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책읽기
· ISBN : 9791190853279
· 쪽수 : 412쪽
· 출판일 : 2022-06-17
책 소개
목차
책을 엮으며
2016년
1882년 상트페테르부르크 부근 휴양도시…
호텔 편지지, 휴지 조각, 담뱃갑, 냅킨 등등…
팬덤은 광적인 사람을 뜻하는 fanatic의…
미국의 지배 문화와 대결했던 반문화와…
대중문화 유산에 대한 광범하고 치밀한…
이병주는 1961년 5ㆍ16쿠데타 직후…
한(恨)은 한국 문학 내지 한국 문화를 운운할 때…
2014년 8월 9일이었다. 미주리주 퍼거슨에서…
D그룹의 부장 김병준 씨의 별명은 ‘이거 차리려면…
비닐 레코드 LP를 찾는 사람들에 대한…
광화문에서 열린 제5차 촛불집회 무대…
2017년
우리가 가곡이라고 부르는 장르는…
줄곧 철학과 대중문화 사이를 횡단하며…
믿고 볼 만한 니체의 『비극의 탄생』 번역본이…
클래식과 재즈로 개종을 한 이후…
1960년생 전천후 작가인 지은이는…
미국의 역사가 이민의 역사이듯 디트로이트 역시…
한국 대중음악에 일본이 끼친 영향은…
클래식 음악계와 애호가들 사이에서…
한국은 1987년 대통령 직접 선거를 치름으로써…
이어령은 『오늘을 사는 세대에게』라는…
1982년 5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지만…
본격적인 종교개혁 시작일은…
2018년
우리의 친구이자 금세기 최고의…
프랑스에서 1778년에 출간된…
음악은 어느 예술보다 자율적인 듯 보이지만…
여러모로 흥미롭기에 카스트라토를…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음악은 한 번도…
우리는 누군가의 팬이다…
차일디시 감비노의 ‘디스 이즈 어메리카’…
지난 50년간 비평가들의 극찬을…
스웨덴 한림원이 노벨문학상을 밥 딜런에게…
마르그리트 뒤라스가 마흔넷, 그러니까…
실용주의는 미국의 고유한 철학…
슈베르트는 빌헬름 뮐러의 25편으로 된…
2019년
이 노래들은 같은 장르도 아니고…
쇼스타코비치와 레닌그라드 전투…
영어사전은 tube를 관, 터널, 텔레비전, 빨대로…
소설가이자 작사가, 평론가, 번역가…
1986년에 초간된 『축음기, 영화, 타자기』는…
우크라이나의 키이우에 살던 가예츠키 가족은…
무라카미 하루키의 소설을 몇 권이라도…
세계적으로 프로그레시브 록의 전성기는…
시선을 흡입하는 대형 화보가…
조금 우스꽝스럽게 묘사하면…
다시 섞다, 믹싱하여 고친 녹음, 믹싱하여 고치다…
『광기와 소외의 음악』은 핑크 플로이드 팬이라면…
부인 이수자 여사가 쓴…
2020년
미국의 소설가 조너선 프랜즌은 래퍼를…
청각장애는 베토벤 생애를 논할 때…
한국에서 거의 처음 시도되는 가사 비평…
지은이와 그의 직업에 관한 호기심 때문에…
코로나 사태는 정치ㆍ경제ㆍ사회 등…
지은이가 각기 다르고 소재도 다른…
맬컴 리틀은 1925년 네브래스카주…
송욱의 시구로 유명한 회사 같은 사회라는…
한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 무엇이 됐든 간에…
1913년 일본 효고현 다카라즈카시에서…
음악팬에게 특별한 행복을 안겨주는…
랩을 시와 비교하는 논의는 흔하다…
2021년
니콜라스 페그의 『더 컴플리트 데이비드 보위』…
모든 종말은 극적으로 오지 않는다…
미국 작가 가운데 단편소설을 가장 많이…
주인공의 이름 ‘레코스케’는…
읽다가 도중에 책을 덮었다…
1940년대 비밥 운동이 시작되면서…
‘예술가곡’은 시와 음악의 결합으로…
문학평론 가운데서도 시 평론이 특기인…
20대 독신 직장 여성의 성공과 사랑을…
너 아직도 피아노 치니?…
1284년, 현 독일 중북부 니더작센주에…
아일랜드의 독립운동가이자 언론인이었던…
미래가 점점 다가올수록 우리에게…
2022년
학자들은 본래성이라는 기준으로…
한때 영국과 미국에서는 ‘쿨’이라는…
무려 24인의 저자가 케이팝의 역사를…
나라마다 국가(國歌)가 있다…
+
책 제목으로 찾아보기
찾아보기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믿고 볼 만한 니체의 『비극의 탄생』 번역본이 꽤 여럿 있다. 이진우, 박찬국, 김남우 등이 번역한 작업들이 그렇다. 이 목록에 김출곤과 박술이 공동번역한 다 출판사의 책을 더하고 싶다.
젊은 사람들에게 트로트의 진가를 왜 모르냐고 다그치는 노인처럼, 아무데서나 힙합을 들이대지 말라. 음악사회학적 진실은 ‘내가 듣는 음악은, 너한테도 좋은 거야!’라고 말하지 않는다. 그런 보편 음악은 없다.
팝팬 가운데 모타운에서 나온 음반이나 모타운 소속 가수를 꼽아보라면 머뭇거리며 말하지 못할 사람도 많다. 하지만 미러클스ㆍ포 탑스ㆍ템테이션스ㆍ다이애나 로스 앤 더 슈프림스ㆍ마빈 게이ㆍ스티비 원더ㆍ잭슨 파이브ㆍ마이클 잭슨ㆍ코모도어스ㆍ스모키 로빈슨 등 대부분의 미국 흑인 대중 뮤지션들이 모타운에서 한솥밥을 먹었다면 누구나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