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일간
|
주간
|
월간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

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

(자폐는 어떻게 질병에서 축복이 되었나)

존 돈반, 캐런 저커 (지은이), 강병철 (옮긴이)
꿈꿀자유
4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6,000원 -10% 0원
2,000원
34,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알라딘 판매자 배송 34개 23,680원 >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30,000원 -10% 1500원 25,500원 >

책 이미지

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 (자폐는 어떻게 질병에서 축복이 되었나)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사회학 > 사회학 일반
· ISBN : 9791187313441
· 쪽수 : 864쪽
· 출판일 : 2021-06-01

책 소개

2017년 퓰리처 상 논픽션 부문 파이널리스트. 2016년 월스트리트저널 10대 논픽션. 2016년 워싱턴포스트 주목할 만한 논픽션.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 및 편집자의 선택. 자폐증이라는 수수께끼의 역사, 과학, 그리고 깊은 감동의 휴먼드라마.

목차

서문
1부 최초의 자폐아 1930~1960년대
1장 도널드
2장 사회악
3장 첫 번째 환자
4장 야생 소년과 성스러운 바보들
5장 사랑과 보호
6장 어떤 천재

2부 비난 게임 1960~1980년대
7장 냉장고 엄마
8장 죄수 15209
9장 카너의 잘못일까?
10장 이를 악물고
11장 엄마들, 연대하다
12장 지각 변동
13장 월요일 오후 집에서

3부 수용시설의 종말 1970~1990년대
14장 "세상의 무관심이란 벽 뒤에서"
15장 교육받을 권리
16장 버스에 올라타기
17장 최초로 바다를 보다

4부 행동, 분석되다 1950~1990년대
18장 행동주의자
19 장 "소리지르고, 때리고, 사랑하기"
20장 혐오자극을 혐오한다
21 장 "반(反) 베텔하임파"
22장 47퍼센트
23 나를 봐
24장 법정에서 교실로

5부 런던에서 제기한 의문 1960년대~1990년대
25장 중요한 질문들
26장 누구를 셀 것인가?
27장 단어에 질서가 없다면
28장 쌍둥이를 찾아라
29장 경이로운 발견들

6부 진단을 재정의하다 1970년대~1990년대
30장 자폐 스펙트럼
31장 오스트리아 의사
32장 서명

7부 꿈과 한계 1980년대~1990년대
33장 언어라는 꿈
34장 내면에 갇힌 아이
35장 자폐증을 정의하라
36장 과학을 지원하라
37장 마법사

8부 자폐증, 유명해지다 1980년대~1990년대
38장 자폐증, 수면 위로 떠오르다
39장 사회적 비상사태

9부 "유행병" 1990년대~2010년대
40장 백신 공포
41장 오티즘 스피크스
42장 추악한 진실
43장 거대한 사기

10부 현재
44장 당사자의 목소리
45장 신경다양성
46장 행복한 사람

후기
자폐증 연표

저자소개

존 돈반 (지은이)    정보 더보기
ABC 뉴스 통신원이자 인터넷 토론 프로그램 인텔리전스 스퀘어드(Intelligence Squared U.S. Debates)의 호스트 겸 진행자. ABC 방송 <나이트라인> 앵커맨으로 잘 알려져 있다. 백악관 수석 특파원을 비롯해 런던, 모스크바, 예루살렘, 요르단의 암만(Amman)에서 오랫동안 특파원으로 일했다. 세 번의 에미상과 해외통신원클럽상(Overseas Press Club Award)을 수상했다. 자서전적 스토리텔링을 통해 다양한 사람의 목소리를 발굴하고 그들을 연결하는 공동체를 지향하는 스토리 디스트릭트(Story District)에서 라이브 스토리텔러로도 활동하고 있다. 의사이자 의대 교수인 아내 레니트 미쇼리(Ranit Mishori)를 만나면서 자폐증이 가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미쇼리는 심한 자폐증을 겪는 오빠와 함께 이스라엘에서 자랐다. 현재 두 자녀와 함께 워싱턴 D.C.에서 산다(Twitter: @johndonvan).
펼치기
캐런 저커 (지은이)    정보 더보기
미 국내외의 다양한 주제를 보도해온 저널리스트이자 TV 프로듀서. ABC 방송의 <월드뉴스>와 <나이트라인> 프로듀서로 피터 제닝스(Peter Jennings), 찰리 깁슨, 다이앤 소여(Diane Sawyer)와 함께 일했으며, 경제정상회의, 미 대선, 사회적 트렌드, 올림픽 방송 등을 제작했다. 에미상 후보로 지명되었으며, ABC의 9/11 특집방송으로 텔레비전 분야에서 가장 큰 영예인 피바디(Peabody)상과 알프레드 듀퐁(Alfred L. DuPont)상을 수상했다. 큰 아들인 미키가 자폐증 진단을 받은 후 자폐증의 실상을 널리 알리는 쪽으로 보도 방향을 새롭게 설정했다. NBC 스포츠 방송의 선임 프로듀서인 남편 존 맥기네스(John McGuinness)와의 사이에 세 자녀를 두었으며 현재 뉴저지에서 산다(Twitter: @caren_zucker). 2000년 이후 돈반과 주커는 한 팀으로 자폐증에 관한 이야기를 전해왔다. ABC 방송에서 그들은 선구적인 시리즈를 제작했다. 전적으로 자폐인과 가족의 삶을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춘 사상최초의 정규 특집방송 <자폐의 메아리(Echoes of Autism)>였다. 2010년에 《애틀랜틱》에 발표한 기사 "최초의 자폐아(Autism's First Child)"는 전미 잡지 기사상(National Magazine Award) 최종 후보에 올랐으며, 후에 단행본으로 출간된 《2011년 최고의 잡지 기사(Best Magazine Writing of 2011)》에 수록되었다. 주커는 PBS 방송의 <뉴스아워>에 방송된 연속 기획물 <자폐증의 현재(Autism Now)>를 제작했다. 개인적으로 자폐를 밀접하게 경험한 저널리스트로서 두 사람은 자폐인의 이야기를 공감하는 바탕 위에서 진솔하게 전달함으로써 사회가 자폐인을 포용하고 지원하도록 노력하고 있다.
펼치기
강병철 (옮긴이)    정보 더보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번역가, 도서출판 꿈꿀자유·서울의학서적 대표. 《툭하면 아픈 아이, 흔들리지 않고 키우기》 《이토록 불편한 바이러스》 《성소수자》(공저) 등을 썼고, 《자폐의 거의 모든 역사》(한국출판문화상 번역 부문 수상) 《인수공통 모든 전염병의 열쇠》(롯데출판문화대상 번역 부문 수상) 《조류독감이 온다》 《우리는 왜 죽는가》 《패턴 시커》 《면역》 《자폐 완벽 지침서》 《암 치료의 혁신, 면역항암제가 온다》 《사랑하는 사람이 정신질환을 앓고 있을 때》 《현대의학의 거의 모든 역사》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펼치기

