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89333560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3-02-25
책 소개
목차
들어가는 글
1장 공해의 탄생과 시민의 대응
도시와 공해
토지와 물의 오염
사회주의와 공해
북한의 상황
제3세계의 공해
한국의 환경 문제
환경운동의 등장
녹색당의 목표와 정책
한국의 생태주의와 환경운동
2장 시민의 역사와 생태시민의 대두
시민혁명의 주역, 노동자
시민의 상업적 기원
시민으로서의 농민
권리와 시민성
한국 시민의 역사
3장 생태시민성 이론
스틴베르겐의 이론
돕슨의 이론
드라이젝의 이론
즈베이르스의 이론
4장 집사로서의 생태시민
스튜어드십의 재조명
옆에서 돕는 집사
양육하는 집사
공경과 사랑
5장 동료로서의 생태시민
파트너십의 등가성
동료적인 토론 방식
협력하고 연대하는 동료
동물권과 에코크라시
6장 참여자로서의 생태시민
참여와 시민성
자연에 참여하는 생태시민
먹고 먹힌다는 것
조화와 통합의 생태시민
나오는 글
참고문헌
저자소개
책속에서
(……) 기후변화나 사회 위기에 대한 국가와 기업의 태도를 볼 때, 우리는 이들의 조치를 바라보고 있을 수만은 없다. 정부, 의회 등 국가는 관료제의 경직성과 기업의 로비 등으로 진정한 친환경 정책을 실행하기 어렵다. 기업은 단기 이익에 급급하여 장기적이고 윤리적인 정책을 지지할 리 만무하다. 따라서 희망은 시민사회와 시민에 있다. 시민은 상호협력과 연대를 통해 국가와 기업을 견제하고 생태위기를 막는 노력을 해야 한다. 이것이 생태시민성이 요구되는 이유다.
⏤ 들어가는 글
1960년대에 전 세계적으로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인식되고 이것에 대한 해결 방안이 모색되면서 생태학의 원리들을 인간 삶에 적용해야 한다는 움직임으로서 생태주의가 탄생했다. 이렇듯 환경운동의 이념인 생태주의는 자연과학으로서의 생태학에 그 뿌리를 둔다. 미국과 서유럽을 중심으로 한 생태주의 환경관은 20세기 들어 급속히 발전한 생물학에 힘입은 것이기도 하다.
⏤ 1장 공해의 탄생과 시민의 대응
따라서 서로 다투거나 일방의 권력 독점으로 귀결되는 홉스적 의미에서의 권리는 자연의 특성과 거리가 멀다. 생물을 포함하여 자연의 모든 개체는 연결되어 있고 서로 돕는다. 권리보다는 통의에 가까운 ‘rights’ 개념, 즉 ‘통하는 정의’는, 공유지의 공평한 사용을 위해 규칙을 마련해야 하는 것처럼, 개체의 이익 확보가 아닌 ‘관계의 규범’으로 이해해야 한다. 해변에서 5킬로그램의 조개를 채취할 수 있는 ‘권리’는 동시에 5킬로그램밖에 채취할 수 없다는 ‘제약’이기도 하다.
⏤ 2장 시민의 역사와 생태시민의 대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