 교(敎)는 ‘효(爻)+자(子)+복(攴)’으로 이루어진다. ‘효(爻)’는 인간의 교제 와 같은 관계형성의 어울림의 모습을 나타내고 ‘자(子)’는 어린 아동이 우 주의 상황, 세계상을 접촉하면서 느끼는 만남의 체계로 이해할 수 있다. 그리고 ‘복(攴)’은 스승이 깨우침을 주는 관계망으로 해석할 수 있어, ‘교 (敎)’라는 글자에는 ‘세계-학습자-교수자’의 상호관계성이 드러난다. 또한 육(育)은 ‘엄마 뱃속에서 길러져 아이를 출산하다’는 의미가 포함되어 있 는데, 『설문해자』에서는 “자녀를 길러 훌륭하게 만들다”라는 뜻으로 풀이 되었다(신창호, 2005: 326).
■ 아동의 본능과 능력: 이 말의 의미는 『민주주의와 교육』(9장)에서 듀 이가 루소의 교육목적관을 비판하는 부분에서 잘 드러난다. 듀이에 의하 면, 루소가 생각하는 인간의 진정한 목적은 타고난 능력과 성향[자연]을 추구하는 일이고, 생득적 활동의 자연적 발달이 모든 학습의 표준과 규범 이 되는데 있다. 루소의 주장은 신체 기관의 구조와 활동이 일체의 교육에 ‘조건’을 부여한다는 점에서는 옳다.
■ 감각과 행위의 분리: ‘경험으로부터 배운다!’ 이 의미는 우리가 사물을 대하는 행동과 그 행동이 가져 오는 결과 사이의 상호관계, 즉, 인과 관계 를 짓는 일이다. 무엇을 한다는 것은 일종의 시도가 된다. 세계란 어떤 것 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세계에 대한 실험(experiment)이 된다. 그리고 ‘겪 는다는 것(undergoing)’은 ‘교육(instruction)’, 즉 사물 사이의 관계를 발견 하는 일이 된다. 불행하게도 학교는 이러한 사실을 너무도 빈번하게 무시 하고 있다. 학교에서 아동[학생]들은 어떤 경험을 ‘겪는 일’도 없이 단지 지 식을 수동적으로 획득하는 방관자로 간주된다. 이들의 정신[마음]은 지적 능력의 직접적 에너지에 의해 가르쳐지는 지식을 흡수하는 것으로 인식되 어, 신체적 활동 기관으로부터 분리되어 있다. 정신과 육체를 구분하는 이 원론은 학교에서 다양한 교육적 해악의 원인으로 작용한다(김성수, 1989). 듀이는 인간의 경험을 지적 경험, 정서적 경험, 실제적 경험과 같이 분 명하게 구분하는 것을 원하지 않았다. 경험은 정서적, 지적, 실제적인 것 으로 분리시킬 수 없고, 어느 한 경험이 다른 경험보다 우위에 점하거나 낮은 수준에 있다고 할 수 없다. 하나의 경험은 유기체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과 관련하여 유기체의 내부에서 생긴 통일체이며, 유기체는 의미의 차원에서 미적 향유를 누린다(천정미·오은혜,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