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어서 오십시오 : 한국의 다국어 경관

어서 오십시오 : 한국의 다국어 경관

(리듬총서 2)

최요한, 이상현, 정재완, 전가경 (글), 최요한 (사진), 전가경 (기획), 이상현 (인포그래픽)
사월의눈
5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50,000원 -0% 0원
0원
50,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어서 오십시오 : 한국의 다국어 경관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어서 오십시오 : 한국의 다국어 경관 (리듬총서 2)
· 분류 : 국내도서 > 예술/대중문화 > 사진 > 사진집
· ISBN : 9791189478261
· 쪽수 : 328쪽
· 출판일 : 2024-11-02

책 소개

사진가 최요한의 [어서 오십시오]는 사월의눈 두 번째 리듬총서이자 첫 번째 리듬총서 [대구는 거대한 못이었다]를 잇는 출판사의 자체 기획물이다. 사월의눈은 2022년 5월, 최요한에게 한국의 다국어 경관 기록을 의뢰했다.

목차

- 사진 (최요한)
- 한국의 다국어 거리 글자 (글.정재완) 221쪽
- 보이지 않는 것을 기록하기 (글&인포그래픽. 이상현) 289쪽
- 대화 (최요한 x 전가경) 313쪽

저자소개

정재완 (지은이)    정보 더보기
홍익대학교 시각디자인과를 졸업한 후 정병규출판디자인과 민음사출판그룹에서 북 디자이너로 일했다. 거리 글자에 관심을 가지고 2008년부터 개인전 〈글자풍경〉을 네 차례 열었으며, 2018년에는 전시 〈정재완 북 디자인전〉, 2019년 지역 시각 문화를 기반으로 한 〈(북성로) 글자풍경〉 전시를 열었다. 함께 지은 책으로 『세계의 북 디자이너 10』 『전집 디자인』 『아파트 글자』 『디자인된 문제들』 등이 있으며 디자인한 책 『산업의 자연사』가 1회 한솔 인스퍼 어워드에서 대상을 수상했고, 『작업의 방식』이 2022년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에 선정되었다. 현재 영남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이자 AGI 회원, 한국디자인사학회 회원,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위원으로 활동하며 사진책 출판사 ‘사월의눈’ 북 디자인을 도맡고 있다.
펼치기
정재완의 다른 책 >
전가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그래픽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고 글을 쓰고 강의하며, 대구에서 ‘사월의눈’이라는 이름으로 사진책을 기획하고 만든다. 박사 논문 『잡지 『뿌리깊은 나무』 연구: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를 중심으로』(2017)를 발표했고, 공백으로 놓여 있는 한국 그래픽 디자인 역사를 출판 기획 및 저술을 통해 채우는 데 관심이 있다. 『세계의 아트디렉터 10』 『세계의 북 디자이너 10』(공저) 및 인터뷰집 『펼친 면의 대화』 등을 썼고, 한국 시각디자인 역사의 단면을 담은 『한국의 90년대 전시 도록 xyz』와 『정병규 사진 책』,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를 통해 지역성을 탐구하는 ‘리듬총서’를 기획했다. 2025년 전주국제영화제 《100 필름 100 포스터》 전시의 총감독을 맡았다.
펼치기
최요한 (사진)    정보 더보기
1989년생.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스물세 번의 이사를 다니며 현재 서울 정착을 시도 중인 사진가. 수많은 이사 탓에 여러 장소를 떠도는 것에 익숙한 사람이 되어버렸고, 낯선 곳을 친숙하게 느끼기도 한다. 순례자들이 길을 걷는 이유를 작성한 종이와 그들의 초상사진 그리고 길의 정서를 엮어 만든 《Nonlinear Frances〉 연작을 2017년에 시작했으며, BAH ?Nonlinear Portugues) 2 ?Nonlinear Primitivo> 작업으로 이어가고 있다. 더불어 분단의 그림자 같은 상황을 긁어모으는 〈Side California〉 작업을 진행 중이다. 깊은 낮과 밝은 밤)(OS, 서울, 2020). 《Nonlinear)(공간 극, 서울, 2018) 등의 개인전과 《길 위의 파롤>(해든뮤지엄, 강화도, 2024), 《JRNL Show》(Fotofilmic, 보 아일랜드, 밴쿠버, 2024> 등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뮤지엄한미 24/25 MH Talent Portfolio(뷰리뷰 부문)와 2023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사전프로그램인 포트쫄리오 리뷰에 선정되었다.
펼치기
이상현 (인포그래픽)    정보 더보기
대구광역시 도시디자인과 주무관이자 독립 도시연구가. 수도권 밖 지방 도시 연구에 관심을 갖고 ‘Urban DNA of Daegu’, ‘중소도시포럼’ 등 독립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강연, 출판, sns 등을 통해 다양한 도시 분석과 시각화 작업을 선보인다. IG @korean_midsize_cities
펼치기
최요한 (사진)    정보 더보기
1989년생. 강원도 강릉에서 태어나 스물세 번의 이사를 다니며 현재 서울 정착을 시도 중인 사진가. 수많은 이사 탓에 여러 장소를 떠도는 것에 익숙한 사람이 되어버렸고, 낯선 곳을 친숙하게 느끼기도 한다. 순례자들이 길을 걷는 이유를 작성한 종이와 그들의 초상사진 그리고 길의 정서를 엮어 만든 《Nonlinear Frances〉 연작을 2017년에 시작했으며, BAH ?Nonlinear Portugues) 2 ?Nonlinear Primitivo> 작업으로 이어가고 있다. 더불어 분단의 그림자 같은 상황을 긁어모으는 〈Side California〉 작업을 진행 중이다. 깊은 낮과 밝은 밤)(OS, 서울, 2020). 《Nonlinear)(공간 극, 서울, 2018) 등의 개인전과 《길 위의 파롤>(해든뮤지엄, 강화도, 2024), 《JRNL Show》(Fotofilmic, 보 아일랜드, 밴쿠버, 2024> 등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뮤지엄한미 24/25 MH Talent Portfolio(뷰리뷰 부문)와 2023 서울시립 사진미술관 사전프로그램인 포트쫄리오 리뷰에 선정되었다.
펼치기
전가경 (지은이)    정보 더보기
그래픽 디자인에 대해 연구하고 글을 쓰고 강의하며, 대구에서 ‘사월의눈’이라는 이름으로 사진책을 기획하고 만든다. 박사 논문 『잡지 『뿌리깊은 나무』 연구: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를 중심으로』(2017)를 발표했고, 공백으로 놓여 있는 한국 그래픽 디자인 역사를 출판 기획 및 저술을 통해 채우는 데 관심이 있다. 『세계의 아트디렉터 10』 『세계의 북 디자이너 10』(공저) 및 인터뷰집 『펼친 면의 대화』 등을 썼고, 한국 시각디자인 역사의 단면을 담은 『한국의 90년대 전시 도록 xyz』와 『정병규 사진 책』, 이미지와 텍스트의 관계를 통해 지역성을 탐구하는 ‘리듬총서’를 기획했다. 2025년 전주국제영화제 《100 필름 100 포스터》 전시의 총감독을 맡았다.
펼치기
이상현 (인포그래픽)    정보 더보기
대구광역시 도시디자인과 주무관이자 독립 도시연구가. 수도권 밖 지방 도시 연구에 관심을 갖고 ‘Urban DNA of Daegu’, ‘중소도시포럼’ 등 독립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강연, 출판, sns 등을 통해 다양한 도시 분석과 시각화 작업을 선보인다. IG @korean_midsize_cities
펼치기

