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심리학/정신분석학 > 교양 심리학
· ISBN : 9791189736095
· 쪽수 : 416쪽
· 출판일 : 2019-08-22
책 소개
목차
역자 서문
서문
감사의 글
머리말
1부: 수퍼바이지의 관점
1장. ‘충분히 좋은’ 수퍼비전과 우리 시대의 도전
2장. 성찰적 프랙티스의 5가지 수용력
3장. 동기와 핵심 신념 성찰하기
4장. 유능한 수퍼바이지 되기
2부: 수퍼바이저 되기 그리고 수퍼비전 프로세스
5장. 수퍼바이저 되기
6장. 지도, 모델 그리고 수퍼비전 프로세스
7장. 수퍼비전 일곱 눈 모델
8장. 차이 다루기 - 초문화 수퍼비전
9장. 윤리와 도전 직면하기 그리고 복잡한 수퍼비전 상황
10장. 수퍼바이저 훈련과 개발
3부: 그룹, 팀, 동료 - 그룹 수퍼비전
11장. 그룹과 동료 - 그룹 수퍼비전
12장. 팀과 팀 개발 수퍼비전하기
4부: 조직적 접근법
13장. 네트워크 수퍼비전하기
14장. 학습 문화를 향하여
15장. 조직의 수퍼비전 정책과 프랙티스 개발하기
16장. 결론: 열린 생각과 마음으로 일하기
용어사전
참고문헌
색인
발간사
저자소개
책속에서
수퍼비전은 프랙티셔너가 수퍼바이저의 도움으로 고객, 고객 관계의 일부인 프랙티셔너 자신, 그리고 전체 체계의 맥락을 돌보는 공동의 노력이다. 이를 통해 작업 수준을 높이고 고객 관계를 변화시키며, 그들 자신과 프랙티스를 지속해서 개발하고 전문성을 확대한다.
좋은 수퍼바이지가 되기 위해서는 수퍼비전 받을 때만이 아니라 일하는 내내 성찰적 프랙티셔너가 되기 위한 수용력을 개발해야 한다. 이것은 고객과 만남 전후에 성찰하는 자세와 한 걸음 물러나 내부적으로 고객, 자신, 둘의 관계와 더 넓은 체계적 맥락과의 연관성에서 발생하는 패턴에 주목하는 한편, 당면한 관계에서 양쪽 모두에게 있을 수 있는 도전적인 만남 하나를 성찰하는 능력을 점진적으로 개발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퍼바이저의 임무는 수퍼바이지가 자신과 자기 능력을 존중할 뿐만 아니라, 자신을 검토하고 도전하기에 충분히 안전하고 개방적이라고 느낄 때라는 전제하에, 자신이 받아들여지고, 존중받고, 이해받는다고 느끼도록 돕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