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서양 학술용어 번역과 근대어의 탄생)

야마모토 다카미쓰 (지은이), 지비원 (옮긴이)
메멘토
35,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31,500원 -10% 0원
1,750원
29,750원 >
31,500원 -10% 0원
카드할인 10%
3,150원
28,3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aladin 24,000원 -10% 1200원 20,400원 >

책 이미지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서양 학술용어 번역과 근대어의 탄생)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기호학/언어학 > 언어학/언어사
· ISBN : 9791192099217
· 쪽수 : 568쪽
· 출판일 : 2023-02-27

책 소개

“근대어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150년 전 서양 학술 용어와 체계를 번역, 소개한 어느 일본 지식인이 그린 근대지(近代知)의 지도.

목차

옮긴이 서문

들어가며

제1장 「백학연환」이라는 문서

우선 전체를 살펴보자/ 차례를 읽다/ 학술기예/ 학술의 방략/ 신치지학/ 진리

제2장 백학연환은 무엇인가

「백학연환」 본문 속으로/ 그리스어 철자 문제/ 철자가 달라지는 이유를 추리하다/ ‘바퀴 안의 동자’의 수수께끼/ 둥근 고리를 이룬 교양/ 지(知)의 릴레이/ 정치학의 엔사이클로피디아?/ ‘정치학의 엔사이클로피디아’의 정체/ 법학의 엔치클로패디/ 문헌학의 엔치클로패디/ 철학의 엔치클로패디/ 학술의 엔사이클로피디아/ 책으로서의 ‘엔사이클로피디아’/ 지식의 나무/ 학역(學域)을 변별하다/ 떡은 떡집에서/ 중국의 학술 분류

제3장 ‘학(學)’이란 무엇인가

동사로 생각하다/ 술, 기, 예의 원뜻/ 왜 Science and Arts인가/ 왜 Scio와 ars인가/ 학문의 정의-해밀턴을 인용/ 아리스토텔레스의 그림자/ 학에는 정의가 있다

제4장 ‘술(術)’이란 무엇인가

이치를 탐구하여 달성하기 쉽게 한다/ 술의 정의가 나오는 출전을 찾다/ ‘아트’를 둘러싼 거대한 말 전달 게임/ 술의 정의는 어디서 인용했을까/ 술의 정의를 둘러싼 지(知)의 연쇄

제5장 학과 술

학과 술의 구별/ 아트와 사이언스는 혼동하기 쉽다고?/ 사이언스의 동의어/ 라틴어 인용문의 출처/ ‘에피스테메’와 ‘테크네’/ 어떤 <웹스터 영어사전>인가/ 의학, 의술을 구체적인 예로 들다/ 진리에 관여하는 두 가지 방법

제6장 관찰과 실천

관찰과 실천/ 오용에 주의하라

제7장 지행(知行)

지행이란 무엇인가/ 가상의 적은 누구인가/ 지는 폭넓게, 행은 세부적으로/ 온고지신/ 일신성공/ 지는 위로도 향하고 아래로도 향한다/ 군자는 화합하되 동화되지는 않는다/ 에도의 ‘학술’-가이바라 에키켄의 경우

제8장 학술

‘단순의 학’과 ‘적용의 학’/ ‘기술’과 ‘예술’/ <웹스터 영어사전>의 정의/ 술의 구별을 비교하다/ 만민의 학술과 진정한 학술

제9장 문학

문학 없이는 진정한 학술이 될 수 없다/ 문학의 힘/ 세계 3대 발명/ 동서양 활판 인쇄 사정/ 출판의 자유/ 글은 도를 관통하는 수단이다/ 글은 도를 싣는다/ 글의 힘-일본의 경우/ 하늘의 도를 따라야 한다/ 옛 서양에서는 학술을 칠학으로 정했다/ 휴머니티스/ 문장학을 하려면 다음의 오학을 배워라/ 어원을 밝히는 학문인 산스크리트

제10장 학술의 도구와 수법

학술과 글의 관계/ 학술에 관련된 시설/ 다양한 전문박물관/ 특허청이 박물관이었다고?/ 학에는 실험이 필요하다/ 공리에만 빠지려는 걸 방지하라/ 불립문자/ 서적상의 논의/ 에도 유학자들의 경우/ 글은 모든 사람의 이해를 돕는 게 주목적이다

제11장 논리와 진리

신치지학-진리를 탐구하는 방법/ 절대로 빼놓을 수 없는 논리학/ 왜 ‘연역’이라고 했는가/ 연역을 고양이와 쥐에 비유하다/ 서적의 노예가 되어서는 안 된다/ 양명은 학문에서 마음을 중요시했지만/ 귀납법을 반찬 먹기에 비유하다/ 사과와 만유인력/ 귀납법-정치학의 경우/ 여러 학문이 탐구하는 진리의 예

제12장 진리를 깨닫는 길

진리를 탐구하는 것은 학(學), 진리를 응용하는 것은 술(術)이라 한다/ 아는 것이 힘이다. 하지만.../ 진리의 가치를 중국 고전에 따라 말하자면/ 지식의 연상 작용/ 니시 아마네식 노트 필기법/ 경계해야 할 돌팔이 의사/ 진리를 아는 두 가지 길/ ‘음표’를 천문학에 비유하자면/ ‘무반’이란 무엇인가/ 소극은 적극으로 이어진다/ 우주에서 보면 극미물/ 분광분석까지 거론하다/ 산초어라는 기괴한 물고기/ 주인과 도둑

