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책읽기
· ISBN : 9791190812030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0-06-20
책 소개
목차
머리말
1장. 질문하는 독서를 위한 마음가짐(김민영)
집중력을 높이는 독서 습관
고정관념을 깨는 소소한 질문 만들기
질문은 깊게 읽기를 위한 징검다리다
질문은 사고의 폭을 넓히는 마중물이다
책 읽고 질문하며 자기 입장 찾기
2장. 홀로 책 읽는 이를 위한 질문 독서(권선영)
책에 표시하며 질문 찾기
질문하는 습관 기르기
성찰과 사유를 위한 질문 만들기
나와 타인을 깊이 이해하는 질문 만들기
사회를 보는 다양한 관점의 질문 만들기
생각을 정리하는 질문 글쓰기
3장. 독서 모임을 위한 논제 독서(윤석윤)
논제를 위한 질문 탐색하기
논제 글쓰기와 논제문 만들기
분야별 도서의 논제 발제하기
논리적 사고력을 기르는 논제 글쓰기
논제 발제 시 흔히 하는 질문
독서 토론에 임하는 자세
4장. 독서 교육을 위한 논제 독서(장정윤)
책과 친해지는 질문하기
눈높이에 맞는 질문하기
비판적 사고력을 키워주는 질문하기
창의성을 키워주는 질문하기
치유와 해소의 질문 공동체
부록. 독서 토론 논제 만들기
어린이
청소년
성인(소설)
성인(비소설)
리뷰
책속에서
책 한 권은 커다란 물음표다. 다수가 “그렇다”고 한 생각에 관해 “전 아닌데요”라고 표현한 작가만의 깃발이다. 마음에 드는 구절을 만난 독자는 ‘나도 이렇게 생각하는데’, ‘내 생각이 쓰여 있네’라며 밑줄을 치거나 페이지 귀퉁이를 접는다. 또는 마음에 고이 새긴다. 작가의 세계에 빠져들며 몰입한다. 거대한 물음표의 세계로 걸어 들어가는 일, 바로 독서다. 자신이 궁금해했던 것, 관심사, 고민을 자세히 들여다보고 재발견하는 자기 탐색의 과정인 셈이다.
질문이 떠오르지 않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다. 그중 가장 큰 이유는 책에서 주요하게 다루고 있는 주제에 대한 정보 부족이다. ‘모르는 분야였는데 이 책을 계기로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이 많았다’, ‘공감 가는 이야기가 많아 푹 빠져서 읽었다’, ‘어려워서 힘들게 겨우 읽었다’라는 독후 소감이 이를 말해준다. 깊은 생각을 필요로 하는 발언보다는 책이 건네는 이야기를 받아들이기만 하거나 그나마도 버거움을 토로하는 경우다. 만약 여기에 속한다면 질문 찾는 연습을 하면서 독서량을 늘려야 한다. 아는 것이 많아야 보이는 것이 있듯, 질문이 자라날 배양토 같은 배경지식이 필요하다.
논제를 만들기 위해서는 책을 한 번 읽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또 읽어야 한다. 거듭 정독하라는 말이 아니다. 첫 번째 읽을 때 정독한다. 중요하게 여겨지는 부분에 밑줄을 긋거나 포스트잇을 붙이고 메모한다. 두 번째 읽기부터는 밑줄 친 부분이나 포스트잇을 붙인 부분만 읽으면서 질문을 만든다. 먼저 발췌문을 필사하고, 발췌문을 바탕으로 논제문을 만든다. 논제 발제는 이런 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