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윤리학/도덕철학
· ISBN : 9791187036562
· 쪽수 : 238쪽
· 출판일 : 2018-06-15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9
서문 11
제1장 부모의 책임을 묻는 일본의 특수성 17
정체를 알 수 없는 ‘세상’이라는 것의 힘 27
엔치 후미코의 ≪식탁이 없는 집≫이 그린 두 가지 투쟁 35
제2장 인간의 공격성을 인식하는 것 39
정신분석을 단순하게 육아나 교육에 응용해서는 안 된다 44
인간의 ‘공격성’은 아무리 평화적으로 양육해도 사라지지 않는다 50
제3장 자유는 결코 ‘자연’으로부터는 나오지 않는다 55
인간을 강제하는 구조에 대한 인식 58
‘자유로워지라’는 의무와 자유 62
제4장 자연적‧사회적 인과성을 괄호에 넣다 69
자유라는 관점에서 도덕성을 보다 75
원인에 대한 철저한 인식이라는 책임짐의 방식 82
제5장 세계시민적으로 사고하는 것이야말로 ‘퍼블릭’한 것이다 85
‘사적’인 것과 ‘공적’인 것의 칸트적 전도 91
다른 ‘공통감각’을 가진 타자와의 합의 93
제6장 종교는 윤리적일 때만 긍정된다 99
세계종교는 자유의지를 부정한다 105
오십 보와 백 보의 차이가 가진 절대성 108
제7장 행복주의(공리주의)에는 ‘자유’가 없다 119
환경문제는 행복주의로 해결되지 않는다 122
‘죽은 자를 두려워하라’는 말의 의미 129
제8장 책임의 네 가지 구별과 근본적 형이상성 135
칸트적 이념의 실현으로서 국제법 139
전쟁책임에 대한 ‘철학자’의 기만 144
제9장 전쟁에 대한 천황의 형사적 책임 151
도쿄재판에서 천황의 전쟁책임은 왜 추궁되지 않았는가 154
천황제라는 ‘구조’와 천황의 전쟁책임 160
제10장 비전향 공산당원의 ‘정치적 책임’ 163
마루야마 마사오의 공산당 비판 170
전시 중의 전향-비전향을 현실인식의 문제로 사고하다 175
제11장 죽은 타자와 우리의 관계 183
‘역사의 재검토’는 불가피하다 187
제12장 태어나지 않은 타자에 대한 윤리적 의무 191
자본과 국가에 대한 저항으로서의 ‘가능한 코뮤니즘’ 195
후기 201
헤이본샤 라이브러리판 후기 203
참고 문헌 207
옮긴이 후기 209
리뷰
책속에서
“도덕이라는 말은 보통 선악의 문제로 생각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선악을 결정하는 것은 공동체의 규범입니다. 그것에 반대하여 선을 쾌락(행복)의 실현으로 보는 관점이 있습니다. 오늘날 영미계 윤리학에서는 이것이 지배적입니다. 도덕성이 공동체의 규범에서 유래한다는 생각과 행복주의(공리주의). 칸트는 그 모두를 비판하려고 했습니다. 그가 생각하기에 보편적인 도덕성의 문제란 자유인가 아닌가에 있었습니다. 자유라는 말은 일반적으로 이야기되는 것과 다릅니다. 자유란 다른 원인 없이 순수하게 자발적이며 자율적이라는 말입니다. 만약 공동체의 규범을 따른다면, 그것은 타율적인 것이지 자유가 아닙니다.”
“우리가 순수하게 자발적이라는 의미에서 자율적일 수 있는가 하면, 사실 그것은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자유롭게 선택했다고 생각하는 것도 사실은 의식하지 않은 여러 원인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입니다. 즉 그것은 자율적이지 않고 타율적입니다. 예를 들어 ‘자유로운 사회’라고 불리는 곳에서 인간이 자유롭게 행동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도 실제로는 다양한 교육과 선전 등을 통해 스며든 욕망을 채우고 있을 따름입니다. 자유롭게 생각한다고 해도 결국 이미 알려진 패턴을 모방하고 있을 뿐입니다. 정말로 자유로운 행위나 자유로운 주체가 존재할까요. 일단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다고 이야기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어떤 원인에 의해 규정되지 않는 행위나 주체는 존재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에티카란 윤리라는 말인데, 자유가 없다면 윤리가 성립할까요. 자유가 없다면 선한 것도 악한 것도 선택이 아니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스피노자가 자유의지를 부정한 것은 윤리를 부정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그 반대입니다. 사람들은 선인은 자신의 의지 덕분이고 악인은 그런 의지가 약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또 기독교인은 선인이고 이교도는 악인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스피노자는 그런 것은 자유의지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고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