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logo
x
바코드검색
BOOKPRICE.co.kr
책, 도서 가격비교 사이트
바코드검색

인기 검색어

실시간 검색어

검색가능 서점

도서목록 제공

지명발견록

지명발견록

(우리 땅 이름의 숨겨진 이야기)

이경교 (지은이)
문학수첩
16,000원

일반도서

검색중
서점 할인가 할인률 배송비 혜택/추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14,400원 -10% 2,500원
800원
16,100원 >
yes24 로딩중
교보문고 로딩중
11st 로딩중
영풍문고 로딩중
쿠팡 로딩중
쿠팡로켓 로딩중
G마켓 로딩중
notice_icon 검색 결과 내에 다른 책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중고도서

검색중
서점 유형 등록개수 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eBook

검색중
서점 정가 할인가 마일리지 실질최저가 구매하기
로딩중

책 이미지

지명발견록
eBook 미리보기

책 정보

· 제목 : 지명발견록 (우리 땅 이름의 숨겨진 이야기)
· 분류 : 국내도서 > 인문학 > 문화/문화이론 > 한국학/한국문화 > 한국인과 한국문화
· ISBN : 9791193790786
· 쪽수 : 388쪽
· 출판일 : 2024-11-05

책 소개

1986년부터 작품 활동을 시작해 온 시인이자, 30여 년 동안 우리나라 곳곳을 돌아다니며 지명을 답사해 온 인문학자 이경교의 인문학 견문록, 《지명발견록》이 문학수첩에서 출간되었다.

