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이미지

책 정보
· 분류 : 국내도서 > 경제경영 > 기업 경영 > 경영전략/혁신
· ISBN : 9791157008797
· 쪽수 : 264쪽
· 출판일 : 2025-04-18
책 소개
목차
들어가며
1부 유니콘을 낳는 생태계 만들기
1장 유니콘의 글로벌 트렌드와 우리의 과제
2장 데이터로 본 스타트업 투자
3장 유니콘 창업을 위한 혁신 생태계
4장 혁신 생태계 창출을 위한 지자체·대학·산업의 전략적 파트너십
5장 스타트업 허브 서울의 성공 방정식
2부 인공지능 시대, 해외 유니콘 육성과 우리의 대응
6장 스타트업을 유니콘으로 키우는 해외 정책 사례
7장 현장에서 본 유니콘 육성 정책의 방향
8장 인공지능 시대의 기술 패권 전쟁: 딥시크 쇼크와 한국의 미래 전략
저자소개
리뷰
책속에서
디지털·모바일 플랫폼은 일종의 ‘손안의 시장’으로 시간·공간의 제약 없이 세계 어느 곳과도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과거 10년 이상 걸려 일어날 매출과 이익을 시장 역할을 하는 디지털·모바일 플랫폼을 활용하면 이젠 5년, 3년 아니 1년 이내에 달성할 수 있다는 생각이 바닥에 깔려 있다. 개인적으론 때론 글로벌 유동성이 커 거품 성격이 작용하기도 했지만, 기본적으로 유니콘이 급증한 데는 디지털·모바일 플랫폼을 통한 레버리지효과가 핵심 요인이었다는 데에 동의한다.
스타트업은 유니콘으로 성장하기까지 단계별로 적절한 투자를 유치한다. 벤처자본은 시장의 트렌드와 기업의 역량을 바탕으로 가치를 판단해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를 결정한다. 스타트업 투자 정보를 살펴보면 스타트업이 각각 성장단계에 따라 어느 정도 규모의 투자를 필요로 하는지, 시기별로 업종별 투자 흐름이 어떻게 변해 왔는지 등 스타트업 시장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알 수 있다. 이 장에서는 스타트업 투자 데이터를 활용해 우리나라의 스타트업 투자 동향과 특성을 분석하고 투자 수요를 파악하며,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스타트업에 대한 효율적 투자가 지속해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정부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한다.
스타트업, 그중에서도 성장잠재력이 높은 유니콘기업이 제대로 성장해서 자리 잡기 위해서는 여러 혁신 주체가 제 역할을 하는 활력 있는 혁신 생태계가 조성되어야 한다. 다시 말해 혁신 생태계는 유니콘기업이 자라나기 위한 밑거름이자 토양이라고 볼 수 있다. 기술혁신 정책의 역사를 살펴볼 때 혁신 생태계의 개념은 하루아침에 탄생한 것이 아니다. 기술개발에 꾸준히 투자해야 한다는 논리를 제공한 기술추동형 모델과 시장의 수요가 기술혁신을 이끈다는 시장견인형 모델이 차례로 발전하고 충돌하며, 정반합의 변증법적 진화를 한 것이 혁신 생태계이다.