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89652920
· 쪽수 : 208쪽
· 출판일 : 2021-11-30
목차
서문 | 중국인이자 무슬림이었던 정화
chapter 1
1405년, 정화와 그의 함대
1 서쪽으로 떠난 환관 정화의 항해
2 정화는 누구인가?
3 정화 원정대가 들른 동남아시아의 나라들
chapter 2
동남아시아에 전하는 정화의 신화와 사당
1 인도네시아의 삼푸콩 사원
2 말레이시아의 불교 사원 쳉훈텡
chapter 3
인도네시아의 화인 커뮤니티와 종교적 동화 전략
1 화인의 이주 역사와 식민 시기의 분할통치 전략
2 수하르토 정권의 신질서와 동화 전략
3 개혁공간 - 중국적인 것과 이슬람의 부상
chapter 4
정화 모스크와 이슬람 전파에 대한 담론
1 모스크로 부활한 정화
2 자바에 이슬람을 전파한 아홉 명의 성인
chapter 5
21세기 인도네시아의 정화 모스크
1 건립 배경과 건축양식
2 실행양상 - 혼합과 융합을 통한 동화
맺는말 | 과거와 현재, 역사와 종교의 융합으로서 정화 모스크
주
참고문헌
사진 크레딧
책속에서
현대의 우리는 정화를 막대한 선단을 이끌고 인도양을 거쳐 아프리카까지 가는 항로를 개척한 인물 정도로만 기억한다. 오로지 해양사에서 정화의 위상만이 주 관심 대상이었다. 그가 남긴 유산, 정화라는 존재가 동남아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는 별로 생각해보지 않았고, 관심도 없었다. 어떤 책이나 다큐멘터리를 보더라도 정화는 그저 함대의 지휘자로 세계의 바다를 호령했던 인물이며, 왜 항해가 추진되었는가에만 초점이 맞춰졌다. 게다가 정화가 중국인이므로 중국 종교인 불교ㆍ도교와 관련이 있을 거라고 막연하게 생각해왔다. 그가 실제로는 무슬림이었고, 동남아시아나 아라비아의 무슬림 사회와 연계성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은 전혀 하지 못했다. 더구나 정화는 석가모니 같은 성인도 아니고, 공자 같은 사상가도 아니었으므로 종교적으로 신성시될 만한 여지가 적었다. 그럼에도 그는 앞의 인물들과 더불어 동남아시아에서 신이 되었다. 왜 그는 신으로 숭배되는가? 정화라는 인물은 과연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화인들의 정치적ㆍ사회적 정체성 확립에 어떻게 기여해왔는가? _「서문 | 중국인이자 무슬림이었던 정화」
먼저 1장에서는 정화의 함대가 어떤 식으로 구성되었으며 그들은 왜 중국을 떠나 머나먼 항해의 길을 나섰는가, 그들이 항해 중에 들른 동남아의 기항지들은 어디였고 거기서 어떤 일을 했는가, 현지인과는 어떤 식으로 관계를 맺었는가를 담았다. 다음으로 2장에서는 정화의 함대가다녀간 이후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 남은 것은 무엇인가를 종교의 관점에서 살폈다. 이 두 나라 특정 지역에 세워진 사원에서 정화를 어떻게 모시고 어떤 이야기들이 전해지는가를 알아보았다. 3장은 현대 인도네시아의 화인 커뮤니티와 이슬람을 매개로 한 그들의 동화 전략을 다루었다. 20세기독립 이후 인도네시아 정부의 정책 및 토착인과 화인 간의 불화, 그 해결을 위한 화인들의 노력이 정화 모스크를 통해 종교적으로 어떻게 표출되었는가를 검토했다. 4장에서는 정화 원정대의 모스크 건립과 이슬람 전파 담론을 둘러싸고 벌어진 학계의 논쟁에 대해 살펴보고, 그 역사적 근거를 분석했다. 5장에서는 정화 모스크의 건축양식과 종교 실행양상을 설명하여, 정화의 이슬람 전파를 지지하는 인도네시아 무슬림 화인들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정치적ㆍ사회적 목표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_「서문 | 중국인이자 무슬림이었던 정화」
‘정화’라는 이름은 환관이 되어 영락제에게 하사받은 이름이고, 원래 이름은 마삼보馬三保이다. 독실한 이슬람교도였던 그의 아버지 마합지馬哈只는 이슬람의 창시자인 무함마드의 후손이라는 의미에서 ‘마’라는 성을 썼고, ‘합지’라는 이름도 이슬람교의 성지 메카 Mecca를 순례한 사람에게 붙이는 존칭인 하지haji를 한문으로 음역한 것이다. 얼마나 독실한 무슬림인지를 알려주는 이름이다. _「chapter 1 1405년, 정화와 그의 함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