목차

아, 저기가 장산곶!_ 백령도, 대청도
백령도의 이두 지명, 사을외도는 ‘샅밖섬’이다 … 15

삼국유사를 찾아가는 길_ 군위, 영천
삼국유사를 집필한 인각사, 이두 지명 풀이가 이 책에서 시작된다 … 22

유토피아는 어디에 있는가_ 전북 부안 우반곡
변산의 우리말 이름은 ‘고깔산’이다 … 30

16세기 문화 1번지_ 담양
담양은 정자를 중심으로 문학을 꽃피운 고을이다 … 38

비밀스러운 빛이라고?_ 밀양
신채호는 밀양을 ‘미르벌’, 곧 물이 질펀한 들녘으로 풀었다 … 46

절개와 지조의 땅_ 선산, 구미, 왜관
영남 인재의 절반은 일선에서 나온다 … 53

고원의 정신, 첫 번째_ 진안
신채호는 진안의 옛 지명 월량을 ‘달천’으로 풀었다 … 61

고원의 정신, 두 번째_ 무주, 장수
무주 구천동은 ‘무수한 가리’란 뜻이다 … 68

경상좌우도의 표본_ 상주, 예천
예천은 단슬라, 곧 ‘언덕과 냇물의 고을’이란 뜻이다 … 75

누정과 은둔의 고을_ 봉화
봉화의 이두 지명, 고사마는 ‘끝말’이란 뜻이 분명하다 … 82

가야의 옛 땅_ 성주, 고령
김종직종택 마을, 개실은 곧 ‘낀 골’이다 … 89

신앙의 땅 그리고 병신춤_ 영광
영광의 이두 지명, 무호이의 뜻을 밝히는 게 급선무다 … 97

영남 사림의 큰 자리_ 함양
좌안동 우함양, 개평마을은 ‘낀 들’이다 … 102

높은 산의 정신_ 산청
산청군 생비량면의 뜻은 ‘산비알’ 혹은 ‘산비랑’이다 … 108

인재와 선비의 광_ 영주, 순흥, 풍기
서원의 역사처럼 인삼의 역사도 풍기에서 시작되었다 … 116

숨겨진 비밀, 숨은 정신_ 익산
익산의 옛 이름 감물아에서 ‘단물’이란 지명을 추측하다 … 122

신비한 이국_ 제주도
양주동은 탐라를 둠내, 곧 ‘큰 오름뫼’의 뜻으로 읽었다 … 130

대장경을 품은 고을_ 창녕, 합천
창녕의 옛 이름 비사벌은 ‘빗벌’, 곧 비스듬한 들녘이다 … 138

망향의 땅, 기호학파의 자리_ 파주, 문산
문산의 이두 지명, 술이홀은 ‘수리재’이다 … 147

해돋이 나룻목과 큰 고을_ 포항, 영덕
양주동은 근오지현을 ‘돗들’, 곧 해맞이 고을로 풀었다 … 155

저항과 화합_ 강경, 논산
춘향전에 나오는 미내다리는 ‘물결내’란 뜻의 이두식 한자어다 … 163

문필의 고장_ 장성
장성의 이두 지명, 고시이는 ‘곶재’ 또는 ‘벼랑재’의 뜻이다 … 171

월출산의 정기_ 영암, 강진
월출산의 옛 이름 월나악을 양주동은 ‘달나뫼’로 읽었다 … 178

지리산과 섬진강을 따라_ 구례, 하동, 남해
섬진강의 우리말 이름은 ‘모래여울’이다 … 186

미래의 자원_ 거제도
서이말은 ‘쥐부리 끝’이요, 사이말은 ‘뱀부리 끝’이다 … 194

산맥이 바다와 만나는 곳_ 순천, 보성
한국에서 가장 아름다운 옛집과 사찰이 있는 곳 … 201

보루의 운명을 짊어진 섬_ 강화도
강화의 이두 지명, 갑비고차는 ‘갑곶’, 곧 깊은 협곡을 낀 곶이다 … 208

예인의 원향_ 목포
등산진은 ‘올뫼나루’, 목포진은 ‘나무나루’란 뜻이다 … 215

한반도의 무릉도원_ 영월, 제천
청풍의 이두식 옛 이름, 사열이는 ‘서늘이’의 뜻이다 … 221

북방으로_ 철원, 연천, 포천, 양주
철원의 이두 지명인 모을동비는 ‘털동글’, 곧 철동글이다 … 226

고산 윤선도의 자취_ 해남, 보길도
해남의 옛 이름, 새금은 ‘사이구미’라는 뜻이다 … 234

문명의 전진기지_ 서산
불너머의 한자어, 각후동은 ‘벌너머’마을이란 뜻이 왜곡된 것이다 … 240

판소리의 고장_ 고창
모량부리라는 이두는 ‘털라벌’이므로 소벌, 즉 높고 넓은 땅으로 본다 … 247

영남알프스의 정신_ 언양과 양산
살티고개의 살티는 후미진 곳을 뜻하는 ‘샅티’였을 것이다 … 255

높이 순례_ 정선, 태백
함백산 만항재의 우리말 이름은 ‘늦은목이’이다 … 263

예술가들의 땅_ 통영
통영의 이두 지명, 고자미동국은 ‘물가의 곶’이란 뜻이다 … 271

소설가들의 길지_ 장흥
장흥은 당나라 망명객, 위씨들이 정착한 땅이다 … 278

신라의 정신, 돌의 정신_ 경주
서라벌, 사라, 사로는 모두 ‘새밝’, 곧 동녘이 밝다는 뜻이다 … 285

임제를 만나다_ 나주
나주는 백제의 발라군, 양주동은 발라를 ‘밝거리’로 푼다 … 292

지조 높은 선비촌_ 영양
영양의 고은이란 옛 지명은 ‘숨은 골’이란 뜻이다 … 298

겨울 편지_ 흑산도
주민들은 흑산도 사리를 ‘모래미’란 예쁜 우리말 지명으로 부른다 … 303

서울의 예술촌_ 성북동
심우장은 소 찾는 집, 수화는 나무와의 대화 … 312

수탈의 땅, 저항 정신_ 군산
군산의 우리말 이름은 무리를 이룬 산이란 뜻의 ‘무르뫼’다 … 319

퇴계에게 배운다_ 안동
농암 이현보의 호는 분강가에 있는 ‘귀먹바위’에서 나왔다 … 324

〈관동별곡〉을 따라서_ 담양, 고성, 속초, 양양,
강릉, 동해, 삼척, 울진
신라 때 삼척이 되었으나, 본디 우리말 이름은 ‘세치’다 … 332

