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한국 정부와 언론이 말하지 않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

한국 정부와 언론이 말하지 않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

니시오카 쓰토무 (지은이), 이우연 (옮긴이)
미디어워치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한국 정부와 언론이 말하지 않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한국 정부와 언론이 말하지 않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정치학/외교학/행정학 > 외교정책/외교학
· ISBN : 9791195915880
· 쪽수 : 376쪽
· 출판일 : 2021-04-15

책 소개

현재 한·일 최대 현안으로서의 근현대사 문제인 위안부 문제를 둘러싼 니시오카 교수의 30년 진실 투쟁기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6

머리말 9

제1부 위안부 문제란 무엇인가?

제1장_ 종군위안부 소송의 주역 17
‘노예사냥’이라는 날조 증언 / 옛 종군위안부의 일본 규탄 / 원래 일본인이 한국에서 제소한 재판
/ 「분게이슌주文藝春秋」에서 진상규명의 도화선에 불을 붙이다

제2장_‘강제연행’은 있었는가? 39
유족회 간부와 아사히 기자의 연계 / 날조된 ‘일본군의 범죄’ 이미지 / 아사히신문의 악질적이고 중대한 날조
/ 소학교 학생까지 위안부로? / 재판을 부추긴 일본인 / 전쟁피해의 개인보상은 한국의 내정문제 / 왜 일본
정부는 움직이지 않는 것인가 / 1992년 필자 논문에 포함한 네 개의 제언

제3장_위안부 문제의 거짓말 75
제주도의 “위안부 사냥”이라는 엉터리 / 관동군關東軍에 의한 위안부 ‘2만 명 징모徵募’ / 있었던 것은
군수공장으로 갈 “남자 사냥”뿐 / “이 문제에는 어둠이 있다” - 조선인 알선업자의 존재 / 도쿄에서 집
다섯 채를 살 수 있을 정도의 저금 / 의도적으로 사실을 왜곡하는 증언들 / 옛 위안부 열아홉 명의 증언을
검증 / 한국에 퍼져버린 거짓말

제4장_일본 외교의 실태 119
외무성 고위직이 발명한 ‘광의廣義의 강제’ / 후세에 화근을 남기는 고노 담화 / ‘아시아여성기금’에서 지불이
기정 노선으로 / ‘반일’ 일본인과 매스컴의 관계 / ‘아침까지 생방송 테레비!’에서 대논쟁 / TV도 외면한
요시다 세이지 증언 / 요시미 요시아키 교수의 ‘위안부=성노예’설 / 고노 담화에 대한 관심의 고조 – 논쟁은
국회의 장場으로 / 교과서 문제와 동일한 구조의 내정간섭

제2부 누가 위안부 문제를 만들어냈는가

제5장_세계에 퍼지는 ‘성노예’의 이미지 169
자학적·문화파괴적인 신좌익 / 전 아사히신문 기자 마쓰이 야요리松井やより 씨의 행동 / 위안부 문제를
유엔에 가져간 일본인 변호사 / 쿠마라스와미 보고서의 어처구니 없는 내용 / 변변치 않은 힉스G. Hicks
의 『종군위안부』 / 북조선 프로파간다를 그대로 삼켰다 / 미국 의회에까지 파급된 ‘성노예’라는 거짓말

제6장_일본 비난이 시작되다! 197
이상할 정도의 반反아베 캠페인 / 미국 보수파에게 ‘위안부=성노예’설이 침투 / 좌파 그룹도 미국 의원에게
영향을 미치려 / 극히 졸렬한 일본의 외교 / 미국 매스컴의 아베 때리기·일본 때리기 / 일본에 대한 비난
결의를 방지하기 위해 / 2007년 4월 수상 방미의 성과는 / 계속 거짓말을 폭로하고 진실을 주장한다

제3부 한국에서 다시 타오른 위안부 ‘반일’의 진상

제7장_사기가 적발된 유족회 회장 237
배후조종자 여인의 체포 / 냉정한 한국 경찰의 경고 / 반일이 장사로

제8장_한국 헌재 결정에서 부활한 요시다 증언 249
위안부 문제로 배상을 요구하지 않는 것은 헌법 위반 / 노무현 정권이 위안부 문제는 미해결로 결정 / 좌파
단체가 노무현 결정을 이용하여 위헌제소 / 헌법재판소의 이상한 한일협정 해석 / 강제동원을 인정한 결정
/ 위헌결정을 이끈 일본인 변호사의 대죄大罪 / 도츠카의 성노예설 의견서

제9장_이명박의 반일 퍼포먼스와 배후에서 준동하는 북조선의 공작 277
위안부 문제를 이유로 한 이명박의 다케시마-독도 방문 / 북조선의 정치공작과 ‘정신대’ / 한일을 갈라놓는
저들의 의도