제13장 지(知)를 둘러싼 함정

혹닉과 억단이라는 두 가지 함정/ result와 knowledge의 구별/ 호랑이라는 말만 들어도 안색이 변하다/ 학문의 대율/ 삼단계설/ 천둥의 삼단계/ 학에서 술로-응용의 삼단계/ 학술에도 재능의 유무가 있다/ 영민둔완(頴敏鈍頑)/ 학술에는 재(才)와 식(識)이 있다/ 존 로크가 말하기를/ 재식을 그릇에 비유하다

제14장 체계와 방법

체계와 방법/ 체계-진리를 통합하다/ 체계-건축과 중국의 우주론을 예로 들다/ 기술적(記術的) 학문/ 체계화된 역사학이란/ 방법이란 무엇인가

제15장 학술의 분류와 사슬

사슬로 연결된 이미지/ 보통학과 개별학/ ‘보통’이란 무엇인가/ ‘개별’이란 무엇인가/ 심리와 물리/ 심리와 물리를 군사 용어에 비유하다/ 심리와 물리의 관계/ 학술 분류의 변화/ 새로운 학술 지도를 위하여

후기

역시 웹스터 사전!/ 이 책을 내기까지/ 감사의 말/ 마치며

부록

『니시 아마네 전집』 총목차
「백학연환」 총목차
「백학연환」 전문

참고문헌

찾아보기

저자소개

야마모토 다카미쓰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71년생. 독립 연구자이자 게임 크리에이터. ‘메이지현인연구회(明治賢人研究会)’ 회원. 어릴 때부터 학술과 학술의 역사에 관심을 가지고 독자적으로 연구해왔다. 에도 말기, 메이지 시기 계몽사상가이자 서양 철학자였던 니시 아마네(西周, 1829~1897)가 1870년경 ‘서구의 학술’을 소개한 강의를 문하생 나가미 유타카(永見裕)가 필기한 강의록인 「백학연환(百學連環)」을 파고들어 분석했고, 이를 웹사이트 ‘워드와이즈웹(WORD-WISE WEB)’에 총 133회에 걸쳐 연재한 후 단행본으로 출간했다. 2009년에 히토쓰바시 대학원에서 ‘새로운 「백학연환」-학술 편’을 강의했다. 게임 <That’s QT> <전국무쌍(戦国無双)>의 개발에 참여했다. 저서로 『뇌를 이해하면 마음을 이해할 수 있을까(脳がわかれば心がわかるか)』, 『문제가 문제다(問題がモンダイなのだ)』, 『컴퓨터의 비밀(コンピュータのひみつ)』, 『문체의 과학(文体の科学)』이 있고, 역서로 『마인드-마음의 철학(MiND―心の哲学)』, 『룰스 오브 플레이(ルールズ・オブ・プレイ)』 등이 있다. 홈페이지 ‘철학의 극장(哲学の劇場)’을 운영하고 있다.
펼치기
지비원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에서 국어국문학과 사회학을 전공했으며 같은 대학원에서 국어국문학을 공부했다. 현재 출판 기획과 번역을 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 『왜 읽을 수 없는가』, 옮긴 책으로 『지(知)의 관객 만들기』, 『흙을 먹는 나날』, 『그 많은 개념어는 누가 만들었을까』, 『독해력 수업』 외 여러 권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이 책에서 「백학연환」에 주목하려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입니다. 첫째는 이 강의가 당시 서구 학술 전체를 상호 연관 속에서 넓게 바라보려고 한 시도이기 때문입니다. 둘째는 강의를 한 니시 아마네가 서구 학술이 일본에 수입될 즈음에 그때까지 일본어에 없었던 많은 단어를 만든 인물이기 때문입니다. 니시 아마네는 현대 일본어의 큰 은인 가운데 한 사람입니다. 오늘날에도 그가 번역하고 만들어낸 말은 학술 아닌 영역에서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한 말의 기원을 아는 것은 우리가 살아가는 이 시대의 근원을 확인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일입니다. 그러므로 오늘날 학술의 전 영역을 다시 파악하기 위한 계기로서 「백학연환」의 시도가 몇 겹이나 되는 실마리를 품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들어가며」에서)


“근대 학술사를 독자적으로 공부해온 저자는 현재 자신이 가진 지식을 백지로 돌린 상태에서 「백학연환」을 성실하게 한 단어씩 읽어나간다. 니시 아마네가 접했을 법한 서양의 각종 저서, 영영사전 등은 물론이고 당시 지식인들이 필수로 배워야 했던 한학까지 종횡무진하면서 일본과 서구의 지식체계가 서로 얽히며 새로운 말이 탄생하는 과정을 보여주는데, 정말 진부한 비유이지만 세상 그 어떤 소설책보다 흥미진진하다.
이 책이 아니었더라면 나는 ‘물리’와 ‘심리’가 현재와 같은 학문 이름이 아니라 애초에는 ‘사물의 이치’ ‘물리 외의’라는 뜻이었음을 영영 몰랐을지도 모른다. ‘규모(시스템)’ ‘발명(발견)’ 등등도 마찬가지다. ‘일본의 번역과 근대’를 전부 조망하려면 평생이 걸려도 다 못 하겠지만, 적어도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말이 탄생하는 현장을 곁에서 지켜보는 지적 흥분을 독자 여러분도 느끼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옮긴이 서문」에서)


“로지카(라틴어 logica)라는 것을 중국(支那)의 말로 나타내 치지학이라 이름하겠다. (…) 치지학이란 일본에서도, 중국에서도 옛날부터 이런 학이 없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우습게 생각하지만, 배움의 길에 마음을 두려는 사람은 무슨 학이든 간에 빼놓을 수 없는 것으로서, 첫걸음을 위한 학에서, 그중에서도 형이상(形而上)을 논하는 데 이 학을 배우지 않는다는 것은 수(數)의 학을 배우지 않고서 격물의 학을 하겠다는 것이나 다름없다.” (니시 아마네, 『치지계몽』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
9791192099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