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과학적 실재론

과학적 실재론

(과학의 진리를 둘러싼 100년간의 과학철학 대논쟁)

스타티스 프실로스 (지은이), 전현우 (옮긴이)
사월의책
34,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0,600원 -10% 0원
1,700원
28,900원 >
30,600원 -10% 0원
0원
30,6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과학적 실재론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과학적 실재론 (과학의 진리를 둘러싼 100년간의 과학철학 대논쟁)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서양철학 > 영미철학
· ISBN : 9791192092324
· 쪽수 : 640쪽
· 출판일 : 2024-10-10

책 소개

과학은 어떻게 관찰 불가능한 존재자가 실재한다고 말하는가? 100년에 걸친 ‘과학적 실재론’ 논쟁을 종결짓는 과학철학의 교과서! 저자 스타티스 프실로스는 이 세계는 우리가 가진 최상의 과학 이론이 설명하는 방식대로 실제 존재한다는 낙관적 견해를 제시한다.

목차

머리말
들어가는 글

Ⅰ부 경험론과 실재론적 전회

1장 경험론과 이론 담화
검증주의의 실패 / 입증으로의 완화 / 불가피성 논증 / 의미론적 실재론 / 헴펠의 중도적 노선

2장 이론은 도구인가?
마흐의 주제 / 이론가의 딜레마는 어찌된 일인가? / 도구주의와 확률 진술 / 뒤엠 Ⅰ: 반설명주의적 도구주의 / 뒤엠 Ⅱ: 도구주의에 대한 비판 / 뒤엠 Ⅲ: 실재론과 도구주의 사이에서

3장 카르납의 중립주의
두 언어 모형 / 형이상학적 실재론 대 경험적 실재론 / 초기 구조주의 / 카르납, 램지를 만나다 / 존재 양화된 구조주의 / 중립주의 / 경험론과 균열 없는 실재론

4장 과학적 실재론에 대한 옹호
우주적 우연과 과학의 성공 / 실재론에 대한 설명주의적 옹호 / 실재론에 대한 설명주의적 옹호와 순환성 / 과학의 성공에 대한 더 나은 설명이 가능할까? / 설명에 대한 요구 수준을 낮출 수는 없을까? / 다윈이 도움이 될 수 있을까?

Ⅱ부 회의적 도전들

5장 비관적 귀납에 맞서기
라우든의 귀류 논증 / 실재론자에게 있어 ‘도박’의 의미 / 너무 낮은 성공의 기준 / 각개격파 작전

6장 역사적 소묘
∙열에 대한 칼로릭 이론 / 열은 질량 없는 유체인가, 운동인가 / 소리의 공기 중 전파 속도에 대한 라플라스의 예측 / 카르노와 칼로릭 / 증거에 의한 지지 관계를 국지화하기 / 칼로릭 이론에서 열역학으로
∙19세기 광학: 이론과 모형 / 추상적 역학 대 구체적 모형 / 맥스웰의 전자기장 이론 / 이론과 모형: 유비적 접근 / 모형, 발견법, 실재론

7장 워럴의 구조적 실재론
구조적 실재론 대 과학적 실재론 / 푸앵카레 서곡 / 구조적 실재론 대 비관적 귀납 / 구조 대 본성? / 빛의 사례 / 맥스웰이 주는 통찰

8장 미결정성 논증에 대한 반박
미결정성 논증의 구조 / 증거와 함축 / 이론적 덕목의 역할 / 진리 없는 규범적 자연주의?

Ⅲ부 실재론에 대한 최근의 대안들

9장 구성적 경험론에 대한 상세한 검토
소박한 불가지론적 경험론에 반대하여 / 오즈와 이드: 두 세계 이야기 / 관찰 가능성의 변덕스러움 / 다시 오즈로 돌아가서 / 잠재적 믿음으로서의 ‘인정’ / 진리에 대한 믿음이 더 낫다 / 반 프라센의 귀추 비판에 대하여 / 귀추와 상식적 추론 / 불량품목 논증 / 무차별성 논증 / 새로운 인식론?

10장 자연스러운 존재론적 태도, 인지적으로 완벽하다는 것, 존재자 실재론
파인의 축소주의 / 진리에 대한 여러 관점들 / 소극적 태도 / 적극적 태도 / 상호성과 오염 / 성공과 진리 / 우리에게 과학의 인식론이 필요한가? / 자연스러운 존재론적 태도 이상의 것 / ‘인지적으로 완벽한 상태’ / 존재자 실재론?

Ⅳ부 실재론의 도구상자

11장 진리 근접성
‘박진성’에 대한 포퍼의 견해 / ‘가능세계’ 접근법 / ‘유형간 위계’ 접근법 / 진리 근접성에 대한 기어리의 접근법 / ‘직관적’ 접근법

12장 이론 명사의 지시
인과적 지시 이론 / 자연종 명사에 얽힌 문제들 / 이론 명사에 얽힌 더 많은 문제들 / 인과적 기술주의와 이론 변동 / 대단원: 이론 명사는 어떻게 그 지시를 획득하는가?


