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사회과학 > 통일/북한관계 > 북한학 일반
· ISBN : 9791192618883
· 쪽수 : 196쪽
· 출판일 : 2025-10-25
책 소개
목차
제1장 북한 영화의 서사 • 14
: <우리 누이집 문제>, <우리 사돈집 문제>, <우리삼촌집 문제>에서 드러나는 갈등과 해결 구조
1. 북한 영화의 갈등과 인물·공간·발화의 문제 • 16
2. 갈등과 인물: 주인공/적대자, 개인/집단, 현실/이상의 충돌 • 21
3. 비판 장면과 공간: 단일성/다성성, 공식/비공식, 집단/개인의 갈등 • 27
4. 반성 장면과 발화: 영상/소리, 주체/타자, 현실/이상의 갈등 • 35
5. 북한 체제의 변화와 북한 영화의 갈등 • 41
제2장 북한 영화의 정동 • 46
: <우리 웃집 문제>, <우리 아래집 문제>, <우리 사돈집 문제>에서 드러나는 의식/사유, 도덕/윤리, 슬픔/기쁨의 갈등
1. 북한 영화에서 드러나는 삼중의 고발 • 48
2. 뇌물: 원인/효과, 정신/육체, 의식/사유의 갈등 • 51
3. 선악: 이상/현실, 당위성/능력, 도덕/윤리의 갈등 • 62
4. 고발: 자아/호상 비판, 가책/원한, 슬픔/기쁨의 갈등 • 72
5. ‘우리집 문제’를 바라보는 관객의 즐거움 • 79
제3장 북한 영화 시선 • 84
: <우리 처가집 문제>, <우리 누이집 문제>, <우리는 모두 한 가정>, <우리삼촌집 문제>에서 드러나는 인물들의 시선, 감시, 권력
1. 북한 체제의 감시와 북한 영화의 시선 • 87
2. 주변 인물들의 시선: 지배적 시선과 억압 • 92
3. 여주인공의 시선: 남근적 시선의 불완전성과 오인 • 98
4. 우편국장의 시선: 규율적 시선과 효용성 • 105
5. 등장인물의 세 시선과 체제의 변화 • 112
제4장 북한 여성의 욕망 • 118
: <우리 웃집 문제>, <우리 처가집 문제>, <우리 누이집 문제>에 드러나는 거짓말-방문-가출이라는 내러티브 반복과 여성의 자아정체성
1. 거짓말-방문-가출이라는 내러티브 반복과 여성의 자아정체성 • 120
2. 거짓말: 양성적 이상, 분열된 주체와 ‘연기하는 여성’ • 123
3. 방문: 감정노동 증가, 사적 영역 갈망과 ‘침입당하는 여성’ • 137
4. 가출: 가부장제의 마녀사냥, 집단주의의 억압과 ‘일탈하는 여성’ • 146
5. 공식적/비공식적 담론의 간극과 여성의 욕구 표현 • 152
제5장 북한 여성의 신체 • 158
: <우리 처가집 문제>, <우리 누이집 문제>, <우리 삼촌집 문제>에서 드러나는 여성 신체의 다층적인 재현
1. 북한 영화와 여성의 신체 • 160
2. 복종/저항에 대한 여성 신체의 갈등 • 163
3. 훈육/일탈에 대한 여성 신체의 갈등 • 171
4. 금욕/쾌락에 대한 여성 신체의 갈등 • 178
5. 북한 여성의 신체와 북한 사회의 변화 • 185
참고문헌 • 190
원문출처 • 194
저자소개
책속에서
|서문|
남한(대한민국)과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은 가깝고도 먼 나라이며, 공간적으로는 인접하지만 정치체계로는 차별적이다. 북한 영화(조선 영화)는 북한에서 짝하는 영화를 일컫는다. 북한 영화는 체재 선전의 핵심 도구였으나, 근래에는 대중성을 고려한 작품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우리집 문제> 시리즈는 북한 코미디영화의 대명사이다. 이 시리즈는 초기 김정일의 비판을 받았지만, 이후 흥행에 성공하여 대중의 관심을 받게 되고, 김정일이 다시 제작에 관여하게 되면서 시리즈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대중성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작품이다. <우리집 문제> 시리즈는 1973~1988년까지 북한의 조선예술영화촬영소에서 시리즈로 제작한 코미디영화이며, 북한의 대표적인 코미디 작가 리희찬의 시나리오로 여러 연출가에 의해 15년에 걸쳐 12편으로 구성된 시리즈이다.
1. 북한 영화의 갈등과 인물·공간·발화의 문제
여태까지의 북한 영화 연구는 북한 체제의 정치·사회·이념의 통제와 영향의 결과로 드러나는 북한 영화의 획일성에 대한 논의가 다수를 차지한다. 민병욱에 의하면, 북한 사회 자체가 “비평적 회의를 결코 정치사회적으로 용납하지 않는 단일 해석공동체로서 거시담론과 미시담론이 정치적 논법 속에서 일치하는 매우 특이한 정치사회적 언술체”이다.
4. 반성 장면과 발화: 영상/소리, 주체/타자, 현실/이상의 갈등
1) 반성 장면: 시각/청각의 대립과 우편국장의 “가정은 사회의 세포”
[사진1-6] <우리 누이집 문제> 시어머니가 며느리의 선행을 보고 반성하는 장면
<우리 누이집 문제>, <우리 사돈집 문제>, <우리 삼촌집 문제>의 비판 장면 뒤에는 반드시 반성 장면이 따라온다. 세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문제가 많은 주인공은 항상 우편국장의 말을 ‘보이스 오버’로 되새기면서 자신을 반성한다.
제3장 북한 영화의 시선
: <우리 처가집 문제>, <우리 누이집 문제>, <우리는 모두 한 가정>, <우리 삼촌집 문제>에서 드러나는 인물들의 시선, 감시, 권력
시선은 감시와 권력을 표현한다. 영화 속 시선은 세 가지 종류, 즉 카메라의 시선, 캐릭터의 시선, 관객의 시선이 있다. 제3장은 세 가지 시선 중에서 북한 영화 속 캐릭터의 시선을 고찰한다. 이 장은 <우리 처가집 문제>, <우리 누이집 문제>, <우리는 모두 한 가정>, <우리 삼촌집 문제>에서 드러나는 세 가지 시선, 즉 주변 인물들, 여주인공, 우체국장의 시선을 중심으로 시선의 다층성을 고찰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