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아시아사 > 동아시아/극동아시아사
· ISBN : 9791189946098
· 쪽수 : 270쪽
· 출판일 : 2019-05-20
책 소개
목차
서 문 해상 실크로드와 문명의 교류: 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
제1장 해상 실크로드와 문명의 교차로 동남아시아
I. 해상 실크로드의 의미
II. 해상 실크로드의 시작과 전개
1. 바닷길의 시작
2. 고대의 바닷길
III. 바다의 실크로드, 조공과 교역의 사이에서
1. 바닷길의 확산과 조공 형태의 무역
2. 바닷길, 도자기의 길
IV. 바닷길의 전 지구로의 확산
1. 정화의 원정과 대항해시대
2. 향신료 무역과 페라나칸
제2장 바닷길의 확장이 동북아시아에 미친 파급
I. 머리말
II. 남월국(南越國)의 흥망과 영남칠군(嶺南七郡)의 설치
1. 남월국의 성립
2. 영남칠군의 설치가 초래한 변화
III. 동오(東吳)와 푸난(扶南)의 교섭이 초래한 변화
1. 동오와 푸난의 교섭
2. 동남아시아산 유리구슬의 본격적 유입
IV. 4세기 이후 동남아시아와 동북아시아의 교섭
1. 임읍과 동북아시아
2. 푸난과 백제, 왜(倭)
3. 낭아수(狼牙脩, 랑카수카)와 해남제국(海南諸國)의 세계
V. 나머지 말
제3장 해상 실크로드와 불교 물질문화의 전래: 동남아와 동북아
I. 바닷길과 불교문화
II. ‘물질’로서의 사리 숭배와 사리의 이동
III. 향과 향목의 유입
IV. 전단서상(栴檀瑞像)과 불교 조각
V. 동남아시아 물품의 유통과 물질문화 연구의 가능성
제4장 바다로 전해진 태국 불교 미술과 용품의 혁신 아 마라 스리수챗
I. 머리말
II. 코끼리와 코끼리 상아
III. 도자기
IV. 청동 제품
V. 결론
제5장 신안해저선 발견 흑유자의 고고학적 고찰
I. 머리말
II. 흑유자의 기종별 유형분류 및 특징
1. 완
2. 호
3. 소호
4. 병
5. 소병
III. 흑유자의 생산지와 생산시기
1. 푸젠성(福建省)
2. 장시성(江西省)
3. 허베이성(河北省)
IV. 맺음말
제6장 도 스 끼 끼에우: 17세기-20세기 초에 베트남 황실을 위해 중국에서 주문 제작된 자기
I. 도 스 끼 끼에우의 개요
1. 블루 드 후에의 학술적 의미
2. 도 스 맨 람 후에의 학술적 의미
3. 이 외의 학술적 용어
4. 도 스 끼 끼에우의 학술적 의미
II. 북부 지역의 레-찐 씨 정권의 도 스 끼 끼에우
1. 북부 지역의 도 스 끼 끼에우의 개요
2. 레-찐 씨 정권의 도 스 끼 끼에우
III. 중· 남부 응우옌 씨 정권의 도 스 끼 끼에우
IV. 떠이 선 왕조의 도 스 끼 끼에우
1. 떠이 선 왕조의 도 스 끼 끼에우로 간주되는 자기
2. 떠이 선 왕조 시기에 도 스 끼 끼에우를 주문한 사람은 누구인가?
V. 응우옌 왕조 시기의 도 스 끼 끼에우
1. 응우옌 왕조 시기의 사절단과 도 스 끼 끼에우의 관계
2. 응우옌 왕조의 도 스 끼 끼에우
VI. 황제의 자기, 귀족이 사용한 자기 그리고 평민이 사용한 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