참고문헌
옮긴이 해제
찾아보기

저자소개

스타티스 프실로스 (지은이)    정보 더보기
영어권에서 흔히 ‘실로스’라고 부르는 그리스의 철학자 스타티스 프실로스는 과학철학 분야에서 ‘과학적 실재론’의 대표적 옹호자로 널리 알려져 있다. 1965년 아테네에서 태어나 파트라스대학교에서 물리학을 공부했고, 킹스칼리지 런던에서 저명한 과학철학자 데이비드 퍼피뉴의 지도로 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런던정경대(LSE) 자연과학 및 사회과학 철학센터 연구원을 거쳐 1999년 이후 그리스 국립아테네대학교의 과학철학 및 과학사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캐나다 웨스턴온타리오대학교 과학철학 연구책임자를 겸임하고 있다. 유럽 과학철학회 창립자 중 한 사람으로 2007~2009년 초대 회장을 역임했고, 2008년 서울에서 열린 세계철학자대회 과학철학 분과와 2011년 유럽 과학철학회 그리스 대회를 조직하기도 했다. 2015년에는 교육 및 연구 촉진에 기여한 공로로 유럽아카데미(Academia Europaea)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저서로는 영국 과학철학회 회장상을 수상한 『인과와 설명』(Causation and Explanation) 외에 『과학철학 A-Z』(Philosophy of Science A-Z), 『과학과 진리』(Science and Truth), 『자연의 구조 알기』(Knowing the Structure of Nature) 등이 있으며, 공저서와 책임 편집한 책이 여러 권 있다.
펼치기
전현우 (옮긴이)    정보 더보기
서강대학교 철학과에서 분석철학을 공부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자연종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기후 위기 속 에너지 전환의 전개에 관심이 많아 《그리드》를 함께 옮기고 여러 글을 썼다. 《과학적 실재론》 등 과학철학의 쟁점을 다룬 여러 책을 옮겼으며 《거대도시 서울 철도》(61회 한국출판문화상 학술 저술상), 《납치된 도시에서 길찾기》(23회 올해의 환경책), 《오송역》 등 기후 위기 시대의 교통 또는 ‘모빌리티’의 오늘과 미래를 다룬 철도 3부작을 썼다.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네트워크(ESC)’ 회원이며, 현재 서울시립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연구원이다.
펼치기

책속에서

“과학적 실재론에는 수많은 논쟁이 연루되어 있다. 한 논쟁은 과학이 마음 독립적 세계를 기술할 수 있는지를 두고 다툰다. 이 논쟁의 핵심 질문은 이렇다. 과연 과학이 기술하고 설명하려고 하는 마음 독립적 세계가 존재한다고 말하는 것이 유의미할 수 있는가? 다른 논쟁의 초점은 이렇다. 과학은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범위를 넘어설 수 있는가? 세 번째 논쟁은 과학 이론을 정확히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를 놓고 벌어진다. 과학 이론은 이 세계를 채우고 있는 관찰 불가능한 존재자에 대한 진리를 밝히려는 시도인가, 아니면 관찰 가능한 현상을 체계화하기 위해 사용되는 세련된 도구에 지나지 않는가? 네 번째 쟁점은 과학의 성공 및 그 수행상의 특징을 해명하기 위해 많은 과학 이론이 진리라는 사실을 꼭 받아들일 필요가 있는지 여부에 관한 것이다. 이 ‘전장’에서 내 위치를 분명히 하기 위하여 나는 이들 논쟁이 과학적 실재론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지를 상세히 보여주려 한다.”


“과학적 실재론이란 정확히 무엇인가? 나는 이 이론을 세 논제로, 즉 형이상학적/의미론적/인식론적 논제로 분석할 수 있다고 본다. 각 논제는 과학 이론에 제기되는 비실재론적 주장을 물리치고, 과학적 실재론을 더 명료하게 표현해준다. (1) 형이상학적 논제에 따르면, 이 세계는 확고하며 마음 독립적인 자연종 구조를 지닌다. (2) 의미론적 논제에 따르면, 과학 이론은 액면 그대로 받아들여야 한다. 즉 이들 이론은 그것이 규명하려는 (관찰 가능하거나 관찰 불가능한) 대상에 대한 참이거나 거짓인 기술로 받아들여야 한다. 따라서 어떤 과학 이론이 참이라면, 이 이론이 말하는 관찰 불가능한 존재자는 실제로 존재한다. (3) 인식론적 논제에 따르면, 성숙하고 예측 면에서 성공적인 과학 이론은 우리 세계에 대해 근사적으로 참이다. 따라서 이들 이론이 상정한 존재자나 그와 유사한 무언가가 이 세계에 존재한다.”


“우리의 전형적 구성물인 이론이 도구적으로 신뢰성 있는 성향을 가진다는 것은 그저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단순한 사실에 불과한가? 그렇다고 믿기는 어렵다. 만일 이런 성향에 어떤 근거가 필요하다면, 그 명백한 후보는 다음이 될 것이다. 즉 ‘근사적 참’이라는 속성이야말로 과학 이론을 도구적으로 신뢰성 있게 해주는 근거라는 것이다. 그러나 도구적 경험론은 분명 이런 설명을 거부할 것이므로, 그들은 이 성향을 다른 어떤 방식으로 근거지을 수 있는지에 대한 대안적 이야기를 들려주어야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