종장_ 한일의 자유민주주의 세력이 해야 할 일 291

한국어판 후기를 대신하여 301

주요 참고문헌 316

부록 318
[부록1] 위안부 문제에 대한 우리나라(일본)의 노력
[부록2] 주요 위안부들(김학순, 문옥주, 이용수) 증언의 변천

역자후기 332
[역자보론1] 서울중앙지방법원의 2021년 1월 8일 위안부 판결은 엉터리다
[역자보론2] 하버드 로스쿨 램자이어 교수가 옳았다

저자소개

니시오카 쓰토무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56년 일본 도쿄에서 태어났으며 국제기독교대학교를 졸업한 후, 쓰쿠바筑波대학교 대학원 지역연구과 동아시아코스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한국 연세대학교 국제학과에 유학했으며, 1982년부터1984년까지 일본 외무성 전문조사원으로 주한일본대사관에 근무했다. 현재 레이타쿠麗澤대학교 특임교수, 모라로지Moralogy도덕교육재단 도덕과학연구소 교수이자 역사연구실 실장, 역사인식문제연구회 회장, 북조선에 납치된 일본인을 구출하기 위한 전국협의회(구출회) 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 『일한 오해의 심연日韓誤解の深淵』(아키쇼보亜紀書房), 『일한 ‘역사 문제’의 진실日韓「歴史問題」の真実』(PHP연구소), 『알기쉬운 위안부 문제よくわ か る 慰安婦問題』(소시샤草思社)(한국어판 제목은『한국 정부와 언론이 말하지 않는 위안부 문제의 진실』[미디어워치]), 『날조된 징용 공 문제でっちあげの徴用工問題』(소시샤草思社)(한국어판 제목은 『날조한, 징용공 없는 징용공 문제』[미디어워치]) 등이 있다.
펼치기
이우연 (지은이)    정보 더보기
성균관대에서 조선 후기 이래 산림 소유 제도 연구로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하버드대 방문연구원, 규슈대 객원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낙성대경제연구소 연구위원이다.『한국의 산림 소유제도와 정책의 역사, 1600~1987』(일조각, 2010), Commons, Community and Natural Resource Management in Asia (Singapore NUP, 2015, 공저), 『반일 종족주의』1·2권(공저, 미래사, 2019~2020) 등의 저서가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자신이 군의 명령으로 위안부 사냥을 했다고 하는 “양심적 증언자” 요시다 세이지, 그리고 요시미 요시아키 교수가 발견한 군의 내부자료, 여기에다가 피해를 당했다는 측으로서 실명을 걸고 나선 옛 위안부 할머니. 이렇게 셋이 모였다. 이 셋으로 이루어진 세트가 이 책의 처음에서 인용한 ‘노예사냥’과 같은, 군인에 의한 위안부 강제연행을 증명하는 증거로서 당시에는 인식되었다. 아니, 아사히신문을 비롯한 일부 미디어와 운동가는 이를 이용하여 의도적으로 일본의 명예를 손상시켰다. 당시의 분위기는 ‘군에 의한 조선인 위안부 강제연행이 있었지만 일본 정부는 그것을 인정하지 않는다, 사죄도 하지 않는다’, ‘일본 정부는 너무나도 비인도적이고 잔인하다’는 것으로 흘러갔었다.


소장에도 쓰여져 있는 것이기 때문에, 우에무라 기자가 동행한 다카기 겐이치 변호사 등의 청취에서도 그 사실은 언급되었을 것이다. 이를 미루어 보아도 김학순 씨가 기생으로 팔렸었다는 사실을 우에무라 기자가 몰랐다는 일은 있을 수 없다. 알고 있으면서도 불리한 이야기이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쓰지 않았다고 말할 수밖에 없다. 즉 그런 사실을 기사로 쓰면 권력에 의한 강제연행이라는 아사히신문 등이 보도에서 전제를 하고 있던 허구가 무너져버리는 것을 두려워하고 있었다고
의심받아도 반론의 여지가 없을 것이다. 아사히신문은 아베 수상 등을 공격하면서 ‘좁은 의미의 강제’라든가 ‘넓은 의미 강제’라든지 하는, 아무리 논의를 해도 이해하기 그런 어려운 문제는 제쳐두고 기왕에 사과할 것이라면 제대로 사과하는
게 좋다는 식의 주장을 해왔다. 하지만 실은 그들도 당초에는 김 씨의 경우가 ‘좁은 의미의 강제 = 권력에 의한 강제연행’이 아니었기 때문에 기생으로 팔렸다는 사실은 기사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것이다. 그래서 본인이 직접 “모친에 의해 40엔에 기생으로 팔렸다”고 말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사실은 의도적으로 기사에서 뺀 것이다.


위안부 강제연행이라는 허구를 대다수의 한국인이 사실이라고 믿어버린 것이 문제를 악화시키고 있는 원흉이다. “임금님은 벌거벗었다”고 말할 수 있느냐 하는 것으로 문제가 옮겨진 것이다. 한일관계를 바르게 가져가겠다고 생각한다면, “이것은 거짓말이다”라고 말하지 않으면 안 된다. 일본과 한국의 외교당국은 그러한 본질적인 문제를 생각하지 않고선 어떻게든 한국의 일반인들이 믿고 있는 거짓말에 맞춘 담화를 내고선 문제를 뒤로 미루려고만 했던 것이다. 다만 분명 한국에도 “임금님은 벌거벗었다”고 말한 외교관이 있었다. 그리고 옛 위안부가 면접조사에서 거짓말을 하는 것을 간파한 학자도 있었다. 그러나 일본에는 오 대사와 같은 용기 있는 양식파 외교관이 없었던 것이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