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모빌리티 문학 문화

모빌리티 문학 문화

마리안 아귀아르, 샬럿 매티슨, 린 피어스 (지은이), 조윤주 (옮긴이), 최영석 (감수)
앨피
20,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8,000원 -10% 0원
1,000원
17,0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모빌리티 문학 문화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모빌리티 문학 문화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교양 인문학
· ISBN : 9791192647111
· 쪽수 : 436쪽
· 출판일 : 2024-02-28

책 소개

모빌리티 연구와 문학 연구의 결합을 전면에 내세운 첫 번째 책이다. 모빌리티 연구의 한 분야를 개척하려는 시도라기보다는 다른 사유들의 융합을 확인하고, 인문학(특히 문학)의 관점에서 모빌리티에 대한 비판적 계보학을 이론화하여 학제간 연구의 풍성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기획되었다.

목차

제1장 서론: 모빌리티, 문학, 문화
문학비평과 ‘모빌리티 전환’의 만남
모빌리티와 국가
체화된 주체성
이주의 지정학
모빌리티의 미래
결론

1부 모빌리티와 국가

제2장 아파르트헤이트에 저항하는 철도: 《스타프라이더》, 타운십 열차, 인종차별 모빌리티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철도
남아공의 인종차별 모빌리티
《스타프라이더》, 아파르트헤이트에 저항하기
〈열차에서의 사색〉
〈날레디 열차〉
〈두마니〉
〈푸드-우-우-아〉
결론

제3장 고정되어 있는 저속한 것들: : 블라디미르 나보코프와 잭 케루악의 미국 모텔 재현 비교
미국적 공간, 모텔
두 미국소설의 모텔 묘사 비교
호텔과 상반되는 장소, 모텔
주변적 사회 공간
《롤리타》 각본 속의 모텔
결론

제4장 정동적 잔인성의 동원: 현대 미국문화에서 죽음 관광과 포스트메모리에의 도취
역사로서의 기억 동원: 기호계로서의 정동과 기념관
미국 국민주의의 정동적 잔인성에 맞서기: 살아 있는 기념물로서의 문학 서사
정동적 잔인성의 도취적 모빌리티: 새로운 패러다임?

2부 체화된 주체성

제5장 E. M. 포스터의 《하워즈 엔드》에 나타난 모빌리티, 주의력, 공감
공간감의 상실
부주의와 무관심
주의력과 공감
결론

제6장 시점과 리듬의 서사적 감각: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과 《에피 브리스트》의 주체성 형성
모빌리티: 담론에서 경험적 정치까지
행동유도성, 시점, 리듬
멀리 보기와 가까이 머물기: 괴테의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서로 어긋나는 두 가지 시점과 리듬: 폰타네의 《에피 브리스트》
결론: 모빌리티의 다양한 형태

7장 도시에서 달리기
출발점
속도-놀이-표류를 활용하라
숨바꼭질 놀이하기
숨지 말고 드러내라 : 당신의 달리는 신체는 저항의 장면이자 장소이다
스펙터클 뛰어넘기
당신의 상상력이 날뛰게 만들자

3부 이주의 지정학

제8장 아랍 걸프 국가 문학에 나타난 이주노동, 임모빌리티, 불가시성
서론
이주, 모빌리티, 임모빌리티
기만, 사회적 배제, 임모빌리티
나의 모빌리티, 타인의 모빌리티
결론

제9장 인류애의 표류물: 육체, 국경, 연기된 미래
캐롤라인 버그발의 《표류》에 나타난 국경의 운동미학
조각 나 이주하는 몸
자원으로서의 몸, 말리카 모케뎀의 《금지된 여자》

4부 모빌리티의 미래

제10장 자전거 타기와 서사 구조: H. G. 웰스의 《우연의 바퀴들》과 모리스 르블랑의 《이것은 날개다》
여정의 시작
새로운 문학 지형의 발견
가속화된 모빌리티인가, 아니면 자전거를 탄 산책자인가?
이동의 중단
결론

제11장 자율주행차: SF에서 지속가능한 미래까지
초기 자동차모빌리티
초기 SF소설 속 자율주행 차량
자동차모빌리티 장치
포스트 자동차모빌리티
결론: 자율주행 모빌리티의 새로운 정치성

제12장 SF영화와 로드무비: 낯설게 만드는 이동적 시선
영화, 이동, 미메시스
낯섦과 리얼리즘
결론

■ 참고문헌

저자소개

마리안 아귀아르 (엮은이)    정보 더보기
카네기 멜론대학교Carnegie Mellon University 문학 및 문화학부 프로그램 영문학 부교수. 전공 분야는 문화 연구와 세계화 연구를 비롯해 디아스포라, 초국가적 페미니즘 등이다. 《모빌리티와 문학, 문화 연구Studies in Mobilities, Literature, and Culture》 시리즈의 공동편집자이다. 현재 초국가주의transnationalism와 이동의 상상력imagination of movement을 주제로 《난민의 모빌리티Refugee Mobility》를 집필 중이다.
펼치기
조윤주 (옮긴이)    정보 더보기
한국외국어대 영문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성균관대 번역–TESOL대학원에서 시사영한번역 및 기술번역을 강의하고 있다. 논문으로〈 상상력을 통해 본 21세기적『 뒤를 돌아보며』와 “공유사회”〉 등이 있고,《내러티브와 자아》(공저)를 저술했다.
펼치기
최영석 (옮긴이)    정보 더보기
연세대학교에서 현대문학 박사과정을 수료했다. 옮긴 책으로 《디아스포라 이즈》, 《페미니즘 위대한 역사》(공역), 《권력정치문화》, 《모리스 블랑쇼 침묵에 다가가기》, 《다름과 만나기》, 《도시를 다시 생각한다》, 《모빌리티 정의》, 《틈새시간》, 《온더 무브》, 《안토니오 그람시 비범한 헤게모니》 등이 있다.
펼치기

책속에서

인종별로 다른 객차에 탑승해야 했고, 기차역 또한 요하네스버그 통근열차 시스템 전체에 걸쳐서 플랫폼부터 기차역 건물까지 백인과 유색인종이 나뉘어 인종분리가 강화하도록 설계되었다. 요하네스버그의 파크역은 “인종분리를 가장 대표적으로 보여 주는 기념비적 건물 중 하나”이다. 1952년에 기차역을 새로 설계할 당시, “교외 지역 비유럽인용 교통편은 유럽인용과 비슷한 수로 배치되어야 함”이라고 명시되었다.


험버트의 미국 인식을 매개로 미국 모텔을 그려 낸 이 소설은 따라서 진정한 미국을 탐사하는 나보코프의 관찰뿐만 아니라 험버트의 폐쇄적인 시야에 담긴 미국 사회도 반영한다. 그러므로《 롤리타》에서 도로변은 지금까지의 비평에서 인정하는 바보다 더 중요하다.


문화적 기억은 “기억문화의 작은 틈을 메운다. 왜냐하면 … 과거를 다룰 때 잊혀지고 억압된 것, 그리고 주목받지 않은, 무의식적인, 의도적이지 않은 측면까지를 드러내는 능력을 혹은 그런 경향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서사 과정과 독자/관광객은 움직인다. 즉, 이들은 멈춰 있는 것이 아니라 로트만의 주장처럼 “상호 활성화 관계” 속에 있다. 이 활성화는 정동이 다양한 맥락에서 동원되는 방식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