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92618494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목차
저자 소개 4
서문 8
제1부 문화와 다양성
서곡숙 탈가정 청소년의 갈등과 폭력적 죽음 13
황수진 미국 문화에서의 한국 43
구재진 노마드의 시대, 유동하는 삶의 형상들 57
김민정 BL은 콘텐츠 트렌드의 새로운 좌표다 72
제2부 문화와 공생
김소영 나를 둘러싼 ‘사물들(The Things)’에의 헌사 91
김장연호 거대 공룡 성곽(castle)의 탄생 - 자본화된 서울형 아파트 캐슬 105
이인숙 문화복지 시대를 바라보며 132
제3부 문화와 권력
김정희 죽음을 부르는 K-학교폭력 153
김기화 춤의 예술 권력 - 전문화를 통한 새로운 춤 생태 패러다임 166
최양국 계층 마을의 아이들과 달항아리 178
제4부 문화와 모순
한유희 끝에서 만나는 마지막 가치 - <좀비가 되어버린 나의 딸>, <물위의 우리> 197
이지혜 Love Wins All, 오직 사랑하는 자들만이 살아남는다 211
송연주 ‘플레이, 플리’, 치유를 말하는 방법 228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2007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로 부의 불평등은 전세계적으로 더욱 심화되었다. 극심한 빈부 격차, 계층 간 첨예한 갈등, 미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중산층의 붕괴 앞에서 부에 기반한 계급 사회의 단면을 다룬 <기생충>에는 한국어 자막 1인치 장벽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제 모든 문화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빠른 속도로 서로가 비슷비슷해졌기 때문이다.
- <미국 문화에서의 한국> 中
우리는 이제 모든 공간을 이동하고 모든 영역을 넘나들며, 노동과 여행의 세계에서 유동하는 삶을 살아가게 된다. 어쩌면 표류이고 어쩌면 여행인 노마드적 이동을 통해서 시공간과 인간을 연결-접속하고 익숙한 세계의 탈영토화와 새로운 세계의 영토화를 해나가게 될 것이다.
- <노마드의 시대, 유동하는 삶의 형상들 - 떠나야 하는 사람들과 떠나고 싶은 사람들> 中
디지털 플랫폼 시대의 ‘미다스 손’, 이것이 모니터 화면에 가려진 MZ세대의 진짜 얼굴이다. 이제 MZ세대의 시선이 향하는 콘텐츠가 대중적으로 흥행에 성공한 것처럼 보이고, 바이럴 마케팅 효과 덕분에 실제로 흥행에 성공할 확률도 높아졌다. 콘텐츠 산업의 모든 눈이 MZ세대를 주목하는 이유는 바로 그들의 디지털 파급력 즉, 관심 자본으로 축적한 그들만의 새로운 자본력 때문이다. 디지털 네트워크에서 그들의 ‘관심’은 기성세대의 물질 자본과 차별화되는 그들만의 막강한 자산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