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촛불 이후 한반도의 평화와 안보 (대한민국의 외교 안보환경 진단 및 새로운 정책방향 모색)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내외 군사사정
· ISBN : 9791187297079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7-06-30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국방/군사학 > 국내외 군사사정
· ISBN : 9791187297079
· 쪽수 : 192쪽
· 출판일 : 2017-06-30
책 소개
우리나라가 국정농단에 이은 헌정중단과 한반도 외교안보 환경의 급격한 악화라는 복합위기를 겪는 와중에, 한반도 평화와 안보의 길을 놓치지 않도록 외교안보 분야의 전문가들이 노심초사하며 토론한 결과를 모은 것이다.
목차
프롤로그
1_북핵 실태와 비핵화 전략
2_북한의 현황과 전망: 경제문제를 중심으로
3_트럼프의 미국: 한미관계와 동북아 정세 전망
4_중미 세력 경쟁 심화의 배경: 중국의 부상과 미국의 쇠퇴
5_재기하는 일본과 한일관계
6_러시아 대외전략의 이해: 유라시아 전략을 중심으로
7_국제정세 변화와 우리의 대응방향
8_미중 패권경쟁과 한반도, 우리는 돌고래가 될 것인가
저자소개
책속에서
북한의 개혁은 북한 주민들이 동력을 만들고 북한 당국이 그것을 수용하는 과정으로 진행되고 있다. 북한 당국이 앞서서 끌고 가는 게 아니라 북한 주민들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을 당국이 수용하는 형태이다.
미국발로 동맹에 대한 변화 요구가 나온 것은 우리에게 상당히 좋은 신호다. 한국발로 이런 요구가 나오기도 힘들거니와 잘못하면 종북과 반미로 매도되기 십상인데, 미국발로 출발하면 한미관계를 신화적 맹목관계가 아닌 비즈니스적 합목적 관계로 바꿀 기회가 된다.
북방외교를 전략적으로 추진했던 노태우 정부는 정해 놓은 외교 목표를 지향하면서 외교환경 변화나 돌발적 사태마저도 기회로 만드는 노력을 했다. 그처럼 최근 서해에서의중국 어선 문제도 보다 전랙적 시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
추천도서
분야의 베스트셀러 >
분야의 신간도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