책속에서

아이는 미소를 지으며, 판에 박은 동작으로 손가락을 허공에서 교차시키며 돌아다녔다. 머리를 좌우로 크게 흔들면서 항상 똑같은 세 가지 음정을 속삭이거나 허밍으로 반복했다. 돌릴 수 있는 것이라면 무엇이든 돌리면서 크게 기뻐했다. 자꾸 물건을 바닥에 던지기도 했는데 그때 나는 소리를 즐기는 것 같았다. 구슬이나 막대기나 놀이용 블록을 색깔에 따라 분류했다. 일을 마칠 때마다 요란하게 소리를 지르며 제자리에서 몇 번이고 뛰어올랐다.

기록으로 볼 때 분명 의료진은 아이의 행동에 크게 놀라며 혼란스러워했다. 진단명 칸에 물음표를 찍은 후 몇 가지 추측을 덧붙였다. “? 헬러병(Heller’s Disease). 조현병.” 다른 곳은 모두 공란이다.


주 의회에 보고서를 보낸 하우는 역시 조소의 대상이 되었다. 풍차를 향해 돌진하는 돈키호테 같은 이상주의자란 비아냥도 들었다. 하지만 그는 중요한 대목에서 승리를 거두었다. 주 의원들이 2,500달러의 예산을 배정하여 조사에 포함된 어린이 열 명을 가르치는 실험적 학교를 세우고, 운영을 그에게 맡겼던 것이다. 3년 뒤 도저히 교육이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어린이들은 한 명도 빠짐없이 괄목할 만한 향상을 보여주었다. 하우는 짜릿한 흥분을 느꼈다. 그의 보고서는 우리 시대에 와서 더욱 중요해진 무언가를 명시적으로 드러내지는 않았지만, 적어도 그 시대에 그의 야망을 충족시키는 데는 충분했던 셈이다. 사실 그는 볼티모어의 한 정신과 의사가 진료실에서 자폐라는 현상을 “발견”한 것보다 90년 먼저 자폐의 다양한 특징들을 목격하고 기록으로 남겼던 것이다.


베텔하임은 부드럽고 가슴 뭉클한 어조로 자폐증이 실제로 어린이에게 어떤 의미인지 설명하기 시작했다. 그것은 절망이었다.
“살아남으려면 자신이 누군가에게 너무나도 소중한 존재라는 것을 느껴야만 합니다.”
캐빗이 말을 끊으며 끼어들었다. “누군가 자신을 중요한 존재로 여겨야 한다는 거군요.”
바로 그렇습니다. 베텔하임은 동의했다. “이렇듯 극심한 장애를 겪는 어린이의 경우에게는 아무도 신경을 쓰지 않을 뿐 아니라, 차라리 죽는 편이 훨씬 낫겠다는 일종의 소망이 생겨납니다.” 다음날 아침 미국 전역에서 자폐 어린이의 엄마들은 전날 밤 텔레비전을 본 사람들의 눈길이 전과 다르다는 것을 느꼈을 것이다. 의사들, 특수교사들, 심리학부 대학원생들, 시부모들, 이웃들… 모든 사람이 똑같은 말을 들었던 것이다. 아이에게 자폐가 있다면 그것은 엄마가 자식이 죽기를 바랐기 때문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873134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