묘지 순례_ 고양, 용인, 양평, 남양주
목은은 소 치는 사람, 도은은 질그릇 굽는 사람, 포은은 나물밭 가꾸는 사람 … 339

속리산 문화권_ 괴산, 보은
양주동은 괴산의 옛 이름 잉근내는 ‘벌내’, 곧 들판의 냇물로 풀었다 … 345

성리학의 성지_ 서천, 보령
백제의 비중현, 신라 때는 비인. 비인은 우리말 ‘텅 빈’을 음차한 것이다 … 350

산의 지형학_ 우이동, 수유동, 방학동
수유동은 ‘무넘이’, 우이동은 ‘소귀내’다 … 357

충절의 고장_ 홍성, 예산
예산의 백제 때 이름 오산현은 오산, 즉 ‘오서산’에서 연유한다 … 363

삼가, 불함_ 백두산
최남선은 백두산의 옛 이름 불함산을 ‘밝은 산’이란 뜻으로 풀었다 … 369

울음터를 찾아서_ 간도
박지원은 요동벌판의 인상을 울음터라고 불렀다 … 374

발해 땅을 밟다_ 연해주
수이푼강은 발해의 솔빈강에서 이름이 유래했다 … 379

참고문헌 … 385

저자소개

이경교 (지은이)    정보 더보기
1986년 『월간문학』 신인상으로 등단. 시집 『이응평전』 『수상하다 모퉁이』 『목련을 읽는 순서』 등. 저서 『한국현대시 정신사』 『푸르른 정원』 등. 수상록 『향기로운 결림』 『지상의 곁길』 등. 역서 『은주발에 담은 눈』 등. 동국문학상 수상. 명지전문대학 문예창작과 교수 역임.
펼치기

책속에서

비단 밀양뿐 아니라 고유어 지명이 한자어로 바뀌며 뜻이 왜곡된 경우는 허다하다. 따라서 한자어를 통해 우리 지명을 표시한 것은 신라 경덕왕 이후에 급조된 것에 불과하다. 그나마 선돌마을이 입암立巖으로, 한개마을이 대포大浦로 바뀐 예는 낫다. 밀양처럼 터무니없는 경우가 더 많으니 문제다. 그러나 역사가 깊은 고을은 이두 지명을 가지고 있다. 그 이두의 고유어가 지닌 원뜻을 추정하는 것이야말로 우리의 옛 지명을 찾아내는 지름길이다.
_ <비밀스러운 빛이라고?_ 밀양>에서


법성포구에서 불교 도래지에 이르는 야산 언덕은 온통 아름드리 숲의 향연이다. 숲쟁이란 ‘숲의 성채’라는 뜻이라지만, 나는 그걸 ‘숲의 쟁이’로 고쳐 읽고 싶어진다. 숲에도 쟁이가 있다면, 얼마나 세밀한 등급일까? 아마도 나무의 크기와 자태, 기품과 아늑함… 그런 게 필요하지 않을까?
_ <신앙의 땅 그리고 병신춤_ 영광>에서


제주의 음식 이름은 언제 들어도 낯설다. 아니, 이름만큼이나 육지와 확연히 구분되는 음식이 많다. 겨울철 야채인 동지노물, 메밀과 무로 만든 빙떡, 난시국이나 톳냉국 또는 자리젯이나 멜젯 같은 젓갈 종류, 보리 미숫가루를 뜻하는 개역 등이 그렇다. 음식 이름에서 보듯, 제주 방언은 일부 학자들이 주장하듯 ‘제주어’로서의 독자성을 지닌다.
_ <신비한 이국_ 제주도>에서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이 포스팅은 제휴마케팅이 포함된 광고로 커미션을 지급 받습니다.
도서 DB 제공 : 알라딘 서점(www.aladin.co.kr)
최근 본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