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큰글자도서] 미술사학자와 읽는 삼국유사](/img_thumb2/9791190429276.jpg)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역사 > 한국고대~고려시대 > 한국고대사 > 한국고대사 일반
· ISBN : 9791190429276
· 쪽수 : 256쪽
· 출판일 : 2022-11-30
책 소개
목차
서문 『삼국유사』의 기적을 미술사적으로 읽기 5
황룡사 황룡의 실제 - 왜 궁궐 건축이 사찰건축으로 바뀌었을까? 12
가섭불연좌석의 정체 - 신라 불국토 만들기의 초석 22
신라에 불교를 전한 아도 - 설화에서 역사 추려내기 32
이차돈과 흥륜사 - 이차돈은 왜 순교해야만 했을까? 42
무왕과 미륵사 - 왕권의 기초가 된 익산의 황금 50
황룡사 장륙상 제작지 - 문잉림은 어디인가? 60
흥륜사의 재구성 - 『삼국유사』에 흩어진 퍼즐 맞추기 70
자장 율사가 빚어낸 진주, 진신사리 80
사천왕사와 문두루비법 - 풍랑은 어떻게 일어났을까? 90
원효의 뼈로 만든 진영상 - 설총의 뜻일까 원효의 바람일까? 102
의상 대사, 신라를 불국토로 만들다(上) 112
의상 대사, 신라를 불국토로 만들다(下) 122
진정 스님과 비로사 - 의상 스님의 후계자 132
전후소장사리, 우리나라 진신사리의 근원을 찾다 140
어산불영, 만어산에 드리워진 부처님의 그림자 150
요동성에 세워진 아소카왕 불탑 - 진신사리 신앙의 확산 160
익명성의 신화화 - 천· 지· 인이 빚어낸 불상 168
삼소관음중생사, 기적을 일으키는 불상 178
황복사와 신문왕 - 신문왕릉은 어디인가? 188
유가종의 태현과 화엄종의 법해 - 신라 고승의 마법 대결 198
깨어진 석굴암 천장돌 - 신라 스토리텔링 기법의 모범 208
백월산의 미륵과 아미타 - 미완을 완결시킨 설화 218
포천산의 다섯 비구 - 대중이 목격한 합동 성불의 기적 226
진표 스님의 점찰법회 - 종교와 혹세무민의 차이 236
단군 신화 - 전설과 역사의 변증법 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