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과학 > 뇌과학 > 뇌과학 일반
· ISBN : 9791190955669
· 쪽수 : 308쪽
· 출판일 : 2022-10-10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1. 사회적 뇌
2. 싱글의 뇌
3. 일을 향한 열정
4. 러브 머신
5. 거울에 비친 사랑
6. 뇌가 오른쪽으로 스와이프할 때
7. 우리에게는 언제나 파리가 있지
8. 함께하면 더 나아진다
9. 아플 때나 건강할 때나
10. 시간의 시험
11. 난파
12. 유령을 사랑하는 법
에필로그
감사의 말
참고문헌
리뷰
책속에서
디랙의 이야기는 사랑의 힘이 어떻게 인간의 잠재력을 깨닫게 할 수 있는지 보여 준다. 그 힘을 이해하는 것—사랑이 왜 진화 과정에서 살아남았고 어떤 기능을 하는지, 또 어떻게 우리 몸을 강하게 하고 마음을 열게 하는지—이 이 책의 주제이다.
_ 프롤로그
‘사랑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는 ‘불완전하다’는 게 줄 수 있는 가장 후한 점수일 것이다. 어떤 현상에 접근함에 있어 과학자라면 마치 외과 수술을 하듯 정확해야 한다. 사랑을 연구하려면 사랑을 해부해 파헤쳐야 한다. 사랑이 무엇인 가에 관한 것뿐 아니라 무엇이 사랑이 아닌가에 대해서도 정의해야 한다. 사랑은 감정인가, 인식인가? 사랑은 원초적 충동인가, 아니면 사회적으로 구축된 것인가? 사랑의 기쁨은 자연적인 도취감인가, 위험한 마약인가? 앞으로 짚어 가겠지만, 답은 ‘둘 다’이기도 하고 ‘모두 답이 아니’기도 하다. 이렇듯 딱 잘라 말할 수 없는 상황에서 제대로 된 과학자라면 그냥 계속해서 양파 껍질을 벗겨 내 볼 수밖에 없다.
_ 프롤로그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 일은 시간 낭비나 인생의 부수적인 요소가 아니라 말 그대로 인간이 현재의 생물종으로 존재하는 이유이다. 건강한 인간관계가 건강한 뇌를 형성하며, 나중에 다시 살펴보겠지만 인지 기능 저하를 예방하고 창의력을 북돋우며 사고의 속도를 높여 준다. 그리고 가장 강력한 사회활동이자 뇌의 잠재적 인지능력을 완성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아마도 사랑하는 것이다.
_ 사회적 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