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책읽기/글쓰기 > 글쓰기
· ISBN : 9791193712931
· 쪽수 : 276쪽
· 출판일 : 2025-02-24
책 소개
목차
프롤로그. 말 한마디에 천 냥 빚을 지는 사람
제1장. 잘못 쓰면 정말 호구 되는, 전혀 없는 말
나는 부모님의 반대를 무릅쓰고/무릎쓰고 결혼을 강행했다 | 오늘이 며칠/몇일이니? | 내일까지 제출해야 하는데 어떡해/어떻해? | 눈이 부시게 푸른/푸르른 날은 그리운 사람을 그리워하자 | 올해는 구설/구설수에 오를 운명이었나봐 | 어머님이 뇌졸중/뇌졸증으로 입원하셨다 | 오늘은 왠지/웬지 몸이 가벼워 | 웬만하면/왠만하면 내 말에 토 달지 마! | 내 덕분에 이렇게 호의호식/호위호식하게 된 건 알지?
제2장. 비슷하게 생겼지만 쓰임이나 느낌이 다른 말
오로지/오롯이 너만 믿으라고? | 안주일체/안주일절 가능합니다 | 이따가/있다가 다시 통화해 | 너를 진짜/너무 좋아해 | 친구 덕분에/때문에/탓으로 이렇게 되었다 | 편지를 부치러/붙이러 우체국에 간다 | 그런 짓을 하다니 몰염치/파렴치하다 | 나는 너와 답이 달라/틀려 | 울타리를 넘어/너머 도망치다 | 그럭저럭 무난/문안한 편이네 | 그는 나를 알은체/아는 체조차 하지 않았다 | 이 자리를 빌려/빌어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 명태/동태/황태/코다리 이게 전부 같은 생선이라고?
제3장. 둘 다 쓰지만 자주 헷갈리는 말
감기가 다 나아서/낳아서 내일은 출근할 수 있다 | 이렇게 쉬운 것도 몰랐다니 정말 어이/어의가 없네 | 연애인도 연예할 수 있지 | 네가 무슨 일을 하든/하던 별로 관심 없어 | 어제 개봉한 그 영화, 아주 재밌다는대/재밌다는데? | 그는 수학을 가르치는/가리키는 선생님이야 | 한 문제만 더 맞혔으면/맞췄으면 100점이었을 텐데!
제4장. 둘 다 인정되는 복수 표준어
어머님은 짜장면/자장면이 싫다고 하셨어 | 귀한 그릇인데 깨트리면/깨뜨리면 어떻게 해요? | 김 대리, 다음 달에 장가들어요/장가가요?
제5장. 직장인이라면 꼭 알아야 할 한자어
심심한 위로를 전합니다 | 발표 중에 생긴 기술적 오류로 곤욕/곤혹/곤경을 치렀다 | 나는 자기계발/자기개발에 힘쓰고 있다 | 우리 팀은 이번 대회에서 마침내 4연패를 달성했다 | 잔액이 모자라서 결제/결재가 안 됐다 | 유례/유래 없는 폭염이 이어지고 있다 | 금일 휴업입니다 | 나는 회장님의 고희연에 초대받았다 | 제 생각을 폄하/폄훼하지 마세요 | 추측/억측을 자제해주세요 | 예단/예측하기엔 아직 이르다 | 여러분의 생각을 기재/기술하세요 | 오늘 중식 후 3시에 콘퍼런스가 있습니다 | 우리 회사는 글로벌 기업을 지향/지양합니다 | 이 내용은 다른 부서와 협의/협조된 사항입니다 | 이 서류는 전결/상신 처리하겠습니다 | 이 문건을 검토/검수 해주시기 바랍니다 | 오늘 제 발표에 대해 지적/평가/조언 부탁드려요 | 그 외 직장에서 모르면 진짜 호구 되는 한자어
제6장. 한 뼘 더 나아가는 우리말 상식
둘 다 표준어인 우리말 어휘 | 가장 자주 틀리는 띄어쓰기 | 해도 해도 너무한 한글파괴 | 한글 창제, 그것이 알고 싶다! | 존 제이와의 만남 | 나이키 창업자로부터 배운 방법 | “헤엄 못 치는 자는 가라앉아라” | 야나이가 동경하는 브랜드 | 런던 진출 | 잊고 있던 질문 | 다시 꺾이는 유니클로 | 다마쓰카의 격정
에필로그. 당신이 쓰는 말과 글이 당신의 품격입니다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맞춤법은 단순한 규칙 이상입니다. 당신이 상대방과의 소통에 얼마나 신경 쓰는지를 보여주는 지표가 되기 때문입니다. 직장 상사나 동료에게 보내는 이메일, 보고서, 메신저 대화 등에서 맞춤법이 깔끔한 문장은 나에 대한 신뢰도를 높입니다. 잘 정돈된 문장은 단순히 보기 좋을 뿐 아니라 상대방에게 ‘이 사람은 일을 꼼꼼하게 하는구나’라는 인상을 주기도 합니다. 또한 크고 작은 오해도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맞춤법을 틀리거나 부정확한 어휘를 사용하면, 의도와는 전혀 다른 메시지가 전달될 수 있습니다. 반대로 정확한 단어 사용과 맞춤법은 메시지를 훨씬 명료하게 전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업무의 효율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은 더 이상 설명할 필요가 없겠죠!
─ 「프롤로그. 말 한마디에 천 냥 빚을 지는 사람」에서
자주 틀리는 단어가 있다면 스마트폰 메모장에 ‘며칠’이라는 단어를 올바르게 입력한 후 이를 알림으로 설정해 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하루에 한 번씩 알림을 받으며 스스로에게 ‘며칠’이라는 표현 상기시킨다면, 잘못된 표현을 자연스럽게 고칠 수 있을 것입니다.
─ 「제1장. 잘못 쓰면 정말 호구 되는, 전혀 없는 말?오늘이 며칠/몇일이니?」에서
상황에 따라 어떤 단어를 쓰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잘못된 단어를 사용해서 감사의 마음이나 호의를 전해야 하는 경우 나의 의도와 다르게 그 의미가 반감이 되는 단어를 사용한다면 상대에게 진심어린 표현이 닿지 못하게 될 것입니다.
─ 「제2장. 비슷하게 생겼짐나 쓰임이나 느낌이 다른 말?친구 덕분에/ 때문에/탓으로 이렇게 되었다」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