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탈궤도의 문화읽기

탈궤도의 문화읽기

(현대 사회를 읽는 키워드 13)

구재진, 김기화, 김민정, 김소영, 김장연호, 김정희, 서곡숙, 송연주, 이인숙, 이지혜, 최양국, 한유희, 황수진 (지은이)
르몽드코리아
15,5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3,950원 -10% 2,500원
770원
15,680원 >
13,950원 -10% 2,500원
0원
16,45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탈궤도의 문화읽기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탈궤도의 문화읽기 (현대 사회를 읽는 키워드 13)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문화연구/문화이론
· ISBN : 9791192618494
· 쪽수 : 248쪽
· 출판일 : 2025-02-28

책 소개

문화는 코드다. 이 책은 단순히 사회적 현상을 논하는 평론집이 아니다. 『탈궤도의 문화읽기』는 오늘날 우리가 마주하는 문화적 실체들을 하나하나 해독해가는 ‘문화적 알고리즘’이다. 빠르게 변하는 사회 속에서 우리가 놓치고 있는 문화적 의미를 13개의 코드를 통해 문화와 다양성, 문화와 공생, 문화와 권력, 문화와 모순 등을 깊이 있게 분석한다.

목차

저자 소개 4

서문 8

제1부 문화와 다양성

서곡숙  탈가정 청소년의 갈등과 폭력적 죽음 13
황수진  미국 문화에서의 한국 43
구재진  노마드의 시대, 유동하는 삶의 형상들 57
김민정  BL은 콘텐츠 트렌드의 새로운 좌표다 72

제2부 문화와 공생
김소영  나를 둘러싼 ‘사물들(The Things)’에의 헌사 91
김장연호 거대 공룡 성곽(castle)의 탄생 - 자본화된 서울형 아파트 캐슬 105
이인숙  문화복지 시대를 바라보며 132

제3부 문화와 권력
김정희  죽음을 부르는 K-학교폭력 153
김기화  춤의 예술 권력 - 전문화를 통한 새로운 춤 생태 패러다임 166
최양국  계층 마을의 아이들과 달항아리 178

제4부 문화와 모순
한유희  끝에서 만나는 마지막 가치 - <좀비가 되어버린 나의 딸>, <물위의 우리> 197
이지혜  Love Wins All, 오직 사랑하는 자들만이 살아남는다 211
송연주  ‘플레이, 플리’, 치유를 말하는 방법 228

저자소개

구재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평론가. 세명대학교 영화웹툰애니메이션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한국현대문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제39회 《문학사상》 신인발굴 평론부문에 「육성과 교감-최윤론」이 당선되어 등단, 한국현대소설과 미디어문화콘텐츠를 연구하고 있다. 대표 저서로 『한국문학의 탈식민과 디아스포라』가 있다.
펼치기
김민정 (지은이)    정보 더보기
중앙대 문예창작학과 부교수. 문학과 문화, 창작과 비평을 넘나들며 다양한 글을 쓰고 있다. 구상문학상 젊은작가상, 르몽드문화평론가상, 그리고 2022년 중앙대 교육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드라마에 내 얼굴이 있다』 외 다수가 있다.
펼치기
김민정의 다른 책 >
송연주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평론가. 세종대학교에서 영상예술전공으로 박사과정을 수료하고 세종대와 정화예술대학교에서 강사로 활동하였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인터넷)에 문화평론과 영화평론을 연재하였다.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기획개발 지원사업에 공동작가로, 한국콘텐츠진흥원 스토리창작역량강화사업에 작가로 선발되며 제작사에서 작가로 활동했다.
펼치기
이지혜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평론가. 《쿨투라》 신인상 영화평론부문 신인상으로 등단.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연구원A. 문화현상을 연구하며 경희대에서 글쓰기를 강의 중이다. 르몽드에 문화평론을, 《COAR》 등에 영화평론을, <서울책보고>에 에세이를 기고한다. 전주국제단편영화제(2023)심사위원, 서울역사영화제 집행위원(2024)으로 활동하고 있다.
펼치기
이지혜의 다른 책 >
김장연호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평론가. 문화학(문화연구학) 박사. 한예종 영상원 객원교수. 서울국제대안영상예술페스티벌 집행위원장, 한국비교문학회 기획이사이다. 영진위 우수논문상(2005)을 수상하였으며, 『디지털 영상예술 코드읽기』(2003), 『카메라를 든 여전사』(2005) 영진위 우수출판지원작 연구책임자, 대표저서로는 『몸과 짓의 실천들: 디지털 무빙이미지 수행성』(2024)이 있다.
펼치기
황수진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평론가. 미국 로스앤젤레스를 기반으로 영화 및 아트, 문화 분야의 컨설턴트 및 큐레이션을 제공하는 복합문화 에이전시 MHM(Multi Hyphenate Media) 대표로 Los Angeles County Art Consultant 및 California Art Council의 공공지원 심사 프로그램에도 참여하고 있다. 현재 도시와 벽화에대한 아카이브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2023년부터 미디어 아트 전시 <Desert Is The Sea>를 시작으로 미디어 아티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사라지고 있는 아름다운 것들을 기록한다.(soo@mhmcollective.com)
펼치기
김소영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평론가 겸 한국외국어대학교 학술연구교수. 한국영화학회 국제학술상임이사 및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학술이사 역임. 현 『스토리콘텐츠』 편집위원장 및 『영화연구』 편집위원과 한국브레히트학회 공연이사를 맡고 있다. 기술 중심으로 급변하는 탈경계적 대중문화를 연구 중이다.
펼치기
김정희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평론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철학 전공. 여행(女行) 크리에이터로 활동하며 종로 여행길을 기획. 한양대, 부천대에서 강의했고, 현재 학교와 평생학습관에서 다양한 학습자들을 만나면서 교육과 학교의 역할이 무엇인지 역사 속에서 답을 찾는 글을 쓴다. <르몽드 문화톡톡>에 문화평론을 연재 중.
펼치기
김기화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평론가. 무용학박사. 한국춤교육연구회 대표. 문화재청 전문위원. 성균관대학교 유가예술문화콘텐츠연구소 수석연구원, 한국체육대학교 산학연구단 전임연구원을 역임하며 한국의 무형 문화유산에 관해 폭넓은 연구를 해왔다. 그리고 오랜 기간 현장 예술가로 활동하며 쌓아온 분석역량을 바탕으로 춤의 소통에 관해 연구하고 있다.
펼치기
최양국 (지은이)    정보 더보기
문화평론가. 격파트너스 대표 겸 경제산업기업 연구 협동조합 이사장. 점-선-면의 현상을 인간-자연-지구의 유기체적 연결을 통한 진화와 동일 맥락에서 바라보는 서사를 나누려고 한다. 없음과 있음의 같음을 기저로 하여 문화와 경제의 인문학적 융합을 통한 가치 창출과 공간의 역량 진화 및 미래, 전통과 예술에 관심을 두고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2007년 세계 금융 위기 이후로 부의 불평등은 전세계적으로 더욱 심화되었다. 극심한 빈부 격차, 계층 간 첨예한 갈등, 미국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중산층의 붕괴 앞에서 부에 기반한 계급 사회의 단면을 다룬 <기생충>에는 한국어 자막 1인치 장벽은 존재하지 않았다. 이제 모든 문화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빠른 속도로 서로가 비슷비슷해졌기 때문이다.

- <미국 문화에서의 한국> 中


우리는 이제 모든 공간을 이동하고 모든 영역을 넘나들며, 노동과 여행의 세계에서 유동하는 삶을 살아가게 된다. 어쩌면 표류이고 어쩌면 여행인 노마드적 이동을 통해서 시공간과 인간을 연결-접속하고 익숙한 세계의 탈영토화와 새로운 세계의 영토화를 해나가게 될 것이다.

- <노마드의 시대, 유동하는 삶의 형상들 - 떠나야 하는 사람들과 떠나고 싶은 사람들> 中


디지털 플랫폼 시대의 ‘미다스 손’, 이것이 모니터 화면에 가려진 MZ세대의 진짜 얼굴이다. 이제 MZ세대의 시선이 향하는 콘텐츠가 대중적으로 흥행에 성공한 것처럼 보이고, 바이럴 마케팅 효과 덕분에 실제로 흥행에 성공할 확률도 높아졌다. 콘텐츠 산업의 모든 눈이 MZ세대를 주목하는 이유는 바로 그들의 디지털 파급력 즉, 관심 자본으로 축적한 그들만의 새로운 자본력 때문이다. 디지털 네트워크에서 그들의 ‘관심’은 기성세대의 물질 자본과 차별화되는 그들만의 막강한 자산이다.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