책속에서

“언젠가 명동 거리를 걸으며 마주친 글자는 자본의 증표였다. 관광객이 줄을 서고 중국어와 일본어 중심으로 형성된 언어 경관은 돈을 쓰는 사람들을 위한 친절함이었다. 요사이 대구 교동 거리는 일본의 어느 유흥가를 옮겨놓은 듯한 풍경이었다. 가나 문자와 한자로 쓰여있는 간판과 메뉴판은 읽기 어렵다. 하지만 그런 분위기를 소비하는 것 자체가 힙하기 때문에 읽을 수 있느냐 없느냐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우리가 어떤 문화를 소비의 대상으로 간주할 때, 글자는 소비를 위한 장식품이다. 하지만 최요한 사진가가 본 글자는 삶과 노동의 글자다. 중국, 중앙아시아, 동남아시아, 서남아시아, 아프리카 등에서 이주해 온 사람들이 모여서 커뮤니티를 만들고 그들이 자생적으로 형성한 언어 경관을 연출하고 있다. 의정부, 동두천, 평택의 미군기지 주변의 언어 경관도 부대의 흥망성쇠를 그대로 담고 있다. 거리 글자는 우리 일상 깊숙이 침투해 있다. 거리 글자는 건물 외벽이나 표지판 등에 기생하지만 어느 순간부터는 스스로 증식한다. 우리의 삶이 우연과 측흥의 연속이듯 삶을 반영하고 있는 거리 글자는 끊임없이 덧대어진다.”
정재완, 「한국의 다국어 거리 글자」 중


“이 미지의 영역을 탐구하고 한국 내 이민자들과 그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이해하는 데에는 여러 제약이 따른다. 먼저, 이들에 대한 지리적 데이터와 통계를 구하기가 쉽지 않고, 설령 존재한다고 해도 데이터의 선명도가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더불어 이민자들의 특성상 여러 지역을 옮겨 다니거나 비공식적으로 체류하는 미등록 이민자 수도 많아 정량적 데이터로 이들의 삶을 추적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그래서 '생활 흔적'이야말로 이들의 영역과 삶을 살펴볼 수 있는 유용한 대안적 수단이 될 수 있다. 이슬람 사원과 같은 건축물처럼 이주민의 유입으로 도시 풍경을 극적으로 바뀌는 사례가 종종 있지만 이는 극히 드물며, 대부분은 기존 생태계 안에서 부분적 변화를 통해 드러나기 마련이다. 그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 도시 경관 부속물로서의 간판을 포함한 거리글자이다. 외국 이민자들이 다수 모이는 장소에서는 상호 간의 상업적 활동이 이뤄지기 마련인데, 이는 자연스럽게 이들이 사용하는 언어로 구성된 간판이나 거리 글자 제작으로 이어진다. 고로, 특정 언어의 밀집도는 해당 언어 사용자, 곧 이민자들의 밀도를 방증하는가 하면, 이민자 커뮤니티의 특성을 직간접적으로 나타낸다.
과거에는 미군 부대 주변이나 차이나타운의 영어와 중국어 간판들이 도시 속 유일한 외국어 경관이었으나, 최근에는 러시아어, 태국어, 베트남어 등 그간 상대적으로 생소한 언어가 중심인 지역 커뮤니티가 늘어나는 추세다. 이와 같은 변화는 이제 대부분의 한국 도시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되었다. 김해나 안산의 사례에서도 볼 수 있듯이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에 따른 노동력 부족으로 오히려 소도시에서는 한국인들이 보이지 않는 존재로 탈바꿈하고 있다.
우리는 함께하지만, 서로를 보고 있지 못하는 것은 아닐까.”
이상현, 「보이지 않는 것을 기록하기」 중


“전가경: 책 제목을 상의하는 과정에서 '어서 오십시오'라는 제목을 제안했다. 좋은 아이디어라고 생각했는데, 어떻게 해당 제목을 제안했는가.
최요한: 몇몇 장소에서 '어서 오십시오' 라는 커다란 간판을 볼 수 있었다. 특히, 판짱특구로 지정된 장소에서 그랬다. 길 초입에 무지개다리 같은 것을 만들어 글자로 크게 표시해 놓았다. 마치 이 지역을 보고 싶으면, 이 글자 밀을 통과해야 한다는 식의 메시지로 읽혔다. 그 외에도 상점 초입에 카펫이나 시트지로 만날 수 있어서 나에겐 인상적인 문구였다. 해당 표현이 의미 있다고 생각했다. 이주 노동자를 환영 혹은 경계의 대상으로 볼 것인가에 대한 인식을 함축적으로 담았다고 보았다. 무엇보다 외국인들이 밀집된 곳을 관광특구라고 지정해 놓고서 '어서 오십시오' 표기하는 게 아이러니했다.
전가경: 좋은 아이디어였다. 이번에 촬영한 사진의 또 다른 특징으로 밤 풍경을 들 수 있다. 왜 밤을 배경으로 찍었는가.
최요한: 그간 완결된 작업에는 항상 인물이 있어야 한다는 강박이 있었다. 그래서 초반에 의정부, 동두천, 평택, 대림동, 동대문 등을 탐색할 때 일부러 낮에 방문하여 인물을 촬영했다. 그러던 어느 날, 대림동에서 그곳 지역민들이 전동드릴과 수공구를 갖고서 퇴근하는 장면을 보았다. 얼핏 들으니, 중국어로 말하는 것 같았다. 그들을 따라가며 촬영을 요청해 볼 생각이었지만 이미 날이 조금씩 어두워지고 있어서 포기했고, 대신 그들이 인근 맛있는 식당으로 가지는 않을까 하는 막연한 생각에 그들을 뒤따라 걸었다. 아니나 다를까. 그들은 식당으로 들어갔고, 나도 따라 들어갔다. 이후 식사를 하고 나왔더니 낮과 전혀 다른 풍경을 보게 되었다. 관광객들이 사라진 거리엔 동네 주민들이 길을 걷고 있었다. 무엇보다 날이 어두워진 만큼 글자들이 도드라져 보였다. 간판들이 스스로 빛을 내뿜고 있더라. 그 풍경이 크게 와닿게 되면서 밤 풍경을 찍게 되었다. 밤 풍경만 촬영한 건 이번 프로젝트가 처음이다.”
최요한 & 전가경, 「대화」 중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