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각국정치사정/정치사 > 중국
· ISBN : 9791188990580
· 쪽수 : 548쪽
· 출판일 : 2021-01-25
책 소개
목차
한국어판 서문
서문
제1장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시작
1. 금융위기의 발발
2. 협력의 배 출항
제2장 미래에 대한 동경
1. 동아시아공동체의 꿈
2. 동아시아 지역정체성
제3장 동아시아자유무역지대로 가는 길
1. 동아시아자유무역지대 구상
2. 상이한 목표와 이익
3. 위기 속에서의 희망
제4장 통화금융협력의 실천
1. 통화금융협력의 전개
2. 미래 발전전망
제5장 동북아시아 지역협력에 대한 탐색
1. 동북아시아 지역협력을 위한 노력
2. 한중일 협력을 중심으로
제6장 아태지역 협력프로세스
1. 아태지역 경제사슬 구조
2. 역내협력의 추진
3.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의 생명력
제7장 아세안에 대한 인식과 이해
1. 아세안 방식의 특징
2. 아세안을 중심으로
3. 아세안공동체 건설
제8장 일본의 역할과 의도
1. 아시아 금융위기와 일본
2. 동아시아 지역협력에 대한 일본의 참여와 추진
제9장 미국의 참여와 역할
1. 미국의 지역전략과 추진
2. 미국과 동아시아
제10장 중국-아세안 자유무역지대 건설
1. ‘이심전심’
2. 협력 혁신에 대한 모색
3. 자유무역지대를 초월한 탐색
제11장 지역관념의 회귀와 질서의 구축
1. 역사적 고찰
2. 주변관계와 질서의 수립
3. 운명공동체 의식
옮긴이의 말
책속에서
제1장 동아시아 지역협력의 시작
동아시아가 하나의 지역으로서 다시 세상에 모습을 드러낸 것은 주로 경제적 상호연관성과 이익에서 비롯되었다. 동아시아는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지역단위로 성장했으며 이것이 역내협력의 동력이 되었는데, 아태지역 협력에 비해서는 다소 늦었다. 사실 동아시아 역내협력 움직임이 처음 태동한 것은 동남아 지역이었다. 일찍이 1960년대 동남아 지역에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이하 아세안)’이 결성되었다.
제2장 미래에 대한 동경
동아시아 협력 진척은 아직도 여러 방식으로 추진되고 있다. 특히 자유무역지대 건설과 금융협력에 대한 열망은 여전히 강력하다. 그러나 전반과정에서 보면 앞으로 나아갈수록 더 많은 문제가 나타나서 어려움도 더욱 커지게 될 것이다. 그중에서 중국의 국력 성장, 일본의 정치우경화, 아세안 내부정세의 불안, 미국의 소극적인 방해 등의 내외 환경변화는 ‘동아시아의 역내협력은 어디로 가야 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해 사람들의 반성과 우려를 동시에 자아내고 있다.
제3장 동아시아자유무역지대로 가는 길
2008년 국제금융위기 발생 후 동아시아 지역의 경제는 구조적인 조정기에 접어들었다. 그중에서 역내 경제발전의 잠재력을 높여 발전의 내부조건과 환경을 개선하고 균형적이면서도 지속가능한 발전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조정의 주요방향이었다. EAFTA의 건설이 이러한 조정에 새로운 환경을 창조할 것임이 틀림없다. 어쩌면 이러한 위기와 조정도 동아시아자유무역지대의 건설을 촉진하는 내부 동